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달의 책] 만화로 배우는 멸종과 진화

    [이달의 책] 만화로 배우는 멸종과 진화

    과학동아 2024년 03호

    독자의 인식에서 볼트와 너트처럼 작고 단단하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셈이다. 저자는 거대한 덩어리로만 보였던 일상의 다양한 구조물이 아주 작은 요소들에 의존하는 원리를, 독자가 그동안 놓친 볼트와 너트들을 하나하나 풀고 조이듯 보여준다. ‘볼트와 너트, 세상을 만든 작지만 위대한 것들의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지구의 모든 땅은 하나였다? 외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지구의 모든 땅은 하나였다? 외

    어린이과학동아 2024년 03호

    지금으로부터 약 138억 년 전 일어난 빅뱅 이후, 우주는 감히 우리가 넘볼 수 없을 정도로 거대해졌습니다. 아직까지 우리가 가지도, 보지도 못한 그 미지의 세계에는 도대체 무엇이 있는지, 우주의 시작부터 현재까지 파헤쳐 봅니다. ● 배달로봇 ‘길막’했을 때 반응 (조회수 3273회)채널명 : 씨즈 ...

  • 거대 소수 왜 찾나?

    거대 소수 왜 찾나?

    수학동아 2024년 02호

    거대한 메르센 소수로 추정되는 소수는 6년 전인 2018년에 발견됐다. 누구나 할 수 있으니 거대 소수 목록에 이름을 올리고 싶다면 지금 바로 도전해보자 ...

  • [과학뉴스 ]육식공룡 고르고사우루스 마지막 식사는 공룡 뒷다리!

    [과학뉴스 ]육식공룡 고르고사우루스 마지막 식사는 공룡 뒷다리!

    과학동아 2024년 02호

    육식공룡은 청소년기에는 작은 공룡을 사냥하는 중간 포식자였다가, 성장하면 거대 초식공룡을 사냥하는 최상위 포식자로 먹이의 종류가 바뀐다는 점이 드러났다. 연구팀은 이 결과에 대해 육식공룡의 어린 개체와 성체가 생태계에서 다른 위치를 점하는 먹이를 사냥했기 때문에 서로 먹이 경쟁을 ...

  • 다이아몬드에 박힌 초대륙 이동

    다이아몬드에 박힌 초대륙 이동

    과학동아 2024년 02호

    초대륙은 원시 지구의 탄생 이후 현재까지 지구상의 여러 대륙들이 모여 만든 하나의 거대 대륙입니다. 현재 세계 주요 다이아몬드 산지는 대부분 초대륙이 붕괴하면서 발생한 화산 폭발이 있었던 곳들입니다. 이 폭발이 다이아몬드를 지표면 근처로 가져다줬습니다.가장 유명한 초대륙이자, 최후의 ...

  • [Chapter2] 거대 소수를 찾아라!

    [Chapter2] 거대 소수를 찾아라!

    수학동아 2024년 02호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Chapter2. 거대 소수를 찾아라!Part1. 세상에서 가장 큰 소수Part2. 소수를 사랑한 신학자 메르센Part3. 소수 찾는 획기적인 방법 뤼카-레머 판정법Part4. 누구에게나 열려 있는 거대 소수 찾기Part5. 거대 소수 왜 찾나?

  • 누구에게나 열려 있는 거대 소수 찾기

    누구에게나 열려 있는 거대 소수 찾기

    수학동아 2024년 02호

    읽으며 거대 소수를 학생들이 실감하고 감동하는 모습을 보면 무척 뿌듯해요. ‘나도 이 거대 소수를 언젠가 찾을 거다’라고 말하면 학생들이 정말 놀라요. 학생들 때문에 조금 더 도전해야 할 것 같아요(웃음) ...

  • 2000년 이상 난제, 쌍둥이 소수 추측

    2000년 이상 난제, 쌍둥이 소수 추측

    수학동아 2024년 02호

    소수를 말할 땐 5, 7, 11이나 13, 17, 19처럼 간격이 2나 4인 세 쌍의 소수라고 정의한다. 또한 거대 소수를 찾는 것처럼 컴퓨터를 이용해 매우 큰 쌍둥이 소수를 찾는 사람이 있다. 현재 가장 큰 쌍둥이 소수는 2016년 발견된 2996863034895 1290000이다. 무려 388342 자릿수의 수다. 또 1018보다 작은 쌍둥이 소수 ...

  • [과학뉴스] 해왕성, 생각보다 파랗지 않다

    [과학뉴스] 해왕성, 생각보다 파랗지 않다

    과학동아 2024년 02호

    해왕성의 정확한 색 스펙트럼을 알아내기 위해 허블 우주망원경과 유럽남방천문대의 초거대망원경(VLT)으로 관측한 자료를 사용했다. 두 망원경은 색을 연속된 스펙트럼으로 관측할 수 있어 해왕성의 실제 색상을 확인할 수 있었고, 연구팀은 관측된 색상을 바탕으로 보이저 2호가 찍은 해왕성 ...

  • [과학뉴스] 초은하 평면에는 왜 주로 타원은하만 있을까

    [과학뉴스] 초은하 평면에는 왜 주로 타원은하만 있을까

    과학동아 2024년 01호

    컴퓨터 시뮬레이션 모델 ‘SIBELIUS(시벨리우스)’를 활용해 빅뱅 이후 오늘날까지 우주 거대구조의 진화과정을 구현했다. 그 결과, 시뮬레이션으로 구현한 오늘날 초은하 평면 속 은하의 분포 양상과 실제 관측을 통해 밝힌 분포 양상이 동일함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시뮬레이션 결과를 분석해 초은하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