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집] 액자 뒤 단서 - 미스터리 암호 푸는 방법은?

    [특집] 액자 뒤 단서 - 미스터리 암호 푸는 방법은?

    수학동아 2020년 06호

    나눠 소인수분해 계산을 해 암호문을 해독했다. 현재는 500자릿수가 넘는 소수로 RSA 암호를 만든다.괴팍한 수염 독수리 암호는 인터넷을 통해 푼 최초의 암호로, 컴퓨터로 암호를 해독하는 일을 괴팍한 수염 독수리라고 할 정도로 암호계에서 매우 큰 사건이었다 ...

  • [특집] 무너지는 복도 - 현대 암호는 수학 난제?

    [특집] 무너지는 복도 - 현대 암호는 수학 난제?

    수학동아 2020년 06호

    풀지 못하면 전자서명을 위조할 수 없게 한 것으로, 양자컴퓨터가 구현되면 RSA를 깰 수 있는 쇼어 알고리듬에도 안전하다. 또 이번에 개발한 양자 내성 암호 알고리듬은 국제표준 전자서명 알고리듬보다 30배 이상 빠르며, 다른 양자 내성 암호보다도 속도가 빠르다. 이 암호는 앞으로 국내 표준화를 ...

  • [특집] 건물 복도 액자 - 대체 암호를 왜 만드는 거야?

    [특집] 건물 복도 액자 - 대체 암호를 왜 만드는 거야?

    수학동아 2020년 06호

    공개한다. 이 암호를 풀려면 129자릿수를 소인수분해해야 했다. - 암호를 만든 까닭은? RSA 암호 개발자들은 이 암호가 실생활에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안전한지 철저하게 검증하고 싶었다. 그 검증 과정의 하나로 ‘괴팍한 수염 독수리 암호’를 만든 것이다. 과연 이 암호는 풀렸을까 ...

  • n번방 사건, 텔레그램은 정말 아무 잘못이 없을까?

    n번방 사건, 텔레그램은 정말 아무 잘못이 없을까?

    수학동아 2020년 05호

    ‘메시지를 서버에 저장하는 방법’이다. 텔레그램은 메시지를 암호화하기 위해 RSA, 디피-헬먼 키 교환, AES 등의 암호화 기술을 상황에 맞게 이용한다. 이 세 가지 방식은 모두 수학적으로 풀기 어렵다는 사실이 인정돼, 금융권에서도 흔하게 사용한다.이렇게 암호화한 메시지는 메신저의 서버를 ...

  • [매스미디어] 3000만큼 사랑해, 블랙 위도우

    [매스미디어] 3000만큼 사랑해, 블랙 위도우

    수학동아 2020년 04호

    수학을 기반으로 한 보안 프로그램으로 보호되기 때문입니다. 인터넷에서 널리 쓰이는 ‘RSA 암호’가 대표적으로, 전달하려는 메시지를 암호화하고 풀 때 각각 공개키와 개인키라는 두 종류의 다른 열쇠를 쓰는 비대칭 암호입니다. 이때 공개키는 두 개의 큰 소수의 곱으로 이뤄진 수를 쓰고, ...

  • 양자컴퓨터 시대에 대비하는 수학!

    양자컴퓨터 시대에 대비하는 수학!

    수학동아 2019년 12호

    암호, 해쉬 기반 암호, 타원곡선 기반 암호 등이지. 미국 국립표준연구소(NIST)에서는 RSA 암호보다 더 강력한 암호를 찾아 상용화하는 것을 목표로 더 강력한 암호를 ‘공개수배’하고 있어. 세계 각국의 암호 연구자로부터 새로운 암호 체계를 지원받은 뒤 3라운드에 걸쳐 가장 풀기 어려운 암호를 ...

  • [폴리매스 프로젝트] 11월,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

    [폴리매스 프로젝트] 11월,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

    수학동아 2019년 11호

    수학뿐 아니라 우리 생활에도 아주 중요합니다. 인터넷과 신용카드 등에 쓰이는 ‘RSA 공개키 암호’에 그 원리가 녹아들어 쓰이기 때문이죠.  현재도 많은 수학자가 소수의 성질에 대해 활발히 연구하고 있습니다. 소수와 관련 있는 미해결 난제도 많은데요, 특히 100만 달러(약 12억 원) 상금이 걸린 ...

  • [알고리듬 시그널] 공개 키 암호화

    [알고리듬 시그널] 공개 키 암호화

    수학동아 2018년 12호

    수학 문제로 이뤄져 있어요.  예를 들어 가장 널리 쓰이는 공개 키 암호의 한 종류인 ‘RSA 암호’는 소인수분해 문제를 활용해 키를 만들어요. 두 소수를 정해놓고 곱셈을 하는 건 쉽지만 이 곱셈의 결과물인 아주 큰 수에서 원래 두 소수를 찾는 건 굉장히 어렵고 시간도 오래 걸리는 문제거든요. ...

  • [팩트체크] 리만 가설을 둘러싼 오해와 진실

    [팩트체크] 리만 가설을 둘러싼 오해와 진실

    수학동아 2018년 11호

    발견한 소수의 개수를 대략적으로 알려주는 함수가 얼마나 정확한지 알려주는 거예요. RSA 암호의 핵심은 엄청 큰 수를 소인수분해하는 게 어렵다는 걸 이용한 것이므로 리만 가설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습니다. 천정희 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 교수는 “설령 소수를 전부 찾을 수 있어도 ...

  • Part 1. 현존 가장 안전한 보안기술

    Part 1. 현존 가장 안전한 보안기술

    과학동아 2018년 05호

    소인수분해와 데이터베이스 검색을 매우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는데, RSA의 토대가 소인수분해이기 때문이다. 반면, 격자 문제는 아직까지 해법을 찾지 못했다. 격자문제는 일종의 최단거리를 찾는 문제다. 가령 2차원 좌표평면 위에 격자 모양으로 점을 찍는다고 하자. 원점을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