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처입고 돌아온 저어새

    상처입고 돌아온 저어새

    과학동아 1988년 07호

    곳에 집단적으로 가서 자리를 본다음 마른 풀, 나뭇가지, 진흙을 섞어 접시 모양의 둥우리를 만든다.알이 놓일 자리에는 가슴팍의 깃털을 뽑아 깐다. 7월 초순경에 4~6개의 알을 산란한 뒤 암수교대로 알을 품는다. 하지만 알을 품고있는 중에 사람이나 짐승이 침입, 생명이 위험하다고 느끼면 ...

  • 낙동강하구와 한강서울수역 철새는 보금자리를 잃었다

    낙동강하구와 한강서울수역 철새는 보금자리를 잃었다

    과학동아 1987년 12호

    5월18일에는 갈매기등과 무지개등에서 번식중인 쇠제비갈매기 57둥우리와 흰물떼새 40둥우리를 확인할 수 있었다. 가을철의 조류 39종 5천3백여개체가 관찰되었다. 하구지역과 하구언 상류지역에서는 각기29종 3천2백개체와 5종 3백80개체가 관찰되었으며, 죽림강 지류에서는 16종 1천6백40여개체가 ...

  • 전세계 350여마리뿐이라는 노랑부리 백로 1백여마리 서해 무인도에 숨어 살다

    전세계 350여마리뿐이라는 노랑부리 백로 1백여마리 서해 무인도에 숨어 살다

    과학동아 1987년 09호

    물고기 3, 4마리를 잡아 부리에 저장했다가 그중 절반이상은 잘게 요리, 잘 날지못해 둥우리에 남아있는 새끼들에게 먹인다.어미 노랑부리 백로가 먹이를 찾아 비행하는 거리는 보통 1~3km이나 어떤때는 둥지에서 20km이상 날아가 멸치떼등을 뒤쫓아 한꺼번에 수백마리의 고기를 잡을때도 있다.한편 ...

  • PART ② 변화하는 조류 생태계

    PART ② 변화하는 조류 생태계

    과학동아 1986년 10호

    할 것이다. 이러한 식물들은 추운 겨울에 물새류의 좋은 잠자리가 되며, 또한 개개비의 둥우리로 이용되기도 하고 갯버들은 백로류의 휴식장소로도 이용될 수 있다. 또 이들 식물들을 여름의 홍수에 잠기게 되어도 생명력이 강하여 잘 자랄 뿐 아니라 강뚝의 파괴를 막아주는 역할도 할 수 있다 ...

  • 백두산-동북아 최상의 새들의 낙원

    백두산-동북아 최상의 새들의 낙원

    과학동아 1986년 10호

    하순에 도래하여 9월 중순에 남하 이동하는 흔한 여름새이며 체류기간은 1백20일 내외. 둥우리는 20~30m 간격으로 틀며 1㎢당 0.76마리이다. 지상 0.3~1.5m 높이의 나무가지에 둥지를 틀고 한배에 5~6개의 알을 낳는다. 포란기간은 11~14일, 육추기간은 13~15일. 우리나라에서는 매우 희귀한 나그네새이다 ...

  • 즐거운 자연공부

    즐거운 자연공부

    과학동아 1986년 09호

    산다. 산란수는 3~5개. 알을 품기 시작한지 25~28일만에 부화하고 그후 50일 정도가 지나면 둥우리를 떠날수 있을 만큼 성장한다. 산란기는 4월에서 6월사이, 철새의 일종으로 여름새에 속하는 이 새가 우리나라에 머무는 기간은 3월하순부터 10월사이이다. 그런데 이번에 탐조회가 열렸던 신접리의 ...

  • 최루탄의 과학

    최루탄의 과학

    과학동아 1986년 07호

    2~3쌍만 남아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한다. 또 새들의 번식을 위해 만들어 놓은 새둥우리가 한결같이 텅 비어 있음도 확인됐다. 다만 소쩍새, 쏙독새 등 야행성 조류는 아직 남아 있다는 것인데, 이는 시위의 시간대와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최루개스는 식물도 시들게 하고 있다. ...

  • 조류

    조류

    과학동아 1986년 03호

    수가 적은 것은 번식력이 약한 것도 큰 원인의 하나가 될 것이다. 특히 두루미는 둥우리 중심으로 2∼7㎞거리를 경계하므로 이 범위가 두루미의 행동권이라 할 수 있다. 단, 여름의 번식기에는 이 행동권이 극히 좁아져 산란 전의 20분의 1 정도로 줄어든다고 한다. 두루미는 20세기 초만 해도 소련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