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 박형주 교수의 수학자 이야기 깨진 조각으로 질서를 만든 프랙탈의 대부 만델브로

    [시사] 박형주 교수의 수학자 이야기 깨진 조각으로 질서를 만든 프랙탈의 대부 만델브로

    수학동아 2013년 03호

    자기반복성의 정도를 나타낸다.지리학자들은 해안선이 복잡한 서해안의 프랙탈 차원이 동해안보다 높다고 하고, 기상학자들은 뭉게구름이 1.35차원쯤이라 한다. 또 의학자들은 인간 뇌 주름이 2.72차원이라고 한다. 뇌의 큰 주름을 들여다보면 다시 작은 주름이 계속되는 프랙탈 구조인데, 뇌의 ...

  • 하늘에서 비처럼 눈이 온다면

    하늘에서 비처럼 눈이 온다면

    과학동아 2013년 02호

    2층 건물 높이다(적설량은 강수량의 약 10배로 계산한다).2011년 2월 11~14일까지 강원 동해안 지역에 온 폭설에서 눈으로 인한 피해를 짐작해 볼 수 있다. 당시 강원도 동해시에 나흘간 102.9cm나 눈이 내리는 등 717억 원의 재산 피해가 발생했다. 약 30cm의 눈이 온 경북 경주시는 주요 도로는 빠른 제설 ...

  • 참수리가 찾아오는 한강 모래섬, 당정섬

    참수리가 찾아오는 한강 모래섬, 당정섬

    과학동아 2013년 01호

    러시아 캄차카 반도 부근에서 여름을 보내고 가을이 되면 추위를 피해 우리나라 동해안과 남해안 일대를 찾는다. 낙동강 하구에서는 큰고니 먹이주기 행사가 있을 정도로 많이 찾지만 한반도 중앙부분인 한강 유역에서는 찾아보기 힘들다.당정섬에 큰고니가 찾아오기 시작한 것은 1986년. 그 뒤 200 ...

  • 2013 눈길을 열다

    2013 눈길을 열다

    어린이과학동아 2013년 01호

    규모의 재산피해가 생겼다. 우리나라도 강원도 동해시에 1m가 넘는 눈이 쌓이고 동해안을 중심으로 폭설이 쏟아졌다.  꽁꽁 얼어붙은 도로 제설제로 녹인다지구온난화로 점점 폭설이 심해진다는 말을 듣고 걱정이 됐어요. 솜이 얼굴이 어두워지는 걸 본 아빠는 너무 걱정하지 말라며 솜이 어깨를 ...

  • 골뱅이 vs 우렁이

    골뱅이 vs 우렁이

    어린이과학동아 2012년 12호

    무침에 사용하는 종은 ‘물레고둥’과 ‘큰구슬우렁이’랍니다. 물레고둥은 주로 동해안에서, 큰구슬우렁이는 서해안에서 잡히는데 둘 다 양식이 어려워 자연에서 채취하지요. 우렁이우렁이는 논에서 볼 수 있는 연체동물로 골뱅이의 한 종류예요. 하지만 골뱅이처럼 우렁이도 종류가 다양하고, ...

  • 겨울의 DMZ에서 독수리를 만나다

    겨울의 DMZ에서 독수리를 만나다

    과학동아 2012년 01호

    중에도 고라니, 고니 같은 야생동물을 많이 볼 수 있었다. 이곳 장단반도 끝자락에서 동해안까지 총 248km에 이르는 거리에 남북한의 군사분계선이 설치돼 있다. 이 분계선을 기준으로 우리나라와 북한이 각각 2km씩 땅을 내놓경기관광공사아 군사적 완충지역으로 사용하고 있다. 여기가 바로 DMZ ...

  • 명탐정 코난의 과학사건 X파일

    명탐정 코난의 과학사건 X파일

    어린이과학동아 2011년 16호

    장소에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잡기가 쉽지 않다.거대 상어 메갈로돈의 부활?지난 5월 19일 동해안에서 거대 상어 메갈로돈의 이빨 화석이 발견됐다. 메갈로돈은 중생대 백악기부터 신생대까지 한국의 바다에 서식하며 고래와 같은 큰 바다 생물을 잡아먹었던 거대 상어다.국립천연물기념센터의 ...

  • 슈퍼 장마 부르는 제트기류

    슈퍼 장마 부르는 제트기류

    과학동아 2011년 08호

    고기압에서 불어나오는 남동 기류뿐이 아니다. 멀리 벵골만과 동남아시아, 그리고 중국 동해안을 거쳐 불어오는 해양성 남서기류도 하층제트에 합류하고 때로는 인도양 쪽에서 불어오는 남서기류도 함께 딸려 온다. 남쪽에서 올라오는 따뜻하고 습기 많은 기류들은 고위도로 올라오면서 도중에 ...

  • [knowledge] 2050년 한국 바다는 아열대 아쿠아리움

    [knowledge] 2050년 한국 바다는 아열대 아쿠아리움

    과학동아 2011년 08호

    웃지 못할 일도 일어나고 있다. 또 다른 제주 터줏대감인 자리돔은 현재 남해 연안과 동해안 연안, 독도와 울릉도까지 진출했다. 전문가들은 자리돔이 생활하기에 적합한 환경이 조성돼 미래에는 우리나라 전 바다에 분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또 제주에 살던 소라도 경북 일원과 독도, ...

  • 우리 땅 독도 과학으로 지킨다

    우리 땅 독도 과학으로 지킨다

    과학동아 2011년 05호

    파악할 것”이라고 말했다. 과학기지에서 실시간 관측한 너울성 파도는 약 5시간 만에 동해안에 도달한다. 너울성 파도의 특성과 만들어지는 과정도 조사해 예보 시스템을 구축하면 연안에서의 인명피해를 줄이는 데 일조할 수 있다.독도의 지리적 환경은 근해라기보다 원양에 더 가깝다. 동해에는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