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생충은 살아있다

    기생충은 살아있다

    과학동아 2005년 06호

    두 번씩 학교에서 채변 검사를 하고 봄ㆍ가을에 회충약을 먹던 것이 불과 10년 전이다. 과연 기생충은 사라졌는가. 최근 기생충 감염률이 33년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는 보도가 나왔다. 우리가 즐겨 먹는 회 속에서, 함께 노는 애완견 속에서 기생충은 인간의 몸을 탐욕스럽게 노려보고 있다. ...

  • PART 01. 되살아난 인간 사냥꾼

    PART 01. 되살아난 인간 사냥꾼

    과학동아 2005년 06호

    기생충이 더 유행하고 있다. 이런 기생충은 프라지콴텔이라는 약을 먹어야 치료가 된다. 회충약은 아이들을 중심으로 유행하는 요충을 치료할 때에 국한해야 한다. 요충은 전염력이 높아 생각보다 감염률이 높으므로, 아이가 항문이 가렵거나 배가 아프다면 혹시 요충이 아닐까 의심해 볼 필요가 ...

  • 애완동물 배설물은 세균 덩어리

    과학동아 2004년 09호

    회충 같은 기생충도 발견됐다. 서울대 수의과대 윤희정 교수는 “유아나 어린이가 개회충에 감염되면 심한 경우 시력을 잃거나 신경장애가 일어날 위험이 있다”고 경고한다.최근 새로운 애완동물로 인기를 얻고 있는 이구아나는 더 심각하다. 검사대상 31건 중 무려 27건의 배설물에 ...

  • 황사박사 전영신

    황사박사 전영신

    과학동아 2004년 05호

    대학입학 원서를 쓰는 결정적 순간이 되니까 마음이 달라졌어요. 워낙에 약을 싫어해서 회충약 빼놓곤 먹질 않아요. 그런데 약사라는 직업은 약을 팔아서 사는 거잖아요. 그때 서울대 입시요강을 쭉 훑어봤어요. 그러다가 눈이 한곳에 꽂혔어요. 바로 기상학과였죠.왜 하필 기상학과였을까요 ...

  • 우리 속 동물들의 스트레스

    우리 속 동물들의 스트레스

    과학동아 2000년 06호

    육식동물에게 구충약을 먹이기 위해 먼저 구충 검사를 해본 결과,유난히 백두에세 회충이 많았다.사흘을 굶기고 약을 고기살점 속에 감춰 넣어줬지만 백두는 첫 입에 뱉어버리고는 다시 먹으려들질 않았다.투약솜씨가 서툴러 쓴 약이 입안에서 터져 나왔기 때문이었다.투약을 미루고 여느 때처럼 ...

  • 동물병원 24시

    동물병원 24시

    과학동아 2000년 05호

    침을 통해 회충의 알이 아기에게 옮아갈 경우 문제는 달라진다. 개의 몸 속에서 살아가는 회충은 사람 몸 속으로 들어가면 바뀐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잠복한다. 이 때는 근육 속에서 주로 지내는데 이 때 혈관을 통해 뇌로 들어가기도 한다. 그 결과 사람에게 고열, 호흡곤란, 신경마비 등 뇌염 ...

  • 회충 헤모글로빈 산소 파괴하는 매커니즘 밝혀져

    회충 헤모글로빈 산소 파괴하는 매커니즘 밝혀져

    과학동아 1999년 11호

    사람의 헤모글로빈과 같은 쪽에 있으면 산화질소가 산소운반의 조절자 역할을 하지만, 회충의 헤모글로빈에서처럼 그 반대쪽에 있으면 헤모글로빈은 산화질소를 이용해 산소를 분해시킨다는 것이다. 최근에 헤모글로빈의 다양한 기능들이 발견되기는 했지만 효소활성이 확인된 것은 이번이 ...

  • 죽음을 유도하는 유전자 캐스페이즈

    죽음을 유도하는 유전자 캐스페이즈

    과학동아 1998년 08호

    역할은 여러 실험 증거에 의해 밝혀졌다. 우선 포유류의 캐스페이즈는 하류동물인 회충이나 요충 같은 선형동물 세포의 죽음에 관여하는 단백질(Ced-3)과 구조가 비슷하다. 또 캐스페이즈를 포유동물의 세포에 인위적으로 주입하면 세포는 죽음을 맞는다. 반대로 캐스페이즈 유전자가 없는 경우 ...

  • 1 노화유전자 프로그램설 유력

    1 노화유전자 프로그램설 유력

    과학동아 1995년 02호

    회충들은 모두 '노화방지물질'이라는 화학물질을 체내에 다량 지니고 있었다. 이 회충이 노화결정 유전인자의 영향을 차단하는 방법을 찾아낸다면 이를 인간에게도 응용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즉 인간의 노화촉진물질인 산소 자유기를 차단하는 방법을 찾아낼 수 있다는 것이다.생물의 노화에는 그 ...

  • 숙주와 기생생물 '군비확대경쟁'

    숙주와 기생생물 '군비확대경쟁'

    과학동아 1994년 07호

    갖고 있으므로 숙주보다 빠른 속도로 적응능력을 향상시킬 것이기 때문이다. 예컨대 회충의 암컷은 매일 20만개의 알을 낳는다. 또한 기생생물은 갖가지 교활한 전술로 숙주를 교묘하게 공략하고 있다. 그러나 숙주 역시 기생생물과의 군비확대경쟁에서 밀리지 않기 위해서 각종 병기를 개발했다.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