• [방구석 과학×음악 콘서트] 수학으로 악보를 그리다!

    [방구석 과학×음악 콘서트] 수학으로 악보를 그리다!

    수학동아 2021년 01호

    음악을 잘 모르는 기자는 혼란스러웠습니다. 프랙털을 음악에 접목한 김택수 작곡가의 ‘프래탈리시모!!’를 들으니 위기에 처한 영화 속 주인공이 된 것 같았거든요. 무거운 음이 조각조각 끊겨서 연주되니 외나무다리를 건너다 발을 헛디뎌 엄청 빠른 물살 속에서 하염없이 떠내려가는 기분이었 ...

  • [헥!헥!핵물리학자] 쪼개고 또 쪼개면 세계의 근본을 알 수 있을까?

    [헥!헥!핵물리학자] 쪼개고 또 쪼개면 세계의 근본을 알 수 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2020년 16호

     핵물리학자는 핵과 같은 미시세계를 탐구하며 물질의 근본을 찾아왔어요. 가속기와 검출기로 물질을 쪼개 더이상 나뉘지 않는 기본입자가 무엇일지 알아내는 실험을 했지요. 오랜 실험 결과, 과학자들은 세계가 17가지 기본입자로 이뤄져 있다고 보는 ‘표준모형’을 제안했어요. 표준모형은 기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

    어린이과학동아 2020년 10호

      글루온(gluon) 물질의 구성 요소인 원자는 원자핵과 원자핵 주변을 도는 전자로 이루어져요. 원자핵은 양성자와 중성자가 모여 구성되는데, 이들은 다시 기본 입자인 ‘쿼크’가 모여서 만들어져요. 양성자와 중성자는 각각 세 개의 쿼크가 모여서 만들어지죠.이 쿼크들이 하나의 양성자로 묶이 ...

  • [과학동아 X KRISS] 기본전하 상수로 새롭게 태어나는 암페어

    [과학동아 X KRISS] 기본전하 상수로 새롭게 태어나는 암페어

    과학동아 2018년 06호

    ‘무한히 길고 무시할 수 있을 만큼 작은 원형 단면적을 가진 두 개의 평행한 직선 도체가 진공 중에서 1 m간격으로 유지될 때 두 도체 사이에 m당 2×10-7 N의 힘이 생기게 하는 일정한 전류’. 1948년 제9차 국제도량형총회에서 정의돼 지금까지 사용해온 1 A(암페어)의 정의는 모호하고 길었다. ‘무한 ...

  • [Culture] 알골

    [Culture] 알골

    과학동아 2017년 11호

    월면(月面)연합은 고요의 바다 전역을 폐쇄한 이유가 원자력발전소 고장으로 방사능 누출 사고가 일어났기 때문이라고 발표했다. 중국령 소행성대 자치정부는 세레스에서 일어난 대규모 폭발이 운석 충돌 때문에 빚어진 것이라고 밝혔다. 화성 산업관리 당국은 올림포스 산 일대에서 일어난 ‘로 ...

  • Part 1. ‘기묘한’ 2차원 세계를 설명한 개척자들

    Part 1. ‘기묘한’ 2차원 세계를 설명한 개척자들

    과학동아 2016년 11호

    왼쪽부터 덩컨 홀데인, 마이클 코스털리츠, 데이비드 사울레스 교수. 작년 노벨상 발표를 앞둔 10월 초, 필자는 페이스북에 이런 글을 올렸다. “올해 노벨상 수상자는 데이비드 사울레스(미국 워싱턴대 교수)-덩컨 홀데인(미국 프린스턴대 교수)- 찰스 케인(미국 펜실베이니아대 교수) 이렇게 세 명 ...

  • [Knowledge] 파충류를 위한 커튼콜

    [Knowledge] 파충류를 위한 커튼콜

    과학동아 2016년 08호

    파충류는 지난 3억1000만 년 동안 온갖 다양한 모습으로 지구 곳곳에서 살았다. 하지만 이 긴 역사가 우리의 부주의 때문에 위기를 맞고 있다. 서식지 파괴와 밀렵 때문에 수많은 파충류들이 고통스러워하고 있다. 정부와 단체의 보호를 받으며 살아가는 종류도 있지만, 여전히 많은 수가 삶의 터전을 ...

  • 생존전략 1. 화려한 꽃 미인계

    생존전략 1. 화려한 꽃 미인계

    수학동아 2016년 04호

    식물이 선택한 생존전략 중 하나는 바로 ‘아름다운 꽃 피우기’다. 형형색색 아름다운 꽃들 사이에서 더 크고 아름답거나 향기로운 꽃을 피워 곤충을 불러들이는 것이다.식물 중에서도 가장 진화한 종자식물만이 꽃을 피운다. 소나무와 참나무 같은 겉씨식물의 꽃은 열매와 비슷해서 잘 보이지 않 ...

  • Part3.‘표준모형 너머’를 꿈꾸다

    Part3.‘표준모형 너머’를 꿈꾸다

    과학동아 2016년 01호

    올해 83세의 ‘현역’ 물리학자 스티븐 와인버그는 표준모형을 완성한 공로로 셸던 글래쇼, 압두스 살람과 함께 1979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했다. 하지만 그는 자신의 업적이 처음부터 의도했던 결과는 아니라고 회상했다(의도치 않았던 결과로 노벨상을 받다니!). 사실 본인은 힉스 메커니즘을 이용 ...

  • Part 1.표준모형이 지배하는 일상

    Part 1.표준모형이 지배하는 일상

    과학동아 2016년 01호

    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 그 내용은 잘 모르더라도 한 번쯤은 들어본 이름이다.하지만 표준모형은 낯설다. 이름을 들어본 사람이 많지 않다.“표준모형이요? 잘 모르겠는데요?”물리학과 대학원에 재학 중인 후배(실험물리 전공)에게 물었더니 이런 답이 돌아왔다. 몇몇 이공계 대학생들에게 물어봤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