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9의 예술 만화에 빠지다!

    제9의 예술 만화에 빠지다!

    어린이과학동아 2013년 19호

    직접 그린 ‘우주신령’, 현재도 연재되고 있는 ‘퍼즐탐정 썰렁홈즈’, 4컷 만화로 과학사를 보여 주는 ‘석동연의 작은 과학사’까지! 헉헉! 이렇게나 많은 만화들이 과학을 흥미진진하게 알려 주려고 친구들을 찾아왔었지. 이뿐만이 아니야. 사진 한장으로 과학을 보여 주는 ‘찰칵! 과학 한 ...

  • 과학은 문화다. 이야기다. 상상력이다!

    과학은 문화다. 이야기다. 상상력이다!

    과학동아 2013년 01호

    역사가 재밌었던 사람, 생각보다 없지 않은가. 그렇다면 제대로 된 스토리텔러의 과학사 책을 만나 보자. ‘갈릴레오의 딸’로 이미 국내에 팬이 많은 과학 저술가 데이바 소벨의 책이 새로 번역돼 나왔다. 유명한 과학사의 한 장면을 드라마처럼 묘사하기로 유명한 작가지만, 이번에 택한 장면은 그 ...

  • 과학사에 등장한 4대 악마

    과학사에 등장한 4대 악마

    과학동아 2012년 06호

    세기의 천재들을 곤혹스럽게 한다. 하지만 유혹을 이겨내면 값진 선물을 주기도 한다. 과학사에서 유명한 4대 악마를 만나보자.17세기 근대철학의 아버지 르네 데카르트는 아무리 ... 잠자리 유충 등 포식자로부터 잡아먹히는 속도보다 개체수를 더 빨리 늘리기 위해서다.과학사 속에서 새로운 ...

  • 노벨상 수상자의 4가지 비결

    노벨상 수상자의 4가지 비결

    과학동아 2011년 10호

    선정한 것을 보고 노벨상을 수상한 과학자들에게 관심을 집중했다.사이먼튼 교수는 과학사, 과학철학,과학사회학, 과학심리학에 기반을 둔 메타사이언스 관점에서 노벨상 수상자들을 연구했다. 그는 “역사학자들은 사실의 나열을 좋아하고, 심리학자들은 개인의 탐구를 좋아한다. 사회학자들이 ...

  • 과학동아가 추천하는 논구술 책

    과학동아 2011년 08호

    물리, 화학과 같은 과학이 아니다. 추상적인 지식 체계로서의 과학이다. 물리학과 과학사를 두루 공부한 저자는 해박한 지식과 역사적 안목으로 흥미있는 주제를 우리나라의 상황과 연계해 다룬다. 인문학, 예술, 건축, 언어, 젠더(gender), 법, 인권 등의 주제를 통해 문화로서의 과학을 통찰한다. 그 ...

  • “나를 키운 건 8살짜리 궁금증”

    “나를 키운 건 8살짜리 궁금증”

    과학동아 2011년 05호

    빛낼 100인’에 선정된 장하석(44) 영국 케임브리지대 과학철학·과학사학과 교수다. 부모님을 만나기 위해 잠깐 귀국한 장 교수를 4월 ... 그는 2010년 케임브리지대 한스 라우싱 석좌교수로 부임했는데 과학사·과학철학과 소속 10명의 교수 중 선임 자리이다.“과학사나 과학철학이 일반 사람들과 ...

  • 달라진 융합형 과학 교과서

    과학동아 2011년 03호

    영역과 주제에 대한 독서가 필요하다. 우주의 기원 등 우주 일반 상식과 관련된 도서부터 과학사, 첨단과학, 환경, 에너지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는 과학잡지나 교양 도서를 읽어보면 큰 도움이 될 것이다. 과학에 관심이 많은 학생이라 하더라도 생소하거나 정확하게 알지 못하는 내용이 매우 많을 ...

  • 2단계 수학·과학능력 필수 대비

    과학동아 2011년 01호

    수학·과학의 심화된 내용을 배운다. 또 별도의 전공교과(이산수학, 고급물리, 고급화학, 과학사, 생물실험 등)와 R&E(Research and Education) 과정이 개설돼 있다. 영재고와 과학고의 차이점 2003년 영재교육진흥법에 의해 교육인적자원부가 부산과학고를 영재고로 전환하면서 최초의 영재고인 ...

  • 1993년 빅터 앰브로스 박사의 마이크로RNA 발견

    1993년 빅터 앰브로스 박사의 마이크로RNA 발견

    과학동아 2010년 10호

    1900년 몇몇 과학자들이 그의 실험 결과를 재발견하면서 멘델은 ‘유전학의 아버지’로 과학사에 남았다.이 정도까지는 아니지만 비슷한 일이 마이크로RNA 발견 과정에서도 일어났다. 앰브로스 교수팀의 발견은 ‘흥미로운 사례’로 치부됐을 뿐 생명과학의 패러다임이 바뀌는 결과라는 걸 당시는 ...

  • 19세기 과학혁명의 출발점 종의 기원

    19세기 과학혁명의 출발점 종의 기원

    과학동아 2009년 01호

    주장했다.김기윤 박사는 서울대 과학교육과를 졸업한 뒤 미국 오클라호마대에서 과학사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 한양대 등에서 과학사를 강의하고 있다. ‘콜럼버스가 바꾼 세계’ ‘토마스 헉슬리’ 등을 번역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19세기 과학혁명의 출발점 종의 기원유전자에서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