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짝짓기 하다 화석이 된 거북 커플

    짝짓기 하다 화석이 된 거북 커플

    과학동아 2012년 07호

    보는 까닭은 ‘강력한 정황증거’가 발견됐기 때문이다. 요우케 교수는 “암수가 꽁무니를 맞대고 서로의 꼬리를 11자로 나란히 하고 있는 것이 그 증거”라고 말했다. 화석 암컷은 꼬리가 짧고, 알을 낳을 때를 위해 등딱지가 벌어질 수 있다. 수컷은 등딱지가 움직이지 않으며 꼬리가 길다. ...

  • 롱다리 새, 펭귄의 진실은?

    롱다리 새, 펭귄의 진실은?

    어린이과학동아 2012년 01호

    돌기모양으로 변한 거예요. 하늘을 나는 새에 있는 부채꼴로 늘어선 꽁지깃에는 작은꽁무니뼈가 있어요. 또 최근 미국 텍사스주립대학교 연구팀은 3억 6천만 년 전의 펭귄 화석을 연구해 우리 조상이 불그스름한 갈색과 회색으로 된 깃털을 가졌다고 과학학술지 사이언스에 알렸어요. 하늘을 나는 ...

  • 피라미드에 숨겨진 퍼즐

    피라미드에 숨겨진 퍼즐

    수학동아 2010년 11호

    낮은 높이에 있는 꼭짓점을 머리,높은 부분의 꼭짓점을 꽁무니라고 생각하자.손가락으로 꽁무니를 살짝 누르듯 밀어 병아리 경주를 해 보면, 병아리가 종종걸음으로 또는 뛰면서나아가는 것을 볼 수 있다. 한 번에 누가 더 멀리 가는지 길이도 재 보자.모서리의 길이가 같은 정사면체와 정팔면체를 ...

  • 날갯짓 하는 로봇새

    날갯짓 하는 로봇새

    과학동아 2010년 06호

    새처럼 보인다. 그 때문일까. 인근 어은 동산에 서식하는 쇠백로 몇 마리가 비행체의 꽁무니를 뒤쫓는다.새·곤충을 닮은 로봇 비행체캠퍼스에 출현한 이상한 새의 정체는 KAIST 항공우주공학과 ‘스마트 시스템 및 구조 연구실(SSSLAB)’ 한재흥 교수팀이 개발한 로봇새(SF-2)다. 한 교수팀은 새, 박쥐, ...

  • 곤충계 싸움의 기술

    곤충계 싸움의 기술

    과학동아 2010년 02호

    없는데도 어떻게 물속에서 살 수 있을까. 물에서 직접 산소를 흡수할 수 없지만 대신 꽁무니에 달린 대롱(숨관)을 수면 위로 내놓고 숨을 쉰다. 스킨스쿠버라도 하듯 물속에서도 뭍에서처럼 호흡한다.게아재비의 먹이가 된 큰가시고기는 자식사랑이 유별나다. 특히 수컷이 목숨 바쳐 알을 지킨다는 ...

  • 말을 잃은 소녀의 자아 찾기 나는, 인어공주

    말을 잃은 소녀의 자아 찾기 나는, 인어공주

    과학동아 2008년 11호

    된다. 한쪽 눈을 감으면 원근감이 사라지기 때문에 마치 손가락으로 바로 옆에 있는 배 꽁무니를 튕기는 것 같은 기분을 맛볼 수 있다. 왜 그럴까.사람이 눈동자를 물체 쪽으로 돌려 선명하게 바라보는 기능을 주시(注視)라고 부르는데, 이는 생후 5~6개월에 습득되는 반사작용의 하나다.두 눈으로 ...

  • '차르르' 소리로 한여름 도시 점령한 말매미

    '차르르' 소리로 한여름 도시 점령한 말매미

    과학동아 2008년 08호

    약 2초간은 소리의 크기가 점점 커진다(상승부). 이때는 말매미 꼬리가 천천히 올라간다. 꽁무니(꽁지)를 최대한 올리면 약 17초 동안 동작을 유지하면서 소리의 크기도 일정하게 유지한다. 이와 함께 진동수대역도 유지된다(유지부). 소리를 멈추려면 1초 만에 꽁무니(꽁지)를 내리고 동시에 소리의 ...

  • 애교덩어리 말티즈 듬직한 리트리버

    애교덩어리 말티즈 듬직한 리트리버

    과학동아 2008년 08호

    웰시코기처럼 꼬리가 없거나 짧은 품종이 있다. X-선 촬영을 해보면 동경이는 선천적으로 꽁무니뼈가 퇴화돼 3~8개 정도로 보통 개가 20여 개인데 비해 훨씬 적다. 특히 사람처럼 3~4개뿐인 개체는 꼬리가 없다.보통 네발 동물이 달리거나 방향을 틀 때 몸의 균형을 유지하려면 꼬리가 중요한 역할을 ...

  • 봄을 부르는 겨울자나방의 세레나데

    봄을 부르는 겨울자나방의 세레나데

    과학동아 2008년 03호

    풀무질로 꽁무니를 실룩실룩하면 숲에서 갈색 수컷들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그는 곧 꽁무니에 맑은 물방울 하나를 매단다. 이것이 냄새 방울, 페로몬이다.겨울자나방은 냄새방울을 효과적으로 퍼뜨리기 위해 날씨를 잘 이용한다. 눈이나 비가 올 것 같은 날 저녁이 안성맞춤이다. 대기 중 습도가 ...

  • “이리 와 이리 와”

    어린이과학동아 2007년 24호

    보통 마비가 된 동물은 걸을 수가 없지만 이 바퀴벌레는 마치 좀비처럼 말벌의 꽁무니를 졸졸 따라가지요. 왜 바퀴벌레가 좀비처럼 행동할까요? 아직 정확한 이유는 모르지만 연구팀은 말벌의 침을 맞은 바퀴벌레의 몸 안에서 옥토파민이라는 물질이 없어졌다는 사실을 알아냈어요. 옥토파민은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