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눈에 보는 교과 맵

    한눈에 보는 교과 맵

    어린이과학동아 2017년 09호

    기능을 알기 위해서는 먼저 구조를 알아야 해요. 이때는 X-선을 이용하지요. ‘단백질 결정학’이라고 부르는 이 분야를 개척한 사람은 영국의 과학자인 도로시 호지킨이랍니다.1910년 5월 12일에 태어난 호지킨은 옥스퍼드대학교에서 화학을 전공하고 케임브리지대학교에서 박사 과정을 시작했어요. ...

  • [과학뉴스] 혈액을 타고 달리는 하트 단백질

    [과학뉴스] 혈액을 타고 달리는 하트 단백질

    과학동아 2016년 03호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되는 단백질의 구조는 신약 개발에 매우 중요한 요소로, NIH는 X선 결정학, 핵자기공명 분광학 등을 이용해 단백질의 구조를 파악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 ...

  • 무질서 속에 질서가 있다!

    무질서 속에 질서가 있다!

    과학동아 2014년 08호

    규칙성을 부여할 이론이 제안됐다.미국 펜실베니아대 물리학과 안드레아 리우 교수는 결정학을 통해서 구조를 알지 못하는 ‘무질서한’ 물질의 구조를 설명하는 새로운 이론을 연구해 그 결과를 ‘네이처 피직스’ 7월 7일자에 발표했다. 리우 교수팀은 비결정성 고체인 유리를 연구했다. 유리는 ...

  • 캡틴 아메리카, 준결정의 비밀을 찾아라!

    캡틴 아메리카, 준결정의 비밀을 찾아라!

    수학동아 2014년 04호

    고체의 결정을 이룰 수 없다고 알려진 구조들로, 새로운 준결정이 계속 발견되며 결국 결정학 교과서를 새로 써야 했다.지난 해 12월에는 일본 쥬오대학 이공학부 물리학과, 물질재료연구기구, 도호쿠대학 다원물질과학연구소, 영국 리버풀대학 공동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단일 원소로 이루어진 ...

  • 2014 결정학의 해 물질의 비밀 푸는 열쇠, 결정!

    2014 결정학의 해 물질의 비밀 푸는 열쇠, 결정!

    어린이과학동아 2014년 01호

    구조를 밝혀 주면서 생명과학이 발전할 수 있는 문을 활짝 열어 준 거야. 지금까지 X선 결정학과 관련 있는 연구가 받은 노벨상만 해도 20여 개나 된다니…, Wow$^{[와우]}$ 와! 대단한걸?결정이 지도고 열쇠라고?결정구조가 지도라고?물질의 모든 성질은 그 물질을 구성하는 원소의 종류와 결정구조에 ...

  • 완벽한 기하학의 집합체, 눈

    완벽한 기하학의 집합체, 눈

    수학동아 2014년 01호

    관찰한 결과라는 점이다. 이뿐만 아니라 케플러의 추측은 약 300년이 지난 후 ‘X선 결정학’의 등장과 함께 사실이었음이 검증되었다. 당시 과학자들은 X선으로 얼음을 포함한 다양한 결정을 촬영해 분자가 규칙적으로 쌓이는 현상을 관찰했다. 그리고 이러한 현상을 통해 결정의 대칭을 설명할 수 ...

  • 미지의 물질을 보는 창 결정

    미지의 물질을 보는 창 결정

    과학동아 2014년 01호

    만들었다.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연구의 기초 단계를 지지하고 있는 결정학, 2014년 결정학의 해를 맞아 우리는 얼마나 새로운 결정을 찾아낼지 기대된다 ...

  • [해외취재] 피터팬 VS 후크 선장, 수학 예술로 네버랜드를 바꿔라!

    [해외취재] 피터팬 VS 후크 선장, 수학 예술로 네버랜드를 바꿔라!

    수학동아 2013년 10호

    사실을 알게 됐다. 또한 테셀레이션이 수학자와 과학자들이 함께 연구하는 ‘결정학’이라는 분야와 관련돼 있다는 사실도 알게 됐다.뿐만 아니라 에스허르는 더 이상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떠오르지 않아 작품 활동이 침체에 빠졌을 때, 콕스터의 도움을 받아 한 걸음 더 나아갈 수 있었다. 콕스터가 ...

  • 단백질 어떻게 보시나요? 3D로 봅니다!

    단백질 어떻게 보시나요? 3D로 봅니다!

    과학동아 2012년 12호

    상호보완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올해 노벨스타이츠구조생물학센터는 X선 결정학으로 박테리오파지 바이러스(T7)의 DNA중합효소와 DNA의 복합체 구조를 규명하는 데 성공했다. 현재는 박테리오파지 대신 인간의 DNA중합효소와 DNA의 복합체 구조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를 하고 있다. 엄 ...

  • 바이오 전자 현미경

    바이오 전자 현미경

    과학동아 2012년 05호

    이용하면 껍질 단백질의 구조와 기능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기초연 연구진은 전자결정학 기법을 통해 우두바이러스 껍질 단백질의 3차원 구조를 얻을 수 있었다. 연구진은 먼저 유전자조작 기술을 이용해 우두바이러스의 껍질 단백질을 생산했다. 대장균의 플라스미드라는 고리 모양의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