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르막길 거슬러 오르는 이중원뿔의 비밀

    오르막길 거슬러 오르는 이중원뿔의 비밀

    수학동아 2011년 05호

    보이는 거란다.‘도깨비 도로’라고도 부르지.”“그렇군요. 오르막길처럼 보이는데, 깡통이 저절로 굴러가서 놀랐어요.”“허허, 그렇지? 그런데 착시가 아니더라도 오르막길에서 스스로 굴러가는 장치를 만들 수 있단다. 원뿔 2개만 있으면 말이야. 실험실에서 직접 만들어 볼까?”이중원뿔의 ...

  • 먹이사슬 받치는 '천연 소시지'

    먹이사슬 받치는 '천연 소시지'

    과학동아 2011년 01호

    호랑나비 애벌레 체액을 빨아 먹고 있다.]나무젓가락 한 쌍과 석유가 든 깡통을 하나씩 들고 학교 앞산의 송충이 사냥에 동원되던, 지금도 생생하게 기억나는 초등학교 시절 풍경이 있다. 빽빽하게 난 털 탓일까, 꿈틀거리며 움직이는 탓일까. 대부분의 사람들은 ‘송충이’라는 단어만 들어도 ...

  • 로봇은 살아있다!

    로봇은 살아있다!

    어린이과학동아 2010년 04호

    오늘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과 함께 로봇들이 살고 있는 여섯 개의 방을 탐험할 깡통로봇이야. 어떻게 로봇이 살아 있을 수 있냐고? 오늘 탐험을 마치면 알게 될 거야! 자, 그럼 지금부터 로봇을 소재로 한 최초의 미술전시회 ‘아이 로봇(i Robot)’전을 탐험해 볼까?우리는 지금 소마미술관에 와 ...

  • 팝아트의 아이콘, 앤디 워홀

    팝아트의 아이콘, 앤디 워홀

    과학동아 2010년 02호

    풍요로움을 작품으로 나타내고자 했다. 1달러, 2달러짜리 지폐를 시작으로 캠벨 수프 깡통처럼 익숙한 상품, 메릴린 먼로와 엘비스 프레슬리 같은 스타의 모습을 판화로 찍어내기 시작했다. 친근하고 이해하기 쉬운 소재를 선택한 덕분에 그는 단번에 유명한 예술가가 됐고 대중의 인기를 얻었다 ...

  • 마하 15 극초음속 시대를 열어라

    마하 15 극초음속 시대를 열어라

    과학동아 2009년 10호

    터빈에서 소모되지 않고 비행 속도를 올리는 데 집중된다.“사실 램제트의 구조는 빈 깡통에 가까워요. 터널 같은 흡입구로 초음속의 공기들이 들어오면 이보다 폭이 좁은 연소실에서 연소가 일어나고 다시 배기구로 공기가 빠져나가는 구조니까요. 사실 이 개념은 1930년부터 나오기 시작했으니 ...

  • 별빛 끝에는 무엇이 있는가

    과학동아 2009년 06호

    질척거리는 늪지대로 묘사되던 금성은 그곳에 처음 도착한 소련의 탐사선을 깡통처럼 찌그러뜨릴 만큼 높은 대기압을 가지고 있었고, 촬영 장비를 녹일 정도로 뜨거운 열 지옥(약 470℃)이었다. 지형이라고는 거의 없는 거대한 가스행성인 토성에는 시속 수천 km에 이르는 거센 폭풍이 불고 있었고, ...

  • 봄 식단의 진객 주꾸미

    봄 식단의 진객 주꾸미

    과학동아 2009년 05호

    조개나 고둥 껍질이 굴러다니면 그 속에 몸을 숨긴다. 몸을 가릴 수만 있다면 빈 병, 깡통, 장화, 폐타이어까지 가리지 않는다. 아무렇게나 나뒹구는 라면 봉지 속에도 몸을 숨길 정도니 숨바꼭질의 명수라고 불러도 손색이 없다.껍질 속의 모정 주꾸미의 산란기는 2~5월이다. 산란기를 맞은 주꾸미는 ...

  • 암흑에 묻힌 도시를 가동하라

    암흑에 묻힌 도시를 가동하라

    과학동아 2009년 03호

    되는 폐기물은 현재와 크게 다르지 않다. 알루미늄깡통이나 주석깡통은 용광로에서 새 깡통으로 다시 태어난다. 폐유리는 분쇄해 작은 알갱이 형태의 ‘컬릿’으로 만든 뒤 고온에서 녹여 새로운 유리제품을 만드는 데 사용한다. 폐종이는 잉크를 제거한 뒤 다시 펄프로 만들어 재생 종이가 된다 ...

  • 라면 한 그릇으로 맛보는 화학

    라면 한 그릇으로 맛보는 화학

    과학동아 2009년 03호

    주변의 공간을 엄청나게 빠른 속도로 돌아 마치 구름처럼 보인다. 쥐불놀이를 할 때 깡통을 빨리 돌리면 불꽃 링으로 보이는 장면을 연상하면 된다.원자가 수소인지 산소인지를 구별하게 하는 건 양성자의 수다. 양성자가 하나면 수소원자, 8개면 산소원자다. 원자의 양성자 개수가 바로 그 원자의 ...

  • 윷놀이로 떠나는 수학여행

    윷놀이로 떠나는 수학여행

    과학동아 2009년 02호

    자랐다. 요즘 같은 겨울철에는 팽이치기, 연날리기, 자치기, 쥐불놀이, 윷놀이, 구슬치기, 깡통차기 같은 놀이를 즐기느라 시간 가는 줄 몰랐다. 그 중에서도 동네 큰 마당에 모여 즐겼던 윷놀이가 특히 기억에 남는다.요즘 학생들은 기나긴 겨울 방학 때 뭘 하며 시간을 보낼까. 밀린 수학공부 하느라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