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벨상 2023] 화학상 - 양자점이 ‘빛’나기까지 끊임없는 질문이 있었다

    [노벨상 2023] 화학상 - 양자점이 ‘빛’나기까지 끊임없는 질문이 있었다

    과학동아 2023년 11호

    마블 스튜디오의 히어로 중에는 ‘앤트맨’이란 캐릭터가 있다. 앤트맨은 몸을 자유자재로 늘리거나 줄일 수 있는 ‘핌 입자’로 물체의 크기를 바꿔가며 악당을 물리친다. 2023년 개봉한 영화 ‘앤트맨과 와스프: 퀀텀매니아’에서는 앤트맨 가족이 미지의 양자 영역 세계에 빠져버리고 무한한 우 ...

  • [과학사 극장] 파스퇴르는 생명 윤리를 위반 했을까?

    [과학사 극장] 파스퇴르는 생명 윤리를 위반 했을까?

    과학동아 2023년 11호

    한국에서는 우유 업체의 이름으로 알려져 있지만, 루이 파스퇴르는 조국 프랑스에서 크나큰 존경을 받는 과학자다. 화학에서 생물학까지, 수많은 업적을 남긴 파스퇴르의 범상치 않았던 삶을 돌아보며 그의 업적 이면에 있는 의혹을 풀어보자. 의혹1. 정치적 성향 덕에 논쟁에서 이겼다?파스퇴르의 ...

  • [인터뷰]

    [인터뷰] "후배 과학자들이 새로운 시도를 두려워 하지 말길" (현택환 교수)

    과학동아 2023년 11호

    10월 4일 2023년 노벨 화학상 수상자가 발표되자 한국 과학계에선 아쉬움의 탄식이 나왔다. 올해 화학상은 양자점을 발견하고 합성한 모운지 바웬디 미국 MIT 교수, 루이스 브루스 미국 컬럼비아대 명예교수, 알렉세이 아키모프 전 나노크리스탈테크놀로지(NCT) 선임연구원에게 돌아갔다. 양자점 합성 ...

  • 죽은 거미로 만든 로봇, 전기 충격 젓가락..., 이 과학자들, 왜 이랬을까?

    죽은 거미로 만든 로봇, 전기 충격 젓가락..., 이 과학자들, 왜 이랬을까?

    과학동아 2023년 11호

    2023년 이그노벨상은 화학과 지질학상부터 물리학상까지 총 10개 분야의 연구에 수여됐다. 스마트 변기만큼 엉뚱함과 재치로 빛나는 올해 이그노벨상 연구 중에서 과학동아 편집부가 특별히 세 연구를 선정해 집중 조명했다. “지질학자들은 왜 바위를 핥을까?”(화학과 지질학상 ...

  • [커리어] 새로운 의학 패러다임을 꿈꾸는 IBS 나노의학 연구단

    [커리어] 새로운 의학 패러다임을 꿈꾸는 IBS 나노의학 연구단

    과학동아 2023년 11호

     10월 12일, 연세대 대운동장 뒤쪽에 자리 잡은 기초과학연구원(IBS) 건물(왼쪽 사진). 처음 마주하곤 기자는 걸음을 잠깐 멈췄다. 지하로 1층, 지상으로 6층 규모의 건물 전체를 타고 흐르는 유려한 곡선이 커다란 파도처럼 인상적이었기 때문이다. 이곳은 2015년 설립된 IBS 나노의학 연구단이 둥지를 ...

  • [노벨상 2023] 30년 뒤 노벨상 수상자를 우리는 알아볼 수 있을까

    [노벨상 2023] 30년 뒤 노벨상 수상자를 우리는 알아볼 수 있을까

    과학동아 2023년 11호

    올해도 노벨 위원회는 한국인의 이름을 부르지 않았다. 우리는 노벨 생리의학상, 물리학상, 화학상을 과학기술 수준이 높은 국가에게 수여되는 일종의 인증서로 여긴다. 그래서 해마다 노벨상 수상자가 발표되는 10월 초가 되면 “노벨상을 받으려면 과학기술 연구에 더 많은 지원을 했어야 했는데, ...

  • [최신 이슈] 있었는데, 없습니다 ... 희귀동위원소 산소-28

    [최신 이슈] 있었는데, 없습니다 ... 희귀동위원소 산소-28

    과학동아 2023년 11호

     가을 하늘이 청명했던 10월 4일, 대전 기초과학연구원(IBS) 본원에서 황종원 희귀핵연구단 연구원을 만났습니다. 황 연구원은 산소-28 검출 국제 공동연구에 참여한 국내 연구진 중 하납니다. 2012년부터 시작된, 산소-28 실험을 위한 선행 연구부터 2015년 11~12월에 걸쳐 진행된 본 실험까지 중성자 검출 ...

  • [과동키즈] 우린, 모두, 과학 발전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과동키즈] 우린, 모두, 과학 발전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과학동아 2023년 11호

     어렸을 때 저는 책을 통해 세상을 알아가는 과정이 참 즐거웠습니다. 소설, 만화 가리지 않고 읽었지만,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는지에 대한 호기심을 해결해주는 책은 그리 많지 않았습니다. 무지개는 왜 생기는지, 배는 어떻게 바다에 뜨고, 비행기는 어떻게 하늘을 나는지 초등학생, 중학생 수준 ...

  • [최신이슈] 지구 밖 ‘보물섬’을 향한 여정...프시케 미션 시작

    [최신이슈] 지구 밖 ‘보물섬’을 향한 여정...프시케 미션 시작

    과학동아 2023년 10호

    (❋ 편집자주. 프시케는 인류가 16번째로 발견한 소행성입니다. 이탈리아의 천문학자인 안니발레 데 가스프리스가 1852년 3월 17일에 발견했습니다. 그리스어 프시케를 영어로 읽으면 ‘싸이키’가 됩니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이번 발사를 싸이키 미션, 탐사선을 싸이키라 부릅니다. 기사에서는 ...

  • [기획] 화학 반응, 소리 듣고 춤춘다!

    [기획] 화학 반응, 소리 듣고 춤춘다!

    어린이과학동아 2023년 10호

    원소와 분자, 단백질 등 화학의 요소가 음악이 되는 걸 확인했다면, 이번엔 소리가 화학에 참여할 차례입니다. 소리가 화학 반응을 조절하는 과정을 확인해 볼까요? 둥둥둥, 화학 반응 칼군무의 비결은 소리? 2020년, 포스텍 화학과 김기문 교수팀은 우리가 들을 수 있는 소리를 이용해 세계에서 처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