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nowledge] 암세포 ‘원샷 원킬’ 작은 RNA가 뜬다

    [Knowledge] 암세포 ‘원샷 원킬’ 작은 RNA가 뜬다

    과학동아 2016년 11호

    snRNA와 snoRNA 등 다양한 작은 RNA들이 생명과학자들의 손길을 기다리고 있다. 어쩌면  miRNA와 siRNA의 역할은 ‘작은 RNA 월드’에서 빙산의 일각에 불과할지도 모른다. 이들은 지금 우리 몸속에서 어떻게 상호작용하고 있을까. 앞으로 인간의 미래를 어떻게 바꿀까. 우리는 아직 작은 RNA를 모른다 ...

  • [Hot Issue] ‘늙지 않는’ 뱀파이어와의 인터뷰

    [Hot Issue] ‘늙지 않는’ 뱀파이어와의 인터뷰

    과학동아 2015년 09호

    없나요?기: 전문가들은 혈액에도 있을 거라고 봐요. 생명연에서도 현재 혈액에 있는 miRNA를 연구하고 있고요. 3년 후쯤이면 알게 될지도 모르겠네요. 그때 다시 이야기 하기로 해요. 그때도 굳이 피가 필요할지는 모르겠지만...(뒷걸음질 쳐 사라지고, 뱀파이어는 혼자 남는다) ...

  • PART3. 쓰레기 RNA가 암 정복한다

    PART3. 쓰레기 RNA가 암 정복한다

    과학동아 2015년 08호

    miRNA)가 암세포에서 지나치게 많이 발현되는 것이 여러 연구에서 확인됐다. 과학자들은 miRNA가 정상 세포의 활동을 방해해 암을 유발하는 것이 아닐까 추측하고 있다. 길고 짧은 RNA가 암을 넘본다염기 서열의 길이가 200개 이상인 비암호화 RNA는 ‘긴 비암호화 RNA(long non-coding RNA, lncRNA)’라고 부른다. ...

  • 다재다능한 생체 분자 RNA

    과학동아 2012년 12호

    RNA는 ‘리보스를 가진 핵산’이라는 지금의 이름을 얻었다. 이번 호에서는 리보자임과 마이크로RNA(miRNA)를 중심으로 다재다능한 생체 분자인 RNA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다 ...

  • 1993년 빅터 앰브로스 박사의 마이크로RNA 발견

    1993년 빅터 앰브로스 박사의 마이크로RNA 발견

    과학동아 2010년 10호

    김빛내리 교수는 한국에서 노벨상에 가장 가까운 과학자로 손꼽힌다.유전자 절반 이상이 miRNA 조절 받는 듯지금까지 발견된 마이크로RNA는 5000개가 넘는다. 사람의 게놈에도 1000개가 넘게 존재할 것으로 예측된다. 보통 마이크로RNA 하나가 100여 개의 표적 유전자를 조절하는 걸로 보인다. 사람 ...

  • “국내 최고 과학자들의 창의적 연구성과 즐기러 오세요!”

    “국내 최고 과학자들의 창의적 연구성과 즐기러 오세요!”

    과학동아 2010년 04호

    mRNA) 유전자(DNA)의 정보를 담고 있는 RNA로 리보솜은 mRNA의 정보에 따라 단백질을 만든다. miRNA는 mRNA에서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지닌 부분에 달라붙어 mRNA 파괴를 유도한다. 현 교수님은 내년에 연구단이 끝나시는데, 지금 얘기한 주제로 다시 신청하시면 어떨까요?현 : 좋은 생각입니다(웃음). 아무튼 ...

  • PART1 한국 줄기세포 논문의 피와 땀

    PART1 한국 줄기세포 논문의 피와 땀

    과학동아 2007년 11호

    miRNA는 단백질의 발현을 조절하는 분자로 최근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줄기세포의 miRNA 발현 패턴을 비교하면 줄기세포 사이에 분화능과 증식력이 차이나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 줄기세포은행 있어야줄기세포의 분화를 연구하고 있는 고려대 생명공학부 김종훈 교수도 지난 ...

  • 특집Ⅲ 2006 노벨상을 만나다

    특집Ⅲ 2006 노벨상을 만나다

    과학동아 2006년 11호

    다수의 유전자는 발현이 억제돼야 한다. 인간의 유전자 중 1만2000여개는 마이크로RNA(miRNA)가 관여하는 RNA 간섭에 의해 제어된다고 예측하고 있다.유전자 기능 규명, 3 년에서 수개월로 단축현재 생명과학자들은 RNA 간섭 기술에 열광하고 있다. RNA 간섭 기술을 활용해 유전자의 기능을 쉽게 규명할 수 ...

  • RNA로 유전병 고친다

    RNA로 유전병 고친다

    과학동아 2004년 11호

    국내에서도 RNA 간섭에 관한 연구가 한창이다. 서울대 생명과학부 김빛내리 교수팀은 miRNA의 생성과정에 과한 메커니즘과 종류 및 기능을 연구하고 있다. 또 많은 연구자들이 유전자의 기능 및 세포의 신호전달 과정 연구에 siRNA를 매개로 한 RNA 간섭 기술을 이용하고 있다.이 밖에 국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