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ART2 우리는 누구나 시인

    PART2 우리는 누구나 시인

    과학동아 2008년 06호

    위로하다 왜 갑자기 ‘우유’ 얘기를 하는지 어리둥절해 한다.각이랑은 측두엽, 두정엽, 후두엽이 접합된 지점이다. 좌뇌의 각이랑은 촉각(왼쪽 두정엽), 청각(왼쪽 측두엽), 시각(왼쪽 후두엽)의 정보가 교차하면서 추상적인 개념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한편 우뇌의 각이랑은 오른쪽 두정엽이 주로 ...

  • 웃음의 프리즘

    웃음의 프리즘

    과학동아 2006년 03호

    때문”으로 분석한다.모두가 공감하는 웃음 오감으로 인식한 정보는 뒷통수에 있는 후두엽에서 인식돼 이마 쪽의 전두엽으로 전달된다. 전두엽은 개인이 살아온 경험을 바탕으로 “만지고 있는 물체가 황토색이다. 냄새가 야릇하다. 똥이다”라고 식별한다. 이것만으로는 자신이 처한 상황이 ...

  • 물리학이 밝힌 신경세포 경쟁

    물리학이 밝힌 신경세포 경쟁

    과학동아 2005년 06호

    자세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브로드만 뇌지도 17번 영역인 1차 시각피질은 뇌 뒷부분인 후두엽 쪽에 있으며, 시각자극을 제일 먼저 처리하는 곳이다. 책을 볼 때 뉴런은 망막으로 들어온 빛 정보를 일종의 전기신호로 바꾼다. 이 신호는 전용 케이블, 즉 신경망을 따라 시속 500km로 달려 1차 ...

  • 나는 기억 못해도 뇌는 기억한다

    나는 기억 못해도 뇌는 기억한다

    과학동아 2005년 04호

    과정은 크게 시각피질이 있는 후두엽에서 측두엽, 전두엽으로 이어지는 복측경로와 후두엽에서 두정엽을 거쳐 전두엽으로 이어지는 배측경로로 나뉘어 이뤄진다. 복측경로는 보고 있는 대상이 무엇인지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므로 ‘무엇’경로라고도 부르며, 배측경로는 사물의 위치나 공간적인 ...

  • 약물로 마음을 성형한다

    약물로 마음을 성형한다

    과학동아 2005년 03호

    청각기능, 언어기능과 관련이 있다. 두정엽은 시공간기능, 시각, 청각, 촉각을 관장하며, 후두엽은 주로 시각정보를 처리한다고 알려져 있다. 대뇌의 1/8 정도 크기인 소뇌는 우리 몸이 하는 많은 운동들이 서로 협력해 조화롭게 이뤄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주요 기능이라고 알려져 있었다. 그런데 ...

  • 01. 사랑은 뇌가 한다

    01. 사랑은 뇌가 한다

    과학동아 2004년 06호

    부분은 측두엽의 아래쪽, 도피질, 전두엽의 아래쪽, 앞쪽 대상회였다. 측두엽의 아래쪽은 후두엽의 시각 피질과 연관된 부위다. 이는 지원자들이 영화를 봤기 때문에 활성화된 것으로 생각된다. 그런데 놀랍게도 도피질, 전두엽 아래쪽, 앞쪽 대상회의 활성화는 바르텔스 교수팀의 연구결과와 ...

  • 1 21세기, 촉각을 재발견한다

    1 21세기, 촉각을 재발견한다

    과학동아 2003년 11호

    있다. 한국뇌과학연구원 오미경 박사는 “요즘 아이들은 시각정보처리영역인 뇌의 후두엽이 발달한 반면 감정조절과 판단에 관여하는 전두엽은 위축돼 있다”며 “그 결과 남과 잘 어울리지 못하고 공격성이 높은 아이들이 크게 늘었다”고 말한다.촉각 자극의 결핍은 아이들만의 문제가 아니다. 2 ...

  • 두뇌발달 따라 교육법 달라야

    두뇌발달 따라 교육법 달라야

    과학동아 2003년 04호

    느끼게 해줘 자기 발전을 위한 성찰의 계기가 되도록 격려하고 이끌어줄 필요가 있다. 후두엽 발달을 끝으로 뇌의 발달은 거의 완성 단계에 이른다.인간의 두뇌발달 과정에 대한 뇌학자들의 연구는 인간의 두뇌가 앞쪽에서 뒤쪽으로 차례차례 발달하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교육 역시 대뇌의 ...

  • 뇌지도 완성 인간마음 읽는다

    뇌지도 완성 인간마음 읽는다

    과학동아 1994년 09호

    그 기능에 따라 분할하여 번호를 부여했다. 예컨대 전두엽에 있는 지역 4는 운동, 후두엽의 지역 17은 시각, 측두엽에 자리한 지역 41과 42는 청각을 담당하고 있다.오늘날에는 의학영상(medical imaging) 기술의 획기적인 발전으로 뇌의 지도 제작이 한결 수월해졌다. 컴퓨터 기술의 도움으로 뇌의 내부를 ...

  • 그림 솜씨 보고 얼굴형 알 수 있다

    그림 솜씨 보고 얼굴형 알 수 있다

    과학동아 1994년 04호

    그림은 비록 그림은 어색해 보일지라도 실제로 봤던 모양을 잘 기억해 그린 것이다. 즉 후두엽에 있는 1차 시각상의 정보를 변형없이 그대로 적용한 것이다. 이렇게 화가가 실제로 본 바의 대상을 사실적으로 그려내는 그림을 우리는 흔히 사실적 묘사적 재현적 그림이라고 부르는데, 특히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