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살이│섬강 ,민물고기의 혼인 잔치

    살이│섬강 ,민물고기의 혼인 잔치

    과학동아 2021년 07호

    강 중류의 모래에만 사는 민물고기입니다. 낙동강과 금강 수계에 삽니다. 2016년 낙동강 수계인 내성천에 영주댐이 만들어지면서 모래가 급격히 사라졌습니다. 그런데 금강에서는 얼마 전 세종보의 수문이 열리며 모래가 쌓여 흰수마자 몇 마리가 발견되고 있습니다. 이처럼 강의 중상류에 만들어진 ...

  • 과거│2만 년 전, 한강은 황해의 초원을 달렸다

    과거│2만 년 전, 한강은 황해의 초원을 달렸다

    과학동아 2021년 07호

    제주도 북쪽을 둘러 흐르고 나서야 바다로 빠져나갔다. 남해 앞바다도 육지였기 때문에 낙동강과 섬진강의 줄기도 현재보다 100km 이상 길었다.중국 동부에는 양쯔강과 황허강 사이에 구(舊)황허강도 흘렀다. 구황허강은 황해를 가로지른 뒤 제주도 남쪽을 지나 바다로 흘렀다. 마지막 빙기가 지나고 ...

  • 수중 생태계, 미학의 과학 아쿠아스케이프

    수중 생태계, 미학의 과학 아쿠아스케이프

    과학동아 2021년 06호

    봐 온 주변 자연환경을 어항에 구현하기 위해 제주에만 서식하는 수초를 공수해오고 낙동강에서 물고기를 채집했다”라고 말했다. 정 작가는 “이렇게 발로 뛴 결과 올챙이풀, 제주피막이, 가는마디꽃 등의 수초를 모았고, 참중고기, 쉬리, 모래무지 등의 물고기를 작품에 표현할 수 있었다”라고 ...

  • [과동키즈] 오랜 응시 끝에 종이에 피워낸 보편적인 꽃 한송이

    [과동키즈] 오랜 응시 끝에 종이에 피워낸 보편적인 꽃 한송이

    과학동아 2021년 05호

    프리랜서로 혼자 일한 지 8년이 지났다. 그동안 청와대, 산림청, 농촌진흥청, 국립수목원, 낙동강국립생물자원관 등 식물세밀화를 필요로 하는 국내 기관과 연구 사업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국내에서 육성된 신품종 식물, 약용 자생식물, 자원화 연구된 식물 등 기관에서 제안하는 식물을 관찰하고 ...

  • [과학뉴스] 35년 만에 다시 나타난 흰수마자!

    [과학뉴스] 35년 만에 다시 나타난 흰수마자!

    어린이과학동아 2021년 04호

    소식을 전해왔어요. 흰수마자는 잉엇과의 한국 고유종 물고기로 금강이나 한강, 낙동강 등에 살았어요. 입 옆에 난 수염이 흰색이라 ‘흰 수염이 난 민물고기’란 뜻의 흰수마자라는 이름이 붙었지요. 미호천에서는 1986년 마지막으로 목격된 후 자취를 감췄고요. 그런데 1월 24일, 미호천에서 ...

  • 5만 년 전 한반도에 거대 운석이 떨어졌다

    5만 년 전 한반도에 거대 운석이 떨어졌다

    과학동아 2021년 01호

    지상 생물의 주인공으로 등장했다.  미궁 속에 있던 적중-초계분지 생성 원인 대구에서 낙동강을 따라 내려오면 황강이 합류하는 지점이 나온다. 이곳을 지나면 독특한 분지 하나가 등장한다. 경남 합천군 적중면과 초계면에 걸쳐있는 지름 약 7km의 분지다. 지역의 이름을 따서 ‘적중 ...

  • 전국이 물 포화상태!

    전국이 물 포화상태!

    어린이과학동아 2020년 17호

    혼란에 빠졌죠. 한강의 경우 8월 6일, 9년 만에 한강대교에 홍수주의보가 내려졌어요. 낙동강과 섬진강은 강물을 막고 있던 제방이 견디지 못하고 무너져, 강물이 범람해 주변의 농경지와 마을을 덮쳤지요. 경기도에서는 올해 들어 산사태가 170건이나 났고, 부산에서는 하수도관의 물이 역류하면서 ...

  • ‘꿈틀’ 깔따구 유충 나온 수돗물, 정수 과정에서 대체 무슨 일이?

    ‘꿈틀’ 깔따구 유충 나온 수돗물, 정수 과정에서 대체 무슨 일이?

    과학동아 2020년 09호

    사용하는 수돗물은 총 10단계의 정수 과정을 거친 물이다. 먼저 한강, 낙동강, 섬진강 등 취수원의 물을 끌어들여 취수장으로 보낸다. 서울은 팔당댐부터 잠실 수중보까지 약 25km 구간에 팔당(광암), 강북, 암사, 풍납(영등포), 자양(뚝도) 등 5개의 취수장이 있다. 취수장은 수돗물 ‘원료’의 상태를 ...

  • 과학동아 At a Glance

    과학동아 At a Glance

    과학동아 2020년 06호

    고려하면 체내에 들어오는 미세플라스틱의 양은 더 늘어나겠죠. 김 교수팀은 한강, 낙동강, 영산강, 섬진강, 금강 등 5대강에서 바다로 흘러들어가는 미세플라스틱을 5년간 조사해 현재 그 결과를 분석하고 있습니다.  제 반려동물은 호랑이입니다만? (94p)☞바로가기3월 20일 넷플릭스에 공개된 뒤 ...

  • [팩트체크] 모르고 먹는 미세플라스틱, 몇 개나 되는지 확인해봤습니다

    [팩트체크] 모르고 먹는 미세플라스틱, 몇 개나 되는지 확인해봤습니다

    과학동아 2020년 06호

    값이라 차이가 크다”고 설명했습니다. 김 교수팀은 2015년부터 5년간 국내 연안과 한강, 낙동강, 영산강, 섬진강, 금강 등 5대 강에서 바다로 흘러들어가는 미세플라스틱의 양을 조사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현재 그 결과를 분석해 논문을 준비 중입니다. 김 교수는 “한강에서만 20μm 이상인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