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의 손민서 친구는 “썩은 포도를 주울 때는 힘들었는데, 눈으로는 보이지 않는 선충을 현미경으로 확인하니 신기했다”고 말했어요. 김준 연구원은 신도에 신종이 사는지 확인해보기 위해 포도 표본을 연구실로 가져갔지요.며칠 후, 김준 연구원에게 연락이 왔어요. “관찰 결과 생식기가 몸통 ...
여덟 개의 다리, 강력한 위턱과 날카로운 송곳니, 그물을 치고 먹이를 기다리는 사냥꾼, 거미! 무서워하는 친구들도 있지만, 거미는 사실 해충을 잡아 ... 운길유령거미 등 20종에 달하는 거미를 만났어요. 박물관으로 돌아와 채집한 거미를 현미경으로 관찰하며 뜨거웠던 탐사를 마쳤답니다 ...
매일 3~5시간씩 표본을 채취하고, 각종 장비를 시험하지요. 올해는 처음으로 이동식 주사현미경으로 표본을 관찰하는 데 성공했어요. 증강현실 기기를 이용해 원거리에서도 명령을 주고받고, 쓰러진 우주비행사를 기지까지 운반하는 등의 훈련도 했답니다. 올해 프로젝트는 총 4명이 참여했어요. ...
로버 앞쪽에는 길쭉한 로봇 팔이 달려 있어요. 여기에는 암석을 긁어내는 장비, 카메라, 현미경, 각종 분석 장치 등이 장착되어 있답니다. 또한 로버의 양옆에는 태양열을 이용해 전기를 만들어내는 태양 전지판이 날개처럼 달려 있지요. 기자단 친구들은 섭섭박사님에게 로버에 대한 설명을 ...
봐도 미세플라스틱이 어떤 것인지를 구분하는 건 불가능했어요. 그런데 조교님이 현미경 옆에 놓인 자외선 조명을 켜자 나일레드에 물든 미세플라스틱들이 푸른색으로 빛나기 시작했답니다. 빛나는 부분을 확대해 보자 미세플라스틱의 모양이 확실하게 보였지요. 미세플라스틱의 크기는 ...
아빠가 현미경을 가져다주셨어요. 공원에 떨어진 나뭇잎과 죽은 곤충들을 집으로 데려와 현미경으로 관찰하면서 시간을 보냈지요. 그러다 보니 야생 동식물과 친해지고, 자연의 아름다움을 오래도록 보존하고 싶은 욕심이 생겼어요. Q지사탐 탐사 자료는 어디에 사용되나요?생태 연구에 사용하고 ...
“무엇이 진동을 만드는지 알아냈다는 데 의의가 있다”며 “작은 힘을 증폭시켜야 하는 현미경이나 양자유체의 점성 등을 측정할 때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doi: 10.1038/s41567-019-0683- ...
사실을 알게 됐어요. 그리고 2017년에는 좀비가 된 개미 조직을 수천 개의 조각으로 나눠 현미경으로 촬영했어요. 그리고 이 영상을 3차원 이미지로 만들어 분석했어요. 그 결과, 곰팡이가 몸 전체에 퍼져 근육을 수축시키면서 개미를 조종한다는 점을 알게 됐어요. 오피오코르디셉스 곰팡이는 포자를 ...
참가한 곽도윤 기자는 “직접 유산균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보니 신기 했다”며 “특히 현미경으로 유산균을 직접 본 게 기억에 많이 남는다”고 말했답니다. 도움 ...
사실 달 탐사의 최대 골칫거리다. 레골리스는 겉으로 보기에는 고운 분말 같지만, 현미경으로 관찰하면 깨진 유리조각처럼 뾰족한 모양을 띠고 있다. 달 표면을 돌아다니는 로버의 베어링이나 우주복의 연결 부위에 레골리스가 들어가면 고장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그렇다면 레골리스를 활용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