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ssue] 애벌레로 비닐봉지 분해, 플라스틱 라이프

    [Issue] 애벌레로 비닐봉지 분해, 플라스틱 라이프

    과학동아 2018년 07호

    아니라 자원 고갈 측면에서도 플라스틱 사용량을 줄여야 한다. 이상엽 KAIST 생명화학공학과 교수팀은 포도당으로 플라스틱을 합성하는 기술을 개발해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1월 8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038/s41467-017-02498-w  이 기술의 핵심은 대장균이다. 이 교수팀은 음료수 병이나 식품 ...

  • [Origin] 계란의 ‘슈퍼 파워’

    [Origin] 계란의 ‘슈퍼 파워’

    과학동아 2018년 04호

    유리를 점성이 극단적으로 높은 액체로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최시영 KAIST 생명화학공학과 교수는 “내부 구조가 무질서한 액체를 급속히 굳히면 구조가 질서정연한 고체가 되는 게 아니라 질서가 없으면서도 분자들이 움직이기 어려운 혼잡 상태가 된다”며 “유리가 이런 상태”라고 ...

  • [과학뉴스] 대장균으로 플라스틱 재료 합성!

    [과학뉴스] 대장균으로 플라스틱 재료 합성!

    과학동아 2017년 07호

    사용하지 않고도 플라스틱의 재료를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 이상엽 KAIST 생명화학공학과 교수팀은 세계 최초로 대장균을 이용해 테레프탈산(TPA)을 생합성했다. 테레프탈산은 폴리에스터 섬유나 페트(PET)를 만들 때 필요한 주원료로, 파라자일렌(p-xylene)이라는 물질로부터 합성한다.현재 공장에서 ...

  • [과학뉴스] 활짝 핀, 세상에서 가장 작은 장미

    [과학뉴스] 활짝 핀, 세상에서 가장 작은 장미

    과학동아 2017년 05호

    가장 작은 나노 크기 장미가 폈다. 최근 박현규 KAIST 생명화학공학과 교수와 박기수 건국대 생물공학과 교수, 김문일 가천대 바이오나노학과 교수 공동연구팀이 DNA 복합체로 꽃 모양을 합성한 것이다. 이전에도 단백질에 유기질과 무기질을 더한 복합체로 나노 단위의 꽃 모양 입자를 만드는 연구가 ...

  • Part 4. 숨을 불어 넣어 다시 태어난 합성생물들

    Part 4. 숨을 불어 넣어 다시 태어난 합성생물들

    과학동아 2016년 05호

    테바인 생산 수율을 높이는 연구를 하고 있다.우리나라에서는 이상엽 KAIST 생명화학공학과 교수가 항암이나 항노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플라보노이드를 생산하는 미생물 연구를 하고 있다. 이 교수는 “천연물을 생산하는 미생물 연구도 많이 되고 있지만, 합성생물학 기법을 이용해 다양한 ...

  • PART1. 뇌 조종의 신기원을 열다

    PART1. 뇌 조종의 신기원을 열다

    과학동아 2016년 01호

    범위를 넓힌 것이다. 특히 허원도 기초과학연구원(IBS)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그룹리더(KAIST 생명과학과 교수)가 이 분야의 최고 권위자다.“2008년에 카이스트 교수가 됐는데 앞으로 어떤 걸 할까 고민을 많이 했습니다. 그때 떠오른 것이 광유전학이었습니다.”그는 원래는 신경과학이 아닌 ...

  • [생활] 똑똑한 만능 실험가, 계산화학

    [생활] 똑똑한 만능 실험가, 계산화학

    수학동아 2015년 06호

     원자나 분자는 매우 작다. 화학반응은 눈치 챌 수 없을 만큼 빨리 일어난다. 게다가 이런 반응에 영향을 주는 입자는 대부분 1m의 10억 분의 1에 해당하는 ‘나노’ 단위보다도 더 작다. 사람이 화학반응이 일어나는 과정을 눈으로 직접 보거나 조절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런 작은 단위의 화학적 ...

  • ‘녹색 화성’에선 누에가 맛있다

    ‘녹색 화성’에선 누에가 맛있다

    과학동아 2014년 09호

    1@chonnam.ac.kr) | 한국과학기술원(KAIST) 생명화학공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현재 ... 생물을 연구하는 과학자다. 1999년 KAIST 생명화학공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2011년 남극세종과학기지 제24차 월동연구대로 참여했고, 현재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부설 극지연구소에서 극지생물분자공학 분야를 ...

  • 썰렁홈즈의 희한한 얼음 여행 앗! 세상에 이런 얼음이?

    썰렁홈즈의 희한한 얼음 여행 앗! 세상에 이런 얼음이?

    어린이과학동아 2013년 16호

    개발했어요. 얼음은 에너지 연구에도 한몫하고 있답니다."이흔 교수(KAIST 생명화학공학과)얼음으로 별 걸 다해!“마지막 문제입니다. 이번 문제를 풀면 처음에 있었던 따뜻한 해변으로 보내드리죠. 하지만 이번 문제도 틀린다면 나와 결혼해서 영원히 이곳에서 살아야 해용. 오호호호~.”마지막 ...

  • 세포는 금 주사기로 DNA 맞는다!

    세포는 금 주사기로 DNA 맞는다!

    어린이과학동아 2013년 12호

    한국과학기술원(KAIST) 화학과 김봉수 교수와 생명화학공학과 이상엽 교수 연구팀이 세포용 금 주사기를 개발했어요.세포의 유전자에 문제가 생기면 암이나 다른 질병을 만드는 비정상세포로 변할 수 있어요. 이때 세포에 DNA 주사를 놓아 조절하면 비정상적인 유전자가 활동하지 못하게 막을 수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