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ssue] 양서류 흑사병 발원지가 한국?

    [Issue] 양서류 흑사병 발원지가 한국?

    과학동아 2018년 07호

    5월 11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의 표지논문으로 의미 있는 연구 결과가 실렸다. 지난 25년간 개구리를 비롯해 전 세계 양서류의 30%를 감염시켜 일부 종(種)은 지구상에서 자취를 감추게 만든 병균, ‘항아리곰팡이(Batrachochytrium dendrobatidis)’의 출처가 밝혀진 것이다. 그런데, 발원지는 바로 한국이 ...

  • 전세계에 수학덕심 퍼뜨리기 전염병주식회사

    전세계에 수학덕심 퍼뜨리기 전염병주식회사

    수학동아 2018년 01호

    유럽 민요입니다. 장미를 뜻하는 ‘Rosie’가 흑사병의 증상인 발진을 의미한다는 거죠. 흑사병은 14세기 유럽에서 수천만 명의 목숨을 앗아간 전염병입니다. 민속학자들은 이 이야기가 사실이 아니라고 했지만, 노래가 섬뜩하게 들리는 건 어쩔 수 없군요. 전염병주식회사는 전염병으로 인류를 ...

  • [시사기획] 北 생화학 무기 개발, 어디까지 왔나

    [시사기획] 北 생화학 무기 개발,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2017년 12호

    Yersinia pestis)유럽 역사상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감염병을 하나 고르라면 단연 페스트(흑사병)다. 당시 페스트균은 벼룩을 숙주로, 벼룩은 쥐를 숙주로 삼아 생존하며 인간을 감염시켰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한 번도 발생한 기록이 없고, 전 세계 발생의 98.7%는 알제리, 콩고공화국, 마다가스카르 ...

  • [과학뉴스] 6세기 페스트균의 정체는?

    [과학뉴스] 6세기 페스트균의 정체는?

    과학동아 2016년 10호

    주도한 미국 노던애리조나대 데이비드 바그너 박사팀은 페스트균이 14세기 유럽에서 흑사병을 일으킨 페스트균의 조상이 아니며, 유스티니아누스 역병을 유행시킨 뒤 사라졌다는 사실을 밝혔다 ...

  • PART 1. 장내미생물은 어디서 왔을까?

    PART 1. 장내미생물은 어디서 왔을까?

    과학동아 2016년 09호

    개발되기 전까지 세균(미생물의 대부분이 세균이다)은 공생 이미지와는 거리가 멀었다. 흑사병을 일으키는 ‘에르시니아 페스티스(Yersinia pestis )’처럼 우리를 죽음으로 내모는 악독한 생명체라는 인식이 팽배했다. 그러나 수십 년 전부터 인간의 피부, 구강, 소화기, 대장 등에 병을 일으키지 않는 ...

  • [재미] 마왕의 탑 제 6화 세상을 바꾼 사과

    [재미] 마왕의 탑 제 6화 세상을 바꾼 사과

    수학동아 2016년 06호

    내가 남긴 업적은 대부분 고향집에서 이뤄졌어. 케임브리지 대학에 다니던 시절 런던에 흑사병이 한 번 돌았거든. 런던 근처에 있던 우리 학교는 문을 닫았지. 나도 어쩔 수 없이 고향으로 돌아가게 됐는데, 그때 많은 일을 해냈어. 그때가 아마 1666년이었을 거야.”“만유인력의 법칙도요?”“응 ...

  • [Tech & Fun] 막스플랑크 화학생태학연구소

    [Tech & Fun] 막스플랑크 화학생태학연구소

    과학동아 2016년 05호

    최근에 생겼습니다. 생물학을 역사적인 관점에서 연구하는데, 과거 흑사병이 창궐했던 이유를 밝히기 위해 당시에 사망한 사람의 유전자를 연구하는 식입니다.과학 전통이 살아있는 예나독일은 오랫동안 예나에 과학 투자를 해왔습니다. 동독 시절에는 북한 과학자들이 예나에 와서 유학을 많이들 ...

  • [지식] 고양이의, 고양이에 의한, 고양이를 위한 나라

    [지식] 고양이의, 고양이에 의한, 고양이를 위한 나라

    수학동아 2016년 04호

    신종 전염병이었던 것입니다. 당시 쥐에 대한 기록이 없는 것도 이 주장을 뒷받침합니다.흑사병에 대해 좀 더 잘 알았더라면, 고양이와 쥐 사이가 지금보다는 좋지 않았을까요?옛날 사람들은 고양이를 싫어했다?“고양이는 인간과 멀어질수록 더 좋아!” 삽입곡 ‘때가 될 때까지는’ 중  뮤지컬 ...

  • PART2. 광유전학, 마음을 치료할 수 있을까

    PART2. 광유전학, 마음을 치료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2016년 01호

    그동안 난치병으로 여겨지던 수많은 질병을 극복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한때 ‘20세기 흑사병’으로 불리던 무시무시한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 감염 또한 이제 다양한 치료제가 개발돼 고혈압이나 당뇨병처럼 관리가 가능한 질병의 영역에 들어섰다. 그 러나 치매, 강박증, 자폐증, 조현병과 ...

  • 메르스 신종 바이러스의 습격

    메르스 신종 바이러스의 습격

    어린이과학동아 2015년 13호

    끝났을지도 모른다고 추측해요. 19세기 말, 유럽에서 사람의 살이 썩어 검게 되는 흑사병이 유행했는데, 이 병을 일으킨 페스트균은 중국에서 발병한 뒤 유럽까지 오는 데 3년이 넘게 걸렸기 때문이에요. 하지만 사스 바이러스는 일주일이 채 되지 않아 전세계 30개 국으로 퍼져나갔답니다.교통의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