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리 알고 태풍 피해 막기

    미리 알고 태풍 피해 막기

    수학동아 2024년 04호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여러 모형에서 나온 결과를 통계적으로 처리해 태풍에 대해 예보한다. 슈퍼컴퓨터의 예측 결과는 예보관에게 전해진다. 이후 여러 명의 예보관이 결과를 보면서 각 지역의 날씨에 대한 경험 등을 종합해 최종 기상예보를 내놓는다 ...

  • [Chapter 3] 사회 문제의 답 찾는다!

    [Chapter 3] 사회 문제의 답 찾는다!

    수학동아 2024년 04호

    ‘큰 수의 법칙’ 때문이다. 큰 수의 법칙은 이론적으로 발생할 확률이 p인 어떤 사건에 대해 시행 횟수를 늘릴수록 그 사건이 실제로 발생하는 비율이 p에 가까워진다는 이론이다. 셀 수 없이 많이 동전을 던졌을 때 특정 면이 나오는 비율이 이론적 확률인 0.5에 가까워지는 것이 대표적인 예다. 이 ...

  • [다시 쓰는 과학교과서] 표준모형 너머 우주의 근본 이론 찾는다

    [다시 쓰는 과학교과서] 표준모형 너머 우주의 근본 이론 찾는다

    과학동아 2024년 04호

    그래서 IBS 지하실험 연구단에겐 희귀 원소가 붕괴하는 시간을 계산하거나, 실험장비에 대해 함께 논의하는 동료가 있다. 바로 IBS 희귀 핵 연구단의 이론 핵물리학자들이다. 한인식 IBS 희귀 핵 연구단장은 “희귀 핵 연구단의 연구 목표는 지구에 없는 희귀한 원자핵을 찾고 그들의 성질을 밝히는 ...

  • 얼마나 행복할까? 행복 방정식

    얼마나 행복할까? 행복 방정식

    수학동아 2024년 04호

    예측했다. 그리고 첫 번째 실험에서와 마찬가지로 ‘지금 얼마나 행복감을 느끼는지’에 대해 질문하고 예측값과 비교했다.  그 결과 연구팀의 예측값과 사람들이 느끼는 실제 행복감의 크기는 거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행복 방정식의 정확성이 증명된 셈이다 ...

  • [과학을 돕는 과학, 과학정책]연구가 잘됐는지 어떻게 평가할까?

    [과학을 돕는 과학, 과학정책]연구가 잘됐는지 어떻게 평가할까?

    과학동아 2024년 04호

    이후로 과학계가 시끌시끌합니다. 도대체 무슨 일일까요. 상황을 이해하려면 과학정책에 대해 알아야 합니다. 만화와 함께 과학정책에 쉽게 접근해보려 합니다 ...

  • 배달완료 ⎪ 자율주행 세상 온다?!

    배달완료 ⎪ 자율주행 세상 온다?!

    어린이과학동아 2024년 03호

    로봇이 활약하면 사람의 일자리가 사라지진 않을까 하는 우려도 있어요. 이에 대해 강기혁 부대표는 “로봇은 한파나 폭염, 위험한 장소 등 극한 환경에서 사람이 할 수 없는 부분 위주로 투입되기 위해 존재한다”고 전했습니다. 로봇이 사람을 대체하기보다는 사람이 하기 힘든 빈틈을 채우는 ...

  • Intro 당신은 도파민 중독인가요?

    Intro 당신은 도파민 중독인가요?

    과학동아 2024년 03호

    스마트폰 사용 시간을 줄이고 싶을 때 줄였던 경험이 있고, 사용 시간을 줄이는 방법에 대해 알기도 하고 실천했기에 중독 수준까지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시험 기간에는 유튜브 앱을 지우고 접속하지 않는 것을 한 달 목표로 세우기도 했거든요. 그럼에도 한 번 유튜브에 들어가면 2~3시간이 정말 ...

  • [특집] 소셜 미디어가 설계한 중독

    [특집] 소셜 미디어가 설계한 중독

    과학동아 2024년 03호

    간과해선 안 된다. 사용자가 알게 모르게 설계돼있는 중독을 유발하는 디자인에 대해 이해하고, 건강한 소셜 미디어가 될 수 있도록 모두의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 ❋ 필자소개윤재영. 홍익대 디자인학부 교수. 미국 로드아일랜드 디자인스쿨(RISD)에서 시각디자인 학사를, 카네기멜론대에서 HCI ...

  • 초고에너지 우주선, 그 입자엔 왜 신의 이름이 붙었나

    초고에너지 우주선, 그 입자엔 왜 신의 이름이 붙었나

    과학동아 2024년 03호

    우리은하 근처에 그간 관측되지 않았던 천체가 있거나, 혹은 우리가 입자물리학에 대해 알고 있던 사실이 완전하지 않았거나.” TA 콜라보레이션의 일원으로 참여 중인 류동수 UNIST 물리학과 교수는 “현재 논의되는 아마테라스 입자와 오마이갓 입자의 출처 중에서 아직 과학자들의 공통적인 ...

  • [특별기획]Part2. SKA프로젝트 1000개의 펄사로 우주를 이해하다

    [특별기획]Part2. SKA프로젝트 1000개의 펄사로 우주를 이해하다

    과학동아 2024년 03호

    보이는 천체를 발견했다. 중성자별의 최대 질량과 블랙홀 최소 질량 차이의 간격에 대해 다양한 추측이 있었는데, 이번 발견으로 그 간격에 무거운 중성자별 또는 가벼운 블랙홀이 존재함을 실증한 것이다. 그렇다면 MeerKAT은 어떤 종류의 전파망원경일까? 미어캣처럼 떼 지어 망보는MeerKAT MeerKAT은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