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은 왜 포토레지스트와 플루오린화수소를 지목했나

    일본은 왜 포토레지스트와 플루오린화수소를 지목했나

    과학동아 2019년 09호

    유리 세공에 사용돼왔다. 반도체 식각 공정에 들어가는 플루오린화수소는 원재료에 섞인 규소나 붕소, 비소, 인, 황 같은 불순물을 제거한 고순도의 물질을 사용한다.식각 공정은 크게 액체 상태의 플루오린화수소를 사용하는 습식과, 기체 상태의 플루오린화수소를 사용하는 건식으로 나뉜다. ...

  • 신비┃우주에 우리만 있을까

    신비┃우주에 우리만 있을까

    과학동아 2019년 07호

    있지만 외계행성에서는 탄소와 같은 족에 있는 규소로 이뤄진 생명체가 살 수도 있다. 규소는 탄소에 비해 결합력이 더 강하니까 외계 생명체의 몸이 좀 더 단단하고 뻣뻣하지 않을까.  외계생명체를 찾는 또 하나의 중요한 방법은 외계생명체가 보낸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이다. 그동안 외계인이 ...

  • 하마 똥, 생태계 규소 순환 핵심

    하마 똥, 생태계 규소 순환 핵심

    과학동아 2019년 06호

    생물학과 박사후연구원은 “최근 수십 년 동안 아프리카 하마의 90%가 멸종했다”며 “규소의 운반자인 하마의 개체 수가 감소하면 다른 생태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했다. doi:10.1126/sciadv.aav039 ...

  • 주기율표, 누가 만들었을까?

    주기율표, 누가 만들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2019년 05호

    ‘에카*규소’ 같은 이름을 붙이고 그 화학적 성질까지 추측했어요. 실제로 7년 후 에카규소와 성질이 같은 ‘저마늄(Ge)’이 발견되면서 멘델레예프의 주기율표가 유명해졌답니다.하지만 멘델레예프 혼자 주기율표를 만든 것은 아니에요. 당시 많은 화학자가 비슷한 주기율표를 만들었어요. 예를 ...

  • 소행성 탐사 전성시대, 류구부터 파에톤까지

    소행성 탐사 전성시대, 류구부터 파에톤까지

    과학동아 2019년 04호

    대한 단서를 얻을 수 있다. 분석 기술이 발달하면서 스펙트럼만 있으면 소행성 표면이 규소질인지 탄소질인지 구분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소행성 탐사 전 소행성의 질량과 중력도 알아야한다. 지름이 수 km밖에 되지 않는 놈이라면 표면과 내부 물질이 크게 다르지 않을 것임에 틀림없다. 그래서 빛을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북극 온난화의 지표, 해빙

    과학동아 2018년 11호

    Earth system model)’을 개발했습니다. 해양 식물성 플랑크톤과 영양염(해수에 들어 있는 규소와 인, 질소 등 염류)까지도 고려한 모델입니다. 이 모델은 2013년 IPCC 5차 보고서에서부터 미래 기후를 전망하는 데 활용됐습니다.  필자가 속한 국종성 POSTECH 환경공학부 교수팀은 지구시스템 모델을 이용한 ...

  • 신과람 교사가 직접 들려주는 ‘공신’의 과학교과 공부 비법

    신과람 교사가 직접 들려주는 ‘공신’의 과학교과 공부 비법

    과학동아 2018년 11호

    성질을 갖는데, 설명을 듣기 전에 먼저그 성질을 예상해보는 겁니다. 예를 들어 ‘이산화규소 함량이 많으면 공유결합이 많으니 결합력의 세기가 커서 점성이 높을 것이다’라는 식으로 말입니다. 예상이 맞으면 개념을 정확하게 이해한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예상이 틀렸다고 해도, 자신의 ...

  • [Issue] 그 돌 제가 한번 먹어보겠습니다, 먹는 광물 찾아 포항 광산에 가다

    [Issue] 그 돌 제가 한번 먹어보겠습니다, 먹는 광물 찾아 포항 광산에 가다

    과학동아 2018년 09호

    아까 혀가 붙는 느낌도 혀에 묻은 침을 흡수하기 때문입니다.” 강 실장은 산화규소와 산화알루미늄으로 구성된 제올라이트는 구조적으로 음전하를 띠고 있기 때문에 이를 보상하기 위해 칼슘이나 나트륨 등과 같은 양이온이 구조 내에 함께 존재한다고 설명했다. 이 양이온들은 주변 물 분자를 ...

  • [Origin] 미래를 비추는 빛, LED

    [Origin] 미래를 비추는 빛, LED

    과학동아 2018년 07호

    만든 LED는 화학적, 기계적으로 안정하지 못해서 수명이 무척 짧았고, 1993년 탄화규소로 청색 LED를 개발했지만 효율이 약 0.03%에 불과해 사실상 상용화할 수 없었습니다.  이때 고효율 청색 LED를 만들 수 있는 재료로 질화인듐갈륨 같은 3족 질화물 반도체가 유력한 후보로 꼽혔습니다. 하지만 ...

  • [과학뉴스] 마그마 흔적 따라 철광석 광산 찾는다

    [과학뉴스] 마그마 흔적 따라 철광석 광산 찾는다

    과학동아 2018년 05호

    두 종류의 액체가 공존하는 상태라는 사실도 세계 최초로 확인했다. 한 종류는 이산화규소를 많이 함유한 반면, 다른 종류는 철을 40% 이상 포함하고 있었다. 나무르 교수는 “화산 지대에서 철광석 매립지가 어떻게 형성되는지 밝혀낸 최초의 실험 증거”라며 “두 층으로 분리된 마그마의 흔적을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