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art 3. 우리은하가 안드로메다은하와 충돌한다면?

    Part 3. 우리은하가 안드로메다은하와 충돌한다면?

    과학동아 2012년 07호

    200여 개 구상성단 중 최소 40%는 주변 왜소은하의 중심핵이었거나, 이들 왜소은하에 딸린 구상성단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인플레이션은 우주 탄생 초기에 급격히 일어난 뒤 끝났다. 만일 인플레이션이 멈추지 않았다면 어땠을까. 우주는 지금도 급격한 속도로 팽창을 하고 있을 것이고, 별과 은하도 ...

  • Part 1. 태양보다 100억 배 무거운 블랙홀 있다!

    Part 1. 태양보다 100억 배 무거운 블랙홀 있다!

    과학동아 2012년 06호

    적어도 400배는 무거운 중간질량 블랙홀이 있다는 관측결과를 ‘네이처’에 발표했다. 구상성단은 수십 광년의 공간에 수천~수백만 개의 별이 몰려 있는 천체로 이 안에 블랙홀이 있을 수 있는가는 오랫동안 논쟁거리였다.그렇다면 중간질량 블랙홀은 어떻게 생겼고 어떻게 변해갈까. 별 질량 ...

  • 차가운 빛의 세계, 발광

    과학동아 2012년 05호

    몇 광년이나 떨어진 별의 표면 온도를 알 수 있다. [허블 망원경으로 찍은 메시어9(M9) 구상성단의 사진. 성단을 이루는 별의 색이 다양한 것으로 보아 다양한 온도의 별로 구성돼 있음을 알 수 있다.] 발광-낮은 온도에서 빛 방출하기 백열전구는 열복사를 이용한 조명기구다. 주로 텅스텐으로 ...

  • 수학으로 외계인 찾는다! MIB(Math in Black)

    수학으로 외계인 찾는다! MIB(Math in Black)

    수학동아 2012년 04호

    나온다. 특히 가장 위에는 이진법으로 1부터 10까지의 숫자가 표시돼 있다.*구상성단 : 구상성단은 오래된 별들이 구처럼 모인 별들의 모임이다. 별의 갯수가 수십 만에서 수백 만 개에 이른다.수학으로 만든 언어외계인과 대화하기 위해 수학으로 만든 인공 언어도 있다. 사실 수학을 기반으로 만든 ...

  • 별과 생명체의 씨앗 우주먼지

    별과 생명체의 씨앗 우주먼지

    과학동아 2011년 09호

    완벽하게 진공이라고 생각했다. 스위스 태생의 미국 천문학자 로버트 트럼플러는 1930년 구상성단의 공간분포를 관측했는데, 이에 따르면 지구에서 멀리 있는 성단일수록 지름이 크게 나왔다. 트럼플러는 이에 대해 성단에서 나오는 빛이 먼지에 가려져 어둡게 보이기 때문에 실제보다 멀게 거리를 ...

  • 황당맨의 취재수첩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2011년 04호

    항성진화모형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며 “올해부터는 북반구에 있는 구상성단과 왜소은하도 관측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국연구재단과 교육과학기술부는 지난 2월 이 교수를 ‘이달의 과학기술자’로 선정했다 ...

  • 호주 밤하늘엔 숨어 있던 은하수가 뜬다

    호주 밤하늘엔 숨어 있던 은하수가 뜬다

    과학동아 2010년 09호

    Tucanae, 큰부리새자리구성성단)과 어울려 당당한 자태를 뽐낸다. 사실은 우리은하에 속한 구상성단인데 보이는 방향이 소마젤란은하와 비슷해 가까이 붙어 있는 것처럼 보인다. 다시 오리온자리가 거꾸로 뜨면서 동이 터온다. 아니다. 가까이 있어 엄청나게 밝은 태양별이 떠오른다. 그 빛을 받아 ...

  • 작은 은하 잡아먹던 과거

    작은 은하 잡아먹던 과거

    과학동아 2010년 07호

    계층적 은하형성 모형에서 설명할 수 없는 심각한 문제이다.그런데 왜소은하의 잔재인 구상성단을 고려하면 그 심각성을 상당히 완화시킬 수 있다. 또는 이론에서 예측하듯 수많은 왜소은하들이 우리 은하 주위를 맴돌지만, 거의 대부분의 질량이 눈에 보이지 않는 암흑물질로 구성돼 있어 단지 ...

  • 은하 중심부에 막대가 있었다

    은하 중심부에 막대가 있었다

    과학동아 2010년 07호

    0만 광년이고 그 중심으로부터 태양은 약 4만 5000광년 떨어져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그는 구상성단의 분포 중심이 우리 은하의 중심이라고 가정했다. 섀플리의 우리 은하 모형은 허셜-캅테인 모형과는 달리 태양이 우리 은하의 중심에 있지 않은 셈이다. 이는 코페르니쿠스의 태양중심설보다 더 큰 ...

  • 우주방랑자 구상성단 무리 첫 발견

    우주방랑자 구상성단 무리 첫 발견

    과학동아 2010년 04호

    분광기를 사용해 얻은 관측 자료를 분석해 이 같은 사실을 밝혀냈다. 이 교수는 “구상성단은 우주 탄생 후 가장 빨리 태어난 천체이기 때문에 별과 은하의 탄생, 진화 과정의 비밀을 밝힐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는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으로 이뤄졌다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