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전! 반려동물] 앵무새 자꾸 새장에 머리를 박아요!

    [실전! 반려동물] 앵무새 자꾸 새장에 머리를 박아요!

    어린이과학동아 2018년 15호

    충분히 주면 과일과 채소를 먹지 않을 수도 있어요. 따라서 조금 모자란 정도의 곡물 사료를 주면 과일과 채소를 먹도록 유도할 수 있답니다.  또 반려조가 사료와 물을 충분히 먹었는지 식사량을 수시로 체크하는 것이 좋아요. 스트레스를 받거나 질병에 걸리면 가장 먼저 식사량이 줄거든요. ...

  •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2018년 12호

      니콜라스 왈드 영국 퀸메리 런던대 의·치과 교수팀은 영국을 비롯한 유럽 국가들에서 곡물 제품에 엽산을 넣는 것이 의무화되지 않는 이유를 크게 3가지로 설명했습니다.doi:10.1186/s40985-018-0079-6 첫째는 몇몇 전문가 집단이 엽산 섭취를 신경관 결함의 위험 요인으로 명시할 뿐, 중요한 요인으로 ...

  • 젖소, 돼지, 양, 연어…AI는 동물 얼굴도 인식할까?

    젖소, 돼지, 양, 연어…AI는 동물 얼굴도 인식할까?

    과학동아 2018년 12호

      카메라 20대가 초당 10회 젖소 촬영 농장의 젖소도 얼굴 인식의 대상입니다. 미국 최대 곡물 기업인 카길(Cargill)은 올해 1월 아일랜드의 IT 기업인 케인투스(Cainthus)에 투자해 주목을 받았습니다. 케인투스는 2016년 세계 최초로 젖소의 얼굴을 인식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한 기업입니다. 케인투스의 ...

  • [과학뉴스] 무더위 때문에… 번식력 떨어진 수컷 곤충

    [과학뉴스] 무더위 때문에… 번식력 떨어진 수컷 곤충

    과학동아 2018년 12호

    떨어진다는 연구결과를 ‘네이쳐 커뮤니케이션스’ 11월 13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곡물 해충인 거짓쌀도둑거저리(Tribolium castaneum)를 두 그룹으로 나눠, 한 그룹은 곤충의 생육에 적합한 35도에서, 다른 한 그룹은 이보다 5~7도가량 높은 환경에서 5일 동안 사육했다. 그 결과 연구팀은 높은 온도에서 ...

  • 곡식의 왕 '밀' 유전자 지도 완성

    곡식의 왕 '밀' 유전자 지도 완성

    과학동아 2018년 11호

     서 교수는 “밝혀낸 밀 유전자의 기능을 지속적으로 연구해나갈 계획”이라며 “곡물 중 가장 큰 밀의 지도가 완성된 만큼, 유사한 유전자를 가진 벼나 보리에 대한 연구도 더욱 의미 있는 진전을 이룰 것”이라고 예상했다 ...

  • 도축은 이제 그만! 오늘 점심은 인공고기 햄버거?

    도축은 이제 그만! 오늘 점심은 인공고기 햄버거?

    과학동아 2018년 11호

    먹일 사료를 재배하기 위해 나무를 베고 경작지를 늘려야 한다. 이에 따라 사료용 곡물 가격은 오르고, 덩달아 육류의 가격도 오르게 된다. 녹지도 줄어들어 온실가스 배출량은 77% 증가한다. 정초록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줄기세포연구센터 책임연구원은 “가축 수가 증가하면서 국내의 경우 ...

  • [통합사회 요점 정리 11] 세계 인구와 인구 문제

    [통합사회 요점 정리 11] 세계 인구와 인구 문제

    과학동아 2018년 11호

    미국 동부 지역, 우리나라의 수도권이 있다. 인구가 희박한 지역으로는 기후가 한랭해서 곡물을 재배할 수 없는 한대 기후 지역, 물을 구하기 어려워 식량을 생산할 수 없는 사막 기후 지역, 열대림이 울창하게 형성돼 거주지를 개발하기 어려운 열대 우림 지역 등이 있다. 세계 인구는 특정 지역에 ...

  • Part 4. 음악의 표준이 통치의 표준

    Part 4. 음악의 표준이 통치의 표준

    과학동아 2018년 09호

     양기를 크게 만드는 경우가 보편적이지만 적게 만드는 경우도 있었다. 이럴 경우 곡물을 빌려줄 때는 적은 양기를 사용하고, 받을 때는 큰 양기를 사용해 중간 차익을 취득했다. 그래서 양기의 변조를 방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검인(檢印)과 함께 테두리에 철을 둘러싸기도 했다.조선 후기에 ...

  • [과학동아 X KRISS] 130년 만에 플랑크 상수로 다시 태어나는 킬로그램(kg)

    [과학동아 X KRISS] 130년 만에 플랑크 상수로 다시 태어나는 킬로그램(kg)

    과학동아 2018년 05호

    질량을 표시하는 보조계량단위인 ‘캐럿’이 캐럽나무 씨앗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곡물을 저울에 사용한 건 동양의 국가들도 마찬가지였다. 영국에서 보리 7000알의 무게를 1 파운드로 정의한 것처럼, 쌀을 주식으로 재배하는 우리나라나 중국에서는 쌀 한 가마니를 기준으로 질량을 쟀다. ...

  • [시사기획] 남북 과학기술 협력 분야

    [시사기획] 남북 과학기술 협력 분야

    과학동아 2018년 05호

    않고 있다. 2015년 기준 북한의 곡물자급률은 70~80%에 이른다. 1960년대 90%였던 남한의 곡물자급률은 현재 24% 수준이다.  그간 김일성 정권은 옥수수, 김정일 정권은 감자로 식량부족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 하지만 옥수수와 감자의 생산량을 늘리기 위해서는 첨단 기술이 필요한 만큼 북한의 상황에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