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동! 기자단] 반짝반짝 황금빛 보물을 간직한 엘도라도

    [출동! 기자단] 반짝반짝 황금빛 보물을 간직한 엘도라도

    어린이과학동아 2018년 17호

    만든 산성용액으로 표면을 닦으면 산의 작용으로 구리 산화물이 없어지고, 유물에서 이 나게 된답니다. 얼굴은 사람, 몸은 박쥐!“이 유물은 미키마우스를 닮았어요!”전시를 관람하던 이민재 기자가 ‘사람 모양 장식’을 가리키며 이처럼 말했어요. 사람 모양 장식은이름과 달리 여러 동물을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

    어린이과학동아 2018년 14호

    에너지가 낮은 안정한 상태로 바뀌면서 두 상태의 에너지 차이만큼 빛을 내놓지요.  발(發光)은 한자 ‘필 발(發)’과 ‘빛 (光)’으로 이뤄진 단어예요. 필 발(發)에는 ‘나아간다’는 의미인 ‘발(癶)’과 활을 가리키는 ‘궁(弓)’이 포함돼 있어요. ‘활을 쏘다’라는 의미에서 ‘떠나가다’, ...

  • [과학뉴스] 카멜레온처럼 색 변하는 전고체 소재 개발

    [과학뉴스] 카멜레온처럼 색 변하는 전고체 소재 개발

    과학동아 2018년 12호

    이전에도 있었지만, 액체 환경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결정 소재를 유연한 전고체 상태의 필름 형태로 만들어 굴곡진 표면에서도 장기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했다. 향후 이 소재는 구부릴 수 있는 전자종이, 군사용 위장막 등 다양한 곳에 활용될 수 있다. 박 ...

  • 세계 13위, 韓 슈퍼컴퓨터 누리온

    세계 13위, 韓 슈퍼컴퓨터 누리온

    과학동아 2018년 12호

    ‘타이후즈’이 3위를 기록했다. 2013년 6월 이후 지난해까지 1위 자리를 지켰던 중국 저우 국립슈퍼컴퓨팅센터의 ‘텐허2A’는 4위를 기록했다. 그 밖에 스위스(5위), 일본(7위), 독일(8위)의 슈퍼컴퓨터가 10위권에 들었다.   ● Interview “1억 건 데이터와 ‘누리온’ 결합해 데이터 생태계 ...

  • 물리학상 - 빛으로 나노입자 집는 '광집게'

    물리학상 - 빛으로 나노입자 집는 '집게'

    과학동아 2018년 11호

    NIST) 방문연구원을 지냈다. 현재 GIST 기계공학부 교수로 있다. 2000년부터 집게를 연구했으며, 이외에도 자율주행자동차와 3D 및 4D 프린팅 등을 연구하고 있다. lygu@gist.ac ...

  • 2018 노벨상

    2018 노벨상

    과학동아 2018년 11호

    10월 1일 노벨 생리의학상을 시작으로 올해 노벨 과학상 수상자가 발표됐다. 생리의학상은 우리 몸 속 면역세포의 암 치료 능력을 높인 차세대 항암제를 개발한 과 ...            고출력 레이저 시대를 열다             빛으로 나노입자 집는 '집게' PART 4. 효모와 항체 생산의 진화를 ...

  • 물리학상 - 고출력 레이저 시대를 열다

    물리학상 - 고출력 레이저 시대를 열다

    과학동아 2018년 11호

    단장을 맡고 있다. chnam@gist.ac.kr성재희 KAIST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2005년부터 GIST 고등기술연구소 책임연구원으로 있다. IBS 초강력레이저과학연구단 학연연구위원으로 초강력 레이저 개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sungjh@gist.ac ...

  • 빛의 속력으로 정의한 ‘완벽한 단위’ 미터

    빛의 속력으로 정의한 ‘완벽한 단위’ 미터

    과학동아 2018년 10호

    수십에서 수백 나노미터(nm·1 nm는 10억 분의 1 m)에 불과하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서는 학 간섭계를 이용해 이런 게이지 블록을 측정하고 있다. 강 책임연구원은 “표준을 유지하고 향상시키는 것은 표준을 확립하는 것만큼이나 중요한 일”이라며 “나라간 기술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역할이 ...

  • Part 3. 과학으로 되살린 화려한 조선 옷감

    Part 3. 과학으로 되살린 화려한 조선 옷감

    과학동아 2018년 09호

    31건을 분석했다. 심 교수팀은 X선 형분석기를 이용해서 금사의 성분을 알아냈다. X선 형 분석기는 시료에 X선을 쪼였을 때 시료를 구성하는 원자의 종류에 따라 방출되는 X선의 파장이 다르다는 점을 이용해 물질을 구성하는 원자의 종류를 분석하는 장치다.분석 결과 고려와 조선의 금사는 얇은 ...

  • [Culture] 영화 속 그 기술, 어디까지 왔나

    [Culture] 영화 속 그 기술,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2018년 08호

    있다.    나노 기술의 발달로 이 구조를 모사한 기술은 곳곳에 사용되고 있다. 이종호 주과학기술원(GIST) 교수팀은 실제 게코 도마뱀 두 마리에서 발가락 당 약 5개의 천연 섬모를 채취했다. 접착력이 강하면서도 쉽게 떨어지는 반도체 공정 개발로 이어졌고, 연구 결과는 2014년 국제학술지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