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산수의 산학유랑기

    김산수의 산학유랑기

    수학동아 2012년 10호

    수 있다. 은 백과사전 형식의 수학·과학서다. 황윤석은 정6품에 해당하는 하급관직에 머물렀지만, 청나라를 통해 들어오는 백과사전식 책에 심취하여 수학·과학 연구에 매진했다. 그 결과를 에 담았다.총 23권 이루어진 에는 과 〈황극경세성음해> 등 ...

  • “전문 항공기술의 꿈에 도전하라”

    “전문 항공기술의 꿈에 도전하라”

    과학동아 2011년 07호

    우리 학교를 졸업하는 모든 학생들은 공군의 항공기술 부사관으로 임관(군인으로서 관직에 임명됨)해 전국 각지 공군부대에서 관제, 기상, 정보통신, 항공기 정비 등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국가에 봉사하는 군 간부를 희망하는 학생과 항공기술을 습득해 국내외 항공 분야 진출을 꿈꾸는 ...

  • Part 2. 죽음의 안식처, 무덤에게 묻는다

    Part 2. 죽음의 안식처, 무덤에게 묻는다

    과학동아 2011년 06호

    발견됐다는 뜻에서 168호분 미라라고 불린다. 이 미라는 살아생전 우다이푸(五大夫)라는 관직을 지냈다. 현재의 시장, 도지사 같은 지방관이다. 180여 개나 되는 무덤 중 이 미라만 발굴된 이유가 뭘까. 1975년 당시 주변으로 고속도로를 건설하던 중 발견했다는 것이 박물관 학예사의 설명. 그는 “남은 ...

  • Part 3. 확률과 전략이 절묘할 때 승리하는 윷놀이

    Part 3. 확률과 전략이 절묘할 때 승리하는 윷놀이

    수학동아 2011년 02호

    정월 대보름, 추석 등 명절에 가장 인기 있는 전통놀이다. 도, 개, 걸, 윷, 모는 부여의 관직명인 저가(도), 구가(개), 우가(윷), 마가(모)에서 왔으며, 걸은 노새를 가리키는 거루에서 왔다고 한다. 지금은 도는 돼지, 개는 개, 걸은 양, 윷은 소, 모는 말로 본다. 이들은 모두 사람과 함께 사는 가축으로 ...

  • 한국 미라에는 ‘저주’가 없다

    한국 미라에는 ‘저주’가 없다

    과학동아 2010년 08호

    5월 9일 관에서 꺼낸 미라가 후처, 30일 꺼낸 미라가 전처다. 두 번째 미라는 남편의 관직 품계에 따라 정9품 품계를 받았으며 첫 번째 미라는 6품 품계를 받았다. 당시 정9품부터 한 단계씩 오르는 데 평균 450일이 걸린 것을 감안하면 7년여 만에 두 아내를 모두 잃은 셈이다.미라는 모두 석관인 회격묘 ...

  • 지오의 나라

    지오의 나라

    수학동아 2010년 07호

    천민의 신분을 벗어나 관직에 오를 수 있는 절호의 기회인 것이다.하지만 충심이나 관직 따윈 지오와는 상관 없는 일이었다. 지오가 연월치인이 되기로 마음을 먹은 것은 오직 누나를 만날 수 있다는 희망 때문이니까.며칠 후, 천지관에선 연월제가 열렸다. 본격적으로 연월기 작업이 시작되는 ...

  • 설립 700주년_서운관의 잠 못 드는 밤

    설립 700주년_서운관의 잠 못 드는 밤

    과학동아 2008년 12호

    대를 이어 천문학에 종사했음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 인구는 700만 명 정도였는데, 관직은 오직 2500개뿐이었다. 공무원이 되면 어느 정도 생활이 보장됐기 때문에 대를 이어 천문학자가 될 만했다. 심지어 어릴 적부터 자식들에게 천문학을 공부시켰음이 분명하다. 왜냐하면 천문학자를 뽑는 과거 ...

  • 히파르쿠스와 브래들리

    히파르쿠스와 브래들리

    과학동아 2006년 09호

    방향을 정하며 피라미드를 건설했다.중국인들은 3000년 전, 하늘에 떠있는 별에 계급과 관직을 부여했다. 당연히 수많은 별 중에서 왕이 될 별이 필요했다. 그 별은 바로 하늘의 주인이라는 뜻의 이름을 붙인 ‘천주성’이었다. 천주성은 오늘날 작은곰자리 베타별로 2등급의 밝은 별이다.현재 ...

  • 월식도 주기가 있다

    월식도 주기가 있다

    과학동아 2005년 10호

    것이 대단히 중요했다. 이를 위해 천문학을 제왕의 학문으로 삼았고 이를 연구하는 관직을 둬 특정 사람들만 연구하게 했다.지구와 달의 운행을 손바닥 보듯이 알고 있고, 또 계산할 수 있는 요즘에는 일식이나 월식을 예측하기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다. 그러나 지구를 중심으로 달과 태양이 돌고 ...

  • 고대인의 필기노트, 죽간과 목간

    고대인의 필기노트, 죽간과 목간

    과학동아 2002년 11호

    찾아낸 목간에는 삼국사기의 기록으로만 전해지던 ‘세택’(洗宅)이라는 신라관직의 이름이 나와 이를 다시 한번 확인하는 계기가 됐다. 경남 함안산성 목간에서는 신라시대의 경상북도 여러 지방 이름이 적혀있어 성을 쌓기 위해 먼 지방의 백성까지 동원했음을 짐작할 수 있었다.충남 부여의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