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류전문가 서정화 선생님과 도시에서 우리 새를 만나다!

    조류전문가 서정화 선생님과 도시에서 우리 새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2013년 11호

    파랑새는 우리나라 여름 철새몸길이가 28㎝인 파랑새는 선명한 청록색을 띠어요. 머리와 꽁지는 검은색이고요. 큰 나무 높은 곳의 구멍이나 까치집에 둥지를 틀고 알 3~5개를 낳아요. 우리나라에서 보기 어려운 여름 철새예요. 안타깝게도 명예기자들이 탐조에 나선 5월초는 번식하기 전이어서 ...

  • 롱다리 새, 펭귄의 진실은?

    롱다리 새, 펭귄의 진실은?

    어린이과학동아 2012년 01호

    측면에서 작은 돌기모양으로 변한 거예요. 하늘을 나는 새에 있는 부채꼴로 늘어선 꽁지깃에는 작은꽁무니뼈가 있어요. 또 최근 미국 텍사스주립대학교 연구팀은 3억 6천만 년 전의 펭귄 화석을 연구해 우리 조상이 불그스름한 갈색과 회색으로 된 깃털을 가졌다고 과학학술지 사이언스에 알렸어요. ...

  • 동식물의 즐거운 새해맞이 잔치

    동식물의 즐거운 새해맞이 잔치

    과학동아 2010년 01호

    꽁지 위를 덮는 깃은 검은 갈색이다. 진딧물은 식물의 즙액을 먹고 개미는 진딧물의 꽁지에서 나오는 단물을 먹는다. 진딧물은 식물의 즙액에 들어 있는 당분을 먹고 남는 것은 배설한다. 이 배설물을 먹으려고 개미를 비롯해 파리, 기생벌 등이 모여든다. 진딧물은 개미에게 최고의 바텐더지만 ...

  • '차르르' 소리로 한여름 도시 점령한 말매미

    '차르르' 소리로 한여름 도시 점령한 말매미

    과학동아 2008년 08호

    소리의 크기가 점점 커진다(상승부). 이때는 말매미 꼬리가 천천히 올라간다. 꽁무니(꽁지)를 최대한 올리면 약 17초 동안 동작을 유지하면서 소리의 크기도 일정하게 유지한다. 이와 함께 진동수대역도 유지된다(유지부). 소리를 멈추려면 1초 만에 꽁무니(꽁지)를 내리고 동시에 소리의 크기도 ...

  • 난류 타고 훨훨 나는 박쥐

    난류 타고 훨훨 나는 박쥐

    과학동아 2007년 06호

    달리 위쪽으로 날개를 들어올릴 때 날개를 거의 접지 않아 공기가 위아래로 분산된다. 또 꽁지가 없어 공기가 뒤로 자연스레 흘러가지 않고 소용돌이를 만든다.새는 공기를 아래로 밀어내며 날기 때문에 상승기류가 없으면 제자리에 떠 있거나 느리게 날기 힘들다. 그러나 박쥐는 날갯짓을 할 때마다 ...

  • 꼬마잠자리의 슬픈 비행

    꼬마잠자리의 슬픈 비행

    과학동아 2006년 08호

    수줍은 행동을 보라. 물억새 줄기를 부여잡고 물구나무서듯 하늘을 향해 앙증맞게 꽁지를 쳐든다. 짝짓기를 하려 소리 없이 그렇게 님을 기다리는 몸짓이다.오소후 시인이 어떻게 내 맘을 읽었을까? ‘만 개의 낱눈으로 보석을 놓아 겹눈을 지닌 까닭을 아시나요 / 그대 찾으려다 두 눈이 ...

  • 이슬똥을 누는 끝검은말매미충

    어린이과학동아 2005년 12호

    곤충이 있어요. 그 이름은 ‘끝검은말매미충’이랍니다. 그런데 사진 속 끝검은말매미충 꽁지에 이슬 같은 방울이 맺혀 있네요. 혹시 곤충의 똥? 맞아요. 바로 끝검은말매미충의 배설물이랍니다. 곤충은‘말피기관’이라고 부르는 배설기관을 가지고 있어서 그 곳에서 배설물이 나오지요. 주로 ...

  • 매야, 다시 높이 날자꾸나!!

    매야, 다시 높이 날자꾸나!!

    어린이과학동아 2005년 03호

    이 말은 바로 매사냥에서 유래했답니다. ‘시치미’는 매의 주인을 표시하기 위해 매의 꽁지에 붙이는 도구입니다. 옛날에는 매사냥이 워낙 활발히 이뤄지다 보니 매를 훔쳐 가는 사람들이 많았대요. 그런데 매를 훔쳐간 사람이 그 시치미를 떼어놓고선 자기 매인양 주인 행를 할 때도 많았나 봐요 ...

  • 송도 늦둥이 흰물떼새 첫 걸음마 포착

    송도 늦둥이 흰물떼새 첫 걸음마 포착

    과학동아 2003년 09호

    날다가 물고기를 발견하면 총알처럼 물 속으로 들어가는 물총새를 만날 수 있었다. 꽁지가 짧고 날개가 진한 초록색이다.버스 안에서 새들을 관찰하던 중 김 교수는 갑자기 차창 밖을 가리켰다. 비오리 수컷 한마리를 발견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서 여름철에 볼 수 있는 오리는 흰뺨검둥오리와 ...

  • 기상천외한 곤충의 감각

    기상천외한 곤충의 감각

    과학동아 2002년 08호

    가장 많이 연구된 것은 꿀벌이 분비하는 페로몬이다. 일벌들이 가끔 자기 벌집 앞에서 꽁지를 하늘로 거꾸로 세우고 침이 있는 부분을 열고 있는 경우를 볼 수 있다. 바로 일종의 경보 페로몬을 분비하는 행동이다. ‘큰일 났다. 외부에서 누가 침입했다’는 경보 페로몬을 감지한 다른 일벌이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