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 내용을 근거로 연구팀은 이 뼈의 금이 수를 세는 용도로 쓰였을 거라고 추정했어요.네안데르탈인이 수를 이해하는 것을 넘어서 수를 숫자로 표기했다는 것은 수학적으로 큰 의미를 가져요. 그동안 숫자는 인간만이 개발하고 활용해 왔다고 여겨졌거든요.인간이 수를 셌다고 추정할 수 있는 ...
호모 사피엔스만의 독특한 행위로 여겨져 왔다. 현생인류와 가장 가까운 친척 중 하나인 네안데르탈인이 매장을 했는지를 놓고 격렬한 토론이 벌어졌을 정도다. 이 같은 매장 행위를 겨우 500cm³의 머리를 가지고 있던 고인류가 해냈을지에 대해 지금도 고인류학자들의 의견은 분분하다. 쌓여가는 ...
데니소바인의 DNA가 섞인 비율이 높다는 사실이다. 유럽 지역에서 살았던 것으로 알려진 네안데르탈인의 DNA가 현생 유럽인들에게 높은 비율로 나타나는 것과는 정반대의 결과다. 콕스 교수는 “현재까지는 데니소바인이 시베리아와 중국(티베트)에서만 발견됐지만, 유전자 흐름을 보면 앞으로 ...
발달과 시냅스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NOVA1 하나의 유전자만으로 네안데르탈인의 진화적 차이를 설명하기엔 한계가 있지만 크리스퍼라는 최신 기술로 고대 인류의 뇌 기능을 살펴봤다는 데 의미가 크다.알리슨 무오트리 미국 UC샌디에이고 의대 교수는 “단일 염기쌍을 ...
증거다. 사실 현생인류가 극한의 빙하기를 견딜 수 있었던 데는 혹한의 환경에 살았던 네안데르탈인 DNA 덕분이었다. 저자는 DNA의 역사를 통해 인간이 서로의 차이를 인정하고 포용할 수 있는 단서를 얻을 수 있다고 말한다. 고대 DNA가 우리는 모두 연결돼 있다고 말해주므로. ● 과학동아가 ...
길어지고 기울어져 세균이 퍼지기 어려운 환경으로 바뀐답니다. 마르케스 교수는 “네안데르탈인이 자주 아팠다면 현생 인류와의 자원 경쟁에서 불리했을 것”이라고 설명했지요 ...
것이다. DNA 수사의 가장 큰 강점은 DNA 자체의 높은 안정성에 있다. 가령 수만 년 전 네안데르탈인의 뼈에서 DNA를 찾아내 분석할 수 있고, 얼음 속 매머드의 DNA를 이용해 복제를 시도할 수 있다. 특히 STR 분석은 미생물이나 화염, 화학물질 등에 의해 완전히 분해되거나 파괴되지만 않았다면, ...
진화할수록 뇌용량이 커지긴 했지만, 항상 그렇지는 않았다고 알려졌답니다. 예를 들어, 네안데르탈인의 평균 뇌용량은 1500cm3로, 1350cm3인 현대 인류보다 오히려 크지요. 한편 2015년 발견된 신종 화석인류인 호모 날레디(Homo naledi)는 침팬지와 비슷한 뇌용량을 가지고 있음에도 장례식과 같은 인간 ...
그러면 이제 인류의 진화는 다 끝난 걸까? 현생 인류 한 종만 남았으니 인류의 진화도 끝난 것 아니냐고? 놀라지 마. 인류의 진화는 지금도 일어나고 있어. 그 증거가 바로 앞에 있지. 바로 네 손목에! 손바닥이 하늘로 향하도록 손을 들어보세요. 그리고 엄지와 새끼손가락을 붙이면, 손목 중간에 ...
안녕! 나는 네안데르탈인이야. 동굴에서 자다 시끌벅적한 소리가 들려 깨어나 보니 사람들이 우리가 살던 동굴을 구경하고 있더라고. ... Part 2. 특징 - 뇌가 크면 인간일까?Part 3. 편견 - 고인류는 야만인이다?Part 4. 이종교배 - 네안데르탈인은 사라졌을까?Part 5. 인류의 진화는 지금도 진행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