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th?nking] 제 11화. 증명은 왜 중요한가?

    [Reth?nking] 제 11화. 증명은 왜 중요한가?

    수학동아 2023년 12호

    인공지능이 지금까지 벌어진 일을 큰 그림에서 살펴보고, a와 b의 방법론을 엮어서 c라는 새로운 방법론을 만들 수 있지요. 그렇게 된다면 수학에서 비약적인 발전이 있을 거예요. 수학자의 생각은 어떤가요? 수학자 : 인공지능의 수학 증명은 최근 많은 도전과 발전이 동시에 이뤄지고 있는 ...

  • [2039:화성에서 일 년 살기] 영화처럼 화성에서 감자를 키우기란 쉽지 않지만

    [2039:화성에서 일 년 살기] 영화처럼 화성에서 감자를 키우기란 쉽지 않지만

    과학동아 2023년 12호

     “우리는 답을 찾을 것이다. 늘 그랬듯이.” 2014년 개봉한 영화 ‘인터스텔라’의 명대사다. 화성에 설치된 정조 과학기지에서 지구로 귀환할 날이 두어 달 가량 남았을 때부 ... 교수로 서울대에서 농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식물 광합성 모델링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jdhenv@yonam.ac ...

  • [옥톡과 달냥의 우주탐험대]

    [옥톡과 달냥의 우주탐험대]

    어린이수학동아 2023년 11호

    타이탄으로 내려보냈어요. 하위헌스 탐사선은 타이탄에서 약 90분 동안 활동했지만, -177°C라는 혹독한 추위에 작동이 멈췄지요.  토성 예쁜 고리가 돋보이는 토성!토성은 태양계 6번째 행성이에요.목성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83개의 위성을 가지고 있어요. 그중 가장 큰 위성인 타이탄은 ...

  • [과학뉴스] 유해한 유전자 돌연변이 찾아내는 AI ‘알파미스센스’ 발표

    [과학뉴스] 유해한 유전자 돌연변이 찾아내는 AI ‘알파미스센스’ 발표

    과학동아 2023년 11호

    7100만 개에 달하는 미스센스 돌연변이의 위험성을 평가했다고 밝혔다. doi: 10.1126/science.adg7492 DNA에는 몸을 이루는 단백질의 정보가 담겨있다. 정확하게는 DNA를 이루는 아데닌(A), 티민(T), 구아닌(G), 시토신(C)의 네 가지 염기가 조합돼 단백질의 구성물질인 아미노산의 정보를 담는다. 이때, 염기 ...

  • [인터뷰]

    [인터뷰] "후배 과학자들이 새로운 시도를 두려워 하지 말길" (현택환 교수)

    과학동아 2023년 11호

    한편 우리가 개발한 승온법은 계면활성제 용액과 전구체를 실온에서 섞은 뒤 300°C 이상의 고온으로 서서히 가열하는 방식이라 기존 방식과 상반된다. 실험 결과를 보고 박 교수를 껴안기 전에 “이거 정말 맞니? 이 방식 재현가능한 거 맞니?”라며 재차 물었던 기억이 난다. 이후에 실온에서 천천히 ...

  • 이유 1. 킬러문항 정의는 제각각

    이유 1. 킬러문항 정의는 제각각

    수학동아 2023년 11호

    생각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어요.  과거 수능 수학 영역 출제에 참여했던 대학 교수 C 씨는 “지나치게 계산력을 많이 요구하고 단순 반복적인 과정으로 답을 도출해내는 문항을 킬러문항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어요. 서울 지역 고등학교 수학 교사 D 씨는 “공교육에서 한 공부만으로 풀 수 ...

  • [노벨상 2023] 생리의학상 - 대기만성의 mRNA백신과 꼭 닮은 과학자의 인생

    [노벨상 2023] 생리의학상 - 대기만성의 mRNA백신과 꼭 닮은 과학자의 인생

    과학동아 2023년 11호

    '많은 이들의 예상이 맞았다. 2023년 노벨 생리의학상은 커리코 커털린 독일 바이오엔테크 부사장과 드루 와이스먼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의대 교수에게 돌아갔다. 두 과학자의 연 ... 질병을 연구하고 있다. 최근에는 RNA를 기반으로 하는 백신과 백신증강제를 개발하고 있다. jhnam@catholic.ac ...

  • [최신이슈] 지구 밖 ‘보물섬’을 향한 여정...프시케 미션 시작

    [최신이슈] 지구 밖 ‘보물섬’을 향한 여정...프시케 미션 시작

    과학동아 2023년 10호

    채굴하지 못한다면 현재로서는 소행성 채굴 사업에는 경제성이 없는 것이다. doi: 10.1016/j.actaastro.2019.07.032 한국 소행성 연구의 현주소는 소행성에서 자원을 채굴하는 것이 언제쯤 가능하냐는 기자의 질문에 김 책임연구원은 “그 시기를 특정하기는 어렵지만, 우주 채굴 시대는 언젠가 온다”고 ...

  • [최애 은하] 지루해 보였던 타원은하의 반전 과거

    [최애 은하] 지루해 보였던 타원은하의 반전 과거

    과학동아 2023년 10호

    ▲헤라클레스 A 은하를 허블 우주망원경으로 촬영한 가시광 사진과 거대 전파 어레이(VLA)로 촬영한 전파 사진을 겹쳐서 구성한 이미지. 회전축을 따라 양옆으로 분출된 분홍색 덩어리가 블 ... 연구한다. 우주를 가이드하며 현실 세계에서의 은하철도 999 차장을 꿈꾼다. galaxy.wb.zi@gmail.c ...

  • [수학 상위 1% 비밀 무기] 중1 때 을 독학한 비법

    [수학 상위 1% 비밀 무기] 중1 때 을 독학한 비법

    수학동아 2023년 10호

    네 자릿수 abcd가 있을 때 조건을 만족하는 a, b, c, d의 개수를 구하는 문제로, 2d + ( a + b + c )가 19의 배수라는 규칙을 찾지 못하면 풀 수 없는 문제였지요. 지원자들이 어떻게 풀었는지 묻는 면접을 본 다음 1학년 10명을 뽑았어요. Q. 수학을 잘하고 싶은 학생들에게 조언해주세요. 답지를 보지 않고,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