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뉴스] 다리 12개 지네 로봇 행성 탐사도 가능

    [과학뉴스] 다리 12개 지네 로봇 행성 탐사도 가능

    과학동아 2023년 07호

    유연성을 찾아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몸통을 연결하는 관절이 유연해야 지네 로봇이 곡선을 그리며 움직이는데, 이 유연성이 너무 커지면 움직임이 오히려 불안정해진다는 점을 확인한 것이다. 미리아포드는 관절의 유연성을 효과적으로 통제해 앞서 개발된 지네 로봇보다도 더 안정적이고 ...

  • [Reth?nking] 대수와 기하는 어떤 관계인가?

    [Reth?nking] 대수와 기하는 어떤 관계인가?

    수학동아 2023년 07호

    곡선이 필요한 문제예요.   데카르트는 이 분류를 보며 진정한 의미에서 기하학적인 곡선이 무엇인지에 대해 탐구했던 것 같습니다. 이로 인해 기하학의 범위는 어디까지인지를 고민하게 됐던 것 같고요. 이런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기하학의 범위를 대수학과 연결할 수 있는 범위까지 확장하고, ...

  • [이달의 책] 사랑 없는 미래에서 상상한 인간의 조건

    [이달의 책] 사랑 없는 미래에서 상상한 인간의 조건

    과학동아 2023년 06호

    상징으로 자리 잡았다. 이 세 권의 책은 현대과학과 과학자들이 이룬 아름다운 곡선의 시작과 끝을 담았다. 이 책의 제목 ‘휘어진 시대’는 현대과학과 그 속에서 빛나는 과학자들의 삶이 그들의 의지와 무관하게 일그러진 과정처럼 보이기도 한다. 1권에 등장하는 뢴트겐이나 퀴리 부부의 작업과 ...

  • [똥손 수학 체험실] 내가 만드는 마이보 퍼즐

    [똥손 수학 체험실] 내가 만드는 마이보 퍼즐

    어린이수학동아 2023년 06호

    안 돼요. 곡선이 있거나 중간에 끊어진 변이 있다면 다각형이라고 할 수 없답니다. 곡선으로만 이뤄진 ‘원’은 다각형이라고 부르지 않지요. 다각형의 성질을 떠올리며, 퍼즐을 직접 만들어 볼까요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GPS, 자기장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GPS, 자기장

    어린이과학동아 2023년 05호

    자석 주위에서 곡선으로 배열되지요. 이와 같이 자기장은 곡선의 형태를 띠는데, 이 곡선을 그림으로 나타낸 것을 ‘자기력선’이라고 해요. 자기력선이 촘촘하게 모여 있을수록 자기장의 세기가 더 강합니다. 주로 자석과 가까운 곳에서 자기력선이 촘촘해요. 자기력이 강한 곳이기 때문이지요 ...

  • [Reth?nking] 기하학에서 재다의 의미는?

    [Reth?nking] 기하학에서 재다의 의미는?

    수학동아 2023년 05호

    원뿔을 잘라서 원, 타원, 포물선, 쌍곡선 등의 곡선을 만들었습니다. 점점 더 복잡한 곡선을 가정해서 재보거나 기하학적으로 표현하는 단계까지 나아갔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지요. 또 다른 차원의 확장은 멈추어 있던 도형에서 움직임을 반영한 도형까지 나아갔어요. 천문학에서는 기하학을 ...

  • [이달의 책] 45억 년 지구가 보여주는 가장 놀라운 지형들

    [이달의 책] 45억 년 지구가 보여주는 가장 놀라운 지형들

    과학동아 2023년 05호

    깊어졌다.고래상어 그림을 감상하러 심해로 떠났다가 함정에 빠진 로봇 이야기(‘수요곡선의 수호자’), 시간 여행을 둘러싼 연인의 사랑스러운 미스터리(‘미래과거시제’), 판소리로 펼쳐지는 재기발랄 로봇 전투담(‘임시 조종사’)까지 배명훈은 언어와 시간과 공간을 자유롭게 조작한다. 그는 ...

  • [SF] 끝내

    [SF] 끝내

    과학동아 2023년 04호

    밑돌던 사용자의 피부온도가 순간적으로 0.2℃가 더 내려가더니 완만한 하향곡선을 그리기 시작한다. 그의 생체신호가 개선되자 내 스트레스 레벨도 내려간다. 어쩐지 긍정적인 예감을 갖고 다시 한 번 메시지를 보낸다.—나무 냄새, 풀 냄새, 꽃 냄새 맡으며 달리고 싶으면 물을 마셔야 해.어쩐지 ...

  • 60년 묵은 생체시계 난제 해결

    60년 묵은 생체시계 난제 해결

    수학동아 2023년 04호

    관련 있지 않을까?’하는 직관이 들었어요. 그래서 이 변수를 모형에 넣으니까, 분해 곡선이 딱 계단 모양을 그리는 거예요! 다음 6개월 동안엔 이 예측이 맞는지 벌십 교수가 실제 실험으로 검증했죠. 이런 내용만 담아 논문을 내면 됐는데, ‘인산화 스위치가 아무 이유 없이 존재하지 않을 ...

  • [러셀 탐구생활] 제 4장 수학을 향유하는 인생 친구를 만나다

    [러셀 탐구생활] 제 4장 수학을 향유하는 인생 친구를 만나다

    수학동아 2023년 04호

    두 점이 아주 살짝만 떨어져 있다면 ε은 0이나 다름이 없겠죠.  따라서 ε = 0으로 두면, 곡선의 기울기는 2라는 답을 얻습니다. 혹시 여러분의 반응이 ‘띠용?’이라면 정상입니다. 방금의 논증은 상당히 의심스럽습니다. 정말로 ε = 0이라면 두 점은 살짝 떨어져 있기는커녕 아예 동일한 점일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