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탐험┃일본, 우주에 머물기 위한 필수품, 우주화물선

    탐험┃일본, 우주에 머물기 위한 필수품, 우주화물선

    과학동아 2019년 07호

    달 3D 지도 최초 작성일본은 1990년 기술 검증 위성인 ‘히텐(Hiten)’을 쏘아 올려 달 궤도에 진입시키는 데 성공했다. 달의 중력을 이용한 궤도변경 실험 등 달 탐사에 필요한 각종 기술을 성공적으로 입증한 히텐은 1993년 4월 10일 달의 분화구인 스테비누스와 푸르네리우스 사이에 계획대로 충돌하면 ...

  • [Issue] 토성 탐사 20년 그 위대한 기록들

    [Issue] 토성 탐사 20년 그 위대한 기록들

    과학동아 2017년 10호

      1997년 10월 15일. 지금으로부터 20년 전 우주로 떠났던 토성 탐사선 ‘카시니(Cassini)’가 9월 15일 토성 대기에 충돌해 불타면서 장렬한 최후를 맞았다. 길이 6.8m, 폭 4m인 카시니는 2004년 우주 탐사 역사상 최초로 토성 궤도 진입에 성공했고, 토성과 그 고리 사이의 혹독한 여행에서 살아남아 13년 동 ...

  • Part 2. 백두산 최신 연구 업데이트

    Part 2. 백두산 최신 연구 업데이트

    과학동아 2016년 12호

      2000년 저명한 화산학자인 독일 킬대 한스 슈밍케 교수팀은 직접 북한을 방문해 백두산이 10세기에 화산 폭발지수가 6 또는 7인 대규모 폭발을 했다는 사실을 최초로 밝혔다. 당시 화산재 기둥이 25km 성층권까지 치솟고 100km3의 화산재가 방출됐을 것으로 추정했다. 그로부터 16년 뒤, 백두산 연구는 ...

  • Part 1. ‘기묘한’ 2차원 세계를 설명한 개척자들

    Part 1. ‘기묘한’ 2차원 세계를 설명한 개척자들

    과학동아 2016년 11호

    왼쪽부터 덩컨 홀데인, 마이클 코스털리츠, 데이비드 사울레스 교수. 작년 노벨상 발표를 앞둔 10월 초, 필자는 페이스북에 이런 글을 올렸다. “올해 노벨상 수상자는 데이비드 사울레스(미국 워싱턴대 교수)-덩컨 홀데인(미국 프린스턴대 교수)- 찰스 케인(미국 펜실베이니아대 교수) 이렇게 세 명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실험실_사라진 어진을 찾아라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실험실_사라진 어진을 찾아라

    수학동아 2016년 03호

    여섯 번째 관문단청에서 찾은 도형태조의 초상화가 있는 정전을 빠져나갈 때 지나는 문이 있습니다. 바로 ‘내삼문’입니다. 내삼문에 있는 아름다운 무늬 그림은 어떻게 그린 걸까요?규칙적인 단청 무늬의 비밀내삼문 앞에서 잠시 고개를 들어 문을 살펴보면 빨강, 초록, 파랑 등 여러 가지 빛깔로 ...

  • PART2. 탐사선, 위대한 여정의 시작

    PART2. 탐사선, 위대한 여정의 시작

    과학동아 2015년 09호

    탐사선은 전 우주에 퍼져있다. 몇몇은 보고 들은 것을 지구로 전송하느라 바쁘고, 몇몇은 수십억km 떨어진 목표행성을 향해 열심히 항해 중이다. 불의의 사고로 우주를 정처없이 떠돌게 된 안타까운 탐사선도 있지만 당당히 임무를 마치고 태양계 바깥까지 넘보고 있는 녀석도 있다.인류의 탐사선 ...

  • PART3. 외계행성 탐사 전성시대

    PART3. 외계행성 탐사 전성시대

    과학동아 2015년 09호

    64b 이후에 이번이 두 번째다. 지구와 가장 유사한 외계행성뉴호라이즌 호가 명왕성을 근접통과한 지 8일째 되는 7월 23일, 전 세계 사람들은 우주 이야기로 또 한번 열광했다. NASA가 지금까지 확인된 외계행성 가운데 지구와 가장 닮은 행성인 ‘케플러-452b’를 발표한 것이다. 케플러-452계는 백조자리 ...

  • PART1. 태양계 행성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

    PART1. 태양계 행성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

    과학동아 2015년 09호

    가장 인기가 많다. 지난 7월 탐사선 뉴호라이즌 호가 명왕성의 1만2000km까지 ‘플라이바이(근접통과)’했기 때문이다(사랑을 고백하려는 연인들에게 특히 인기가 많다는 소문이!). 명왕성은 지름이 2372km 즉 지구 지름의 18.5% 정도 된다. 면적은 러시아 면적과 유사하다. 이중 ‘하트’ 모양의 얼음 지형 ...

  • [Hot Issue] 2015 태양계 탐사선 어디로 가나

    [Hot Issue] 2015 태양계 탐사선 어디로 가나

    과학동아 2015년 01호

    [▼확대]우주를 향한 인류의 탐구는 계속된다. 망원경 관측을 넘어, 인류의 ‘눈’이 돼 줄 탐사선을 보내는 것. 특히 올해는 행성보다 작은 왜행성 탐사가 연달아 이뤄질 예정이라 눈길을 끈다. 그밖에 중국의 달탐사도 본격적인 궤도에 오를 예정이다. 2015년 주요한 탐사선의 임무를 정리해 봤다. ...

  • PART 4. 화학상

    PART 4. 화학상

    과학동아 2014년 11호

    올해 노벨 화학상은 ‘완전 뛰어난’ 현미경을 만든 세 명의 과학자에게 돌아갔다. 빛을 이용하는 광학현미경이라는 점이 첫 번째고, 단백질만한 작은 물체까지 볼 수 있다는 게 두 번째 요소다. 전문용어로는 ‘초분해능 광학현미경’이라고 하는데 분해능은 ‘해상도’라는 말과 비슷하다. 스웨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