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은 블랙홀일수록 빨리 폭발한다!

    작은 블랙홀일수록 빨리 폭발한다!

    어린이과학동아 2004년 21호

    빅뱅 직후 태어난 미니 블랙홀들은 증발하여 없어집니다. 특히 질량이 아주 작은 것들은 급격히, 마치 폭발하는 것처럼 빛과 물질을 내면서 증발합니다. 이것은 상상 속에서만 존재하는 화이트홀과 거의 마찬가지라고 할 수 있습니다. 화이트홀이 뭐냐고요? ‘뭐든지 빨아들이는 블랙홀이 있으니까 ...

  • 슈퍼맨은 정말 가능할까

    슈퍼맨은 정말 가능할까

    과학동아 2004년 12호

    영화에 등장한 여러 슈퍼영웅을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탐구한다(도널드 덕도 등장한다). 공상과학소설 작가와 만화가로 활동하는 두 저자는 이 책으로 지난해 의사소통전문가협회에서 2개의 상을 받았다.저자는 슈퍼맨이 보통 지구인보다 1000배나 힘이 세다고 지적한다. 중력의 차이로 슈퍼맨의 힘을 ...

  • 1. 분자로 나노기계 만든다

    1. 분자로 나노기계 만든다

    과학동아 2004년 11호

     “괴질 확산으로 정신이 없는 의사 돌레프는 새로운 환자가 들어왔다는 호출을 받고 응급실로 달려갔다. 응급실에는 30대 초반의 한 남자가 온몸에 경련을 일으키고 있었다. 돌레프는 그의 얼굴과 몸 전체로 괴질이 이미 심하게 번진 것을 한눈에 알 수 있었고, 과연 그가 자신이 옆에 있는 것조차 ...

  • 5명 선원과 1마리 원숭이의코코넛 나눠갖기

    과학동아 2004년 07호

    소재로 한 문학 작품은 드물다. 물리학은 공상과학소설의 소재로 자주 등장하지만, 수학을 소재로 한 작품은 좀처럼 찾아보기 힘들다. 수학을 소재로 한 많지 않은 작품 가운데 아마도 가장 유명한 것은 1926년 발표된 벤 에임스 윌리엄스의 단편 소설 ‘코코넛’이 아닐까 싶다.이 소설의 줄거리는 ...

  • 3 2020년에는 사이버 섹스도 가능

    3 2020년에는 사이버 섹스도 가능

    과학동아 2003년 11호

    2020년 가을, 결혼한 지 일년이 되는 김씨는 업무가 끝난 뒤에도 컴퓨터 모니터 앞에 앉아있다. 조만간 결혼기념일이라 아내에게 줄 선물을 찾기 위해서다. 무엇을 선물할까 고민하다가 일단 여성 옷을 취급하는 인터넷 쇼핑몰에 들어갔다. 모니터 화면에는 ‘겨울을 준비하세요’라는 카피와 함께 ...

  • 또다른 내가 무한개 우주에 살고있다

    또다른 내가 무한개 우주에 살고있다

    과학동아 2003년 04호

    ‘이 평행우주, 정말 마음에 드는군.’영화 ‘큐브2’(Hypercube)에서 점점 폭력적으로 변해가는 사립탐정 사이먼 그래디가 똑같은 사람을 세번이나 죽이고, 또 다음 사람을 죽인 후 내뱉는 말이다. 이 영화에서 나타나는 많은 상황은 우리가 살고 있는 현실 세계에서는 절대 있을 수 없는 일이다.옆방 ...

  • 연극 무대 위로 올라간 과학자

    연극 무대 위로 올라간 과학자

    과학동아 2002년 09호

    “내가 최초로 발견했습니다.” “발표는 내가 최초입니다.” “최초로 이해한 건 나입니다.” 지난 8월 11일 포항 문예회관 대강당 무대에서는 하나의 역사적 사실을 두고 세명의 남자가 다투고 있었다. 이 남자들이 다투고 있는 것은 산소 발견의 우선권. 바로 ‘산소’라는 연극의 한 장면이다.극 ...

  • PART1 벤처 블루칩으로 등극한 나노기술

    PART1 벤처 블루칩으로 등극한 나노기술

    과학동아 2002년 07호

    나노기술이 벤처투자업계에서 새로운 투자 유망 분야로 등극하고 있다. 2-3년 내에 나노상품이 등장할 전망이다.나노기술의 상업화가 수면 위로 떠오른 것이다."새로운 금광은 나노기술에서 찾아라."최근 세계적인 벤처투자업계에서 해 저무는 정보통신기술을 대신할 투자 유망 분야로 나노기술이 ...

  • PART3 암세포 공격하는 나노 미사일

    PART3 암세포 공격하는 나노 미사일

    과학동아 2002년 07호

    나노로봇이 인체 내 직접 약물을 전달하고 치료한다. 이것은 나노기술이 생명과학과의 만남을 통해 이루고자 하는 먼 장래의 환상적인 꿈이다. 그렇다면 나노바이오가 그리는 가까운 미래는 어떤 모습일까.불과 수개월만에 사람들이 나노기술이라는 말에 익숙해졌다. 정부에서 나노기술 개발을 위 ...

  • SF영화, 그리고 로봇

    SF영화, 그리고 로봇

    과학동아 2002년 06호

    지난 4월 SF영화의 고전 ET(스티븐 스필버그 감독, 1982)가 제작 20주년을 맞아 재개봉됐다. 못생긴 얼굴과 기괴한 생김새에도 불구하고 전세계 어린이들의 친구로 꾸준한 인기를 얻었던 ET. ET는 인간에게 위협적이고 부정적인 존재로 인식됐던 외계인을 지구인의 친구로, 그것도 어린이의 친구로 받아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