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ssue] ‘지진의 나라’ 이탈리아는 지금, 인공위성으로 지진 모니터링

    [Issue] ‘지진의 나라’ 이탈리아는 지금, 인공위성으로 지진 모니터링

    과학동아 2018년 02호

    only possible to measure a probability within a long window of time. For example, the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USGS) estimates that California will experience a very strong earthquake in the next 30 years with a probability of 76%. 만약 과거 특정 지역에서 지진이 발생했다면, 다시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언제, 어느 정도의 규모로 지진이 ...

  • [과학뉴스] 화성의 얼음 퇴적물, 3차원으로 보다

    [과학뉴스] 화성의 얼음 퇴적물, 3차원으로 보다

    과학동아 2018년 02호

    향후 화성 유인 탐사 과정에서 얼음을 쉽게 구하는데 도움을 줄 전망이다. 콜린 던다스 USGS 박사는 “얼음의 횡단면을 3차원으로 관찰함으로써 이전보다 상세히 분석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사이언스’ 1월 12일자에 실렸다.doi:10.1126/science.aao161 ...

  • [현장 취재] 24시간 생물 탐사 대작전! 2017 바이오블리츠코리아

    [현장 취재] 24시간 생물 탐사 대작전! 2017 바이오블리츠코리아

    어린이과학동아 2017년 12호

    총 24시간 동안 그 지역의 생물을 모두 조사하는 활동이에요. 1996년 미국 지리 조사국(USGS)과 국립공원(NPS)의 활동을 시작으로, 매년 전세계에서 이루어지고 있어요. 우리나라에서도 지난 2010년 경북 봉화에서 시작돼, 지난 5월 27일 전북 고창 선운산생태숲에서 8번째 바이오블리츠코리아가 열렸답니다 ...

  • [에디터 노트] 실감의 무게

    [에디터 노트] 실감의 무게

    과학동아 2017년 12호

    안 된다. 의미 있는 기술로, 효과적인 정책으로 이어져야 한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은 ‘셰이크아웃(ShakeOut)’이라는 캠페인을 만들고 10월 19일을 지진 훈련의 날로 정해 지진 대피 훈련을 독려하고 있다. 이날 초등학교는 ‘셰이크 드릴(Shake Drill)’이라는 이름으로 훈련을 하고, 훈련 당일에는 지역 ...

  • Part 2. 오락가락 北 핵실험 규모, 왜?

    Part 2. 오락가락 北 핵실험 규모, 왜?

    과학동아 2017년 11호

    지진 규모는 달라진다. 지난해 4월 16일 일본 구마모토 지진 발생 당시 미국 지질조사국(USGS)은 사우스다코타 주에서 관측한 지진파로 지진 규모를 계산했다. 모멘트 규모는 7.0으로 나타난 반면 P파의 진폭을 측정해서 결정한 실체파 규모는 6.46이었다. 레일리파의 진폭을 측정해 결정한 표면파 ...

  • [비주얼 과학교과서] 파부르야, 힘내!

    [비주얼 과학교과서] 파부르야, 힘내!

    어린이과학동아 2017년 02호

    살 수 있어요. 그런데 지구의 물을 모두 모으면 얼마나 될까요?미국지질조사국(USGS)이 지구의 물을 모두 모아 그림으로 표현했어요. 그런데 거대한 지구에는 겨우 한 방울로 보이는 물이 있었답니다. 게다가 물의 대부분인 97.5%는 마실 수 없는 소금기가 있는 물이었고, 빙하처럼 얼어 있는 물이 1.76%, ...

  • Part 2. 구마모토 지진의 원인은 활성단층

    Part 2. 구마모토 지진의 원인은 활성단층

    어린이과학동아 2016년 10호

    땅이 1m나 움직였다고?구마모토가 있는 큐슈에는 북동-남서에 걸쳐 비스듬하게 ‘단층대’가 있어요. 땅이 갈라진 단층들이 모여 있는 것을 단층대라고 하지요. 특히 이 지역에는 약 285만 년 전부터 시작된 신생대 제4기에 들어서 활동을 했거나, 앞으로 활동할 가능성이 높은 ‘활성단층’들이 많 ...

  • 5가지 키워드로 본 한반도 지진

    5가지 키워드로 본 한반도 지진

    과학동아 2016년 10호

    알면 지진의 활동성을 예측하는 데 유용하기 때문이다. 김영석 교수팀은 미국지질조사국(USGS)의 ‘쿨롱3(Coulomb3)’ 프로그램을 이용해 양산단층과 울산단층 주위의 응력변화를 모델링했다. 그 결과 제3기 마이오세(약 2300만 년 전~약 533만 년 전) 후기 울산단층의 북서쪽 말단 부근에 응력변화가 ...

  • Part 1. 연속 대지진을 부른 ‘불의 고리’

    Part 1. 연속 대지진을 부른 ‘불의 고리’

    어린이과학동아 2016년 10호

     우리 시간으로 4월 14~16일에 걸쳐 강진이 발생한 일본과, 4월 17일 M7.8 규모의 지진이 일어나 쑥대밭이된 에콰도르는 모두 태평양판의 가장자리에 위치해 있어요. 이 지역을 연결한 곳을 ‘환태평양조산대’ 또는 ‘불의 고리’라고 부르지요. 불의 고리에서 큰 지진이 계속 일어나는 이유는 대체 ...

  • [News & Issue] 꽃보다 단풍이 예측하기 어려운 이유

    [News & Issue] 꽃보다 단풍이 예측하기 어려운 이유

    과학동아 2016년 10호

    햇빛을 얼마나 받았는지(광주기)를 변수로 삼은 회귀 모델도 있다. 미국지질조사소(USGS) 조나단 프리드먼 연구원의 연구에 따르면 잎이 지기 위해서는 광주기가 임계값 이하가 돼야 한다(즉, 낮이 일정 정도 짧아져야한다). 임계값은 나무의 종이나 자라는 장소의 위도에 따라 다르다. 정수정 중국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