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ART 02. 알레르기 잡아먹는 기생충

    PART 02. 알레르기 잡아먹는 기생충

    과학동아 2005년 06호

    1999년 국내 신문에 기생충을 뱃속에서 기른 ‘괴짜’ 의사의 이야기가 실렸다. 일본 도쿄의치대 후지타 고이치로 교수가 주인공이다. 후지타 교수는 자신의 장 속에서 촌충을 3년이나 길렀다. 당시 촌충을 구하기가 어려워 그는 어시장에서 불결한 생선을 골라먹고 겨우(?) 촌충에 감염됐다고 한다. ...

  • 세균 사탕발림에 놀아난 면역계

    과학동아 2005년 04호

    인간 내장에는 대략 1000조개의 박테리아가 살고 있다. 이들은 어떻게 인체의 면역계를 자극하지 않고 함께 살 수 있을까. ‘면역 역설’로 불리는 이 현상을 설명하는 연구결과가 최근 나왔다. 미국 하버드의대 로리 콤스탁 교수팀은 미생물이 숙주에서 얻은 당분자로 표면을 코팅함으로써 숙주와 ...

  • 진화의 고리, 미생물의 힘

    진화의 고리, 미생물의 힘

    과학동아 2004년 07호

    공생이란 두가지 다른 생물체가 오랜 기간에 걸쳐 긴밀한 협력관계를 맺으며 살아가는 것을 뜻한다. 여기서 재미있는 사실은 공생의 다른 한쪽을 이루는 개체가 미생물인 경우가 많다는 것. ‘공생, 그 아름다운 공존’은 생물의 생명활동과 진화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는 미생물의 가치를 조명하 ...

  • 장기이식 어디까지 가능할까

    장기이식 어디까지 가능할까

    과학동아 2004년 06호

     지난 4월 9일 가톨릭대 의대 강남성모병원에서는 8시간에 걸친 소장이식수술이 진행됐다. 환자는 창자로 가는 혈관이 막혀 못쓰게 된 소장 대부분과 대장 절반을 제거한 상태였다. 따라서 영양분을 소화·흡수할 소장이 모자라 음식을 입으로 먹어서는 정상적인 생활이 불가능했던 것이다.우리는 ...

  • 겸손한 과학이 만든 인간과 자연 공동체

    겸손한 과학이 만든 인간과 자연 공동체

    과학동아 2002년 12호

    바다를 메우고 강과 하천을 덮고 만든 땅과 도로가 개발과 번영의 상징이던 시대가 끝나고 있다. 도시화·산업화가 지상과제여서 난개발 속에서도 제 목소리를 내기 어려웠던 과거와 달리, 요즘은 첨단도시 속에서도 맑은 시냇물이 흐르고 산새들이 지저귀는 소리를 들을 수 있는 지역이 대접받고 ...

  • 바람계곡의 나우시카

    바람계곡의 나우시카

    과학동아 2001년 02호

    1월 9일 오후 5시부터 8시까지 장장 3시간에 걸쳐 두번째 방담회가 진행됐다. 애니메이션의 거장,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작품이기 때문인지 감독의 철학이나 사상에 대해 논의하는 등 시종일관 색다르고 흥미로운 대화가 오갔다. 환경과 생태 문제를 다루는 영화로 알려진 만큼 서울대 환경대학원 ...

  • 원격수술로봇

    원격수술로봇

    과학동아 1999년 07호

    위한 원격시스템이 개발돼 봉합용 실을 잡고 자르는 동작을 보여줬다.로봇과 사람의 공존공생 시대KAIST의 기계공학과 텔레로보틱스 및 제어연구실은 미세수술용 원격수술시스템을 개발하면서 세계와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다. 1996년부터 보건복지부의 지원으로 개발한 이 시스템은 손잡이를 잡고 ...

  • 생태맹극복의 지름길

    생태맹극복의 지름길

    과학동아 1998년 08호

     뉴욕시에 사는 한 건축가가 이상적인 거주지의 조건을 시민들 1천명에게 물었다. 응답자의 70% 이상이 전망이 탁 트인 숲 속에 집을 짓고, 가능하다면 강이나 호수가 보이는 곳에 살고 싶다고 했다. 첨단 문명에 둘러싸인 도시민들이 전망 좋은 숲 속에서 살고 싶어하는 이유는 무엇 때문일까?자연 ...

  • 1 유전자지도 완성, 생명의 신비 밝힌다

    1 유전자지도 완성, 생명의 신비 밝힌다

    과학동아 1995년 04호

    휴먼 게놈프로젝트는 21세기 인류의 삶을 바꿔놓을 것인가. 출범후 5년이 지난 휴먼게놈프로젝트란 무엇이며 어떤 과정을 밟고 있는지, 이 프로젝트 완성이 낳을 미래사회는 어떤 것일지 살펴보자.20세기 인류최대의 프로젝트인 인체게놈연구가 범세계적으로 착수된 지 벌써 5년이 지났다. 그동안 ...

  • 생물- 지표종 이용, 환경오염 정도 알 수 있다

    생물- 지표종 이용, 환경오염 정도 알 수 있다

    과학동아 1994년 04호

    그리고 단세포인 조류는 균사로부터 수분을 얻어 동화작용에 활용하고 있다. 이들은 공존공생하는 관계로 서로 떨어지면 둘 다 죽게 된다.그런데 이들 지의류는 대기오염이 심해지면 고등 식물보다 먼저 자취를 감춘다. 대기 오염의 정도와 지의류의 변화 사이의 상관관계를 연구한 결과 다음과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