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F영화로운 덕후생활] 아바타의 새로운 터전도 골디락스 존일까

    [SF영화로운 덕후생활] 아바타의 새로운 터전도 골디락스 존일까

    과학동아 2023년 01호

    있습니다. 폴리페모스는 목성보다 약간 작고, 판도라의 질량은 지구의 약 70%라고요. 목성은 지구보다 300배 가량 무거우므로 판도라-폴리페모스 간 거리가 달-지구 간 거리와 유사하다면, 판도라가 받는 인력은 달이 받는 인력보다 200배 이상 클 겁니다. 판도라가 만유인력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면, ...

  • [별별 우주 기네스] 인간이 발견한 최초의 소행성은?

    [별별 우주 기네스] 인간이 발견한 최초의 소행성은?

    어린이수학동아 2022년 22호

    행성이 존재해야 해요. 하지만 당시엔 알려진 행성이 없었지요. 천문학자들은 화성과 목성 사이를 주의 깊게 관찰하기 시작했고, 그 결과 소행성 세레스를 찾아낼 수 있었답니다.  우주 기네스 2.  네 정체가 대체 뭐니? 오우무아무아 2017년, 한 작은 천체가 태양계의 바깥에서 태양계를 향해 ...

  • [가상 인터뷰] 공룡 멸종시킨 소행성, 얼마나 강력했나?

    [가상 인터뷰] 공룡 멸종시킨 소행성, 얼마나 강력했나?

    어린이과학동아 2022년 21호

    돌지만, 행성보다는 몸체가 아주 작아 ‘소(小)행성’이라 불리지. 나는 대부분 화성과 목성 사이에 살아. 크기는 수 m에서 수백 km에 이르지.난 1801년, 이탈리아 천문학자 주세페 피아치가 처음 발견했어. 내 존재가 새롭게 발견되면 그 시기와 순서에 따라 국제소행성센터(MPC)에선 내게 임시번호를 ...

  • [별별 우주기네스] 가장 큰 위성은?

    [별별 우주기네스] 가장 큰 위성은?

    어린이수학동아 2022년 20호

    주변을 맴돌지요. 수성과 금성 주변을 도는 위성은 없어요. 태양 계에서 가장 큰 위성은 목성 주위를 도는 ‘가니메데’예요. 가니메데의 반지름은 무려 2643km로, 달(1738km)이나 수성(2439km)의 반지름보다도 크답니다. 가니메데는 1609년 이탈리아의 천문학자이자 수학자인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처음 ...

  • [과학 뉴스] 제임스 웹 망원경이 찍은 해왕성의 고리!

    [과학 뉴스] 제임스 웹 망원경이 찍은 해왕성의 고리!

    어린이과학동아 2022년 20호

    일부도 이때 처음 관측되었습니다. 고리를 가진 행성 하면 토성이 대표적이지만, 사실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은 모두 고리를 가집니다. 다만 토성을 제외한 다른 외행성은 경우, 고리가 얇고 희미해 관측하기가 쉽지 않지요.이번에 제임스 웹 망원경은 0.6~5㎛(마이크로미터)의 근적외선을 ...

  • [가상 인터뷰] 보이저 1호, 다시 정상 작동!

    [가상 인터뷰] 보이저 1호, 다시 정상 작동!

    어린이과학동아 2022년 19호

    1호예요. 1977년 9월 5일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우주로 발사해 45년째 운행 중이죠. 1979년에 목성을 탐사하고, 1980년에 토성을 탐사한 뒤, 2012년에 태양계의 경계인 성간우주에 도달했습니다. 이후 태양계 밖으로 나가 지금도 1시간에 5만 5000km씩 지구에서 멀어지고 있어요. 인간이 만든 물체 중 가장 먼 ...

  • 과학동아천문대와 함께하는 이달의 우주 날씨

    과학동아천문대와 함께하는 이달의 우주 날씨

    어린이과학동아 2022년 19호

    그렇다면 다음 태양계 행성 중 고리가 없는 행성은 어느 것일까요?① 화성    ② 목성③ 토성    ④ 천왕성⑤ 해왕성어과수 홈페이지(kids.dongascience.com)의‘어과동-와르르 선물터’에 비밀댓글로 정답을 남겨 주세요. 참가자 중 2명을 뽑아 과학동아천문대 입장권을 드립니다.  ★이번 퀴즈의 ...

  • [별별 우주 기네스] 최초로 지구 밖에 착륙한 우주탐사선은?

    [별별 우주 기네스] 최초로 지구 밖에 착륙한 우주탐사선은?

    어린이수학동아 2022년 18호

    다른 위험한 환경을 견뎌야 하기 때문이에요. 수성이나 금성은 온도가 너무 뜨겁고, 목성과 토성은 기체★로 이뤄진 행성이어서 단단한 땅이 없지요. 실제로 1970년 소련(지금의 러시아)이 발사한 착륙 탐사선 ‘베네라 7호’는 금성에 도착한 지 고작 35분 만에 고장 나버렸어요. 금성의 온도와 ...

  • [가상 인터뷰] 목성은 왜 토성처럼 큰 고리가 없을까?

    [가상 인터뷰] 목성은 왜 토성처럼 큰 고리가 없을까?

    어린이과학동아 2022년 16호

    가진 모든 물체는 서로를 끌어당기는 중력이 있는데, 질량이 클수록 중력이 커집니다. 목성의 위성들은 질량이 커서 얼음 조각의 궤도를 바꿔버릴 만큼 중력이 큰 거지요.케인 교수는 “거대한 행성은 거대한 위성을 형성하기 때문에 오히려 고리를 가질 수 없다”며 “이 연구로 행성의 역사들을 ...

  • [우주 기네스] 지구로부터 가장 멀리 간우주탐사선은?

    [우주 기네스] 지구로부터 가장 멀리 간우주탐사선은?

    어린이수학동아 2022년 16호

    다음 발사된 보이저 1호는 하루에 1,470,000km씩 태양계의 바깥을 향해 날고 있지요. 1979년 목성을 지난 뒤 1980년에 토성을 지났어요. 2012년에는 태양계를 완전히 벗어났지요. 지금은 태양으로부터 무려 23,500,000,000km 나 떨어진 먼 우주를 날고 있어요. 인류가 보낸 탐사선 중가장 먼 곳까지 도달한 거예요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