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uture] 잘 팔리는 책의 비밀 인공지능이 풀다

    [Future] 잘 팔리는 책의 비밀 인공지능이 풀다

    과학동아 2017년 03호

    이론은 많은 이들의 공감을 샀지만, 분석하는 이들마다 이야기의 모양이 제각각이라 혼선을 겪고 있었다. 서로 다른 감정선(감정의 흐름을 높낮이로 표현한 것) 모양의 수는 3개에서 많게는 30개까지 범위도 너무 넓었다.지난해 미국 버몬트대 앤드류 레건 교수팀은 인공지능을 이용해 이야기의 ...

  • [Knowledge] 뼈의 말에 귀 기울이는 사람들(上)

    [Knowledge] 뼈의 말에 귀 기울이는 사람들(上)

    과학동아 2016년 09호

    실제 피해자가 처음부터 수사 기관의 고려 대상에서 제외되기 때문에 수사에 큰 혼선을 초래할 수 있다. 그래서 법의인류학적 판단은 최대한 깐깐하게 내리는 게 원칙이다. 특히 미국에서는 법의인류학자가 법정에 나가 본인이 사용한 방법이 얼마나 객관적이고 과학적인지 소명해야 하기 때문에 큰 ...

  • [지식]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_저르퍼시의 추측

    [지식]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_저르퍼시의 추측

    수학동아 2016년 02호

    최소 몇 개의 주파수가 필요한지 구할 때 쓰입니다. 라디오 송신탑의 거리가 가까우면 혼선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지요. 고속버스 회사가 정해진 버스 노선의 시간표를 모두 운행하고자 할 때 필요한 최소 버스 수를 구할때도 그래프 색칠 문제로 바꿔 문제를 해결합니다.이처럼 그래프 이론에는 ...

  • 천리안은 왜 일주일에 한 번 궤도를 바꿀까

    천리안은 왜 일주일에 한 번 궤도를 바꿀까

    과학동아 2011년 05호

    상공 같은 곳은 0.1°(직선거리로는 약74km) 간격으로 위성들이 운용되고 있다. 이 때문에 혼선을 피하기 위해 운용자들은 스스로 각 위성의 운용구획을 설정하고 이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궤도 조정을 하고 있다. 이 운용구획을 ‘위치유지상자(Station Keeping Box)’라고 부른다. 보통 동서 방향으로 0. ...

  • 오디오 잡음, 휴대전화 혼선 잡는 단결정

    오디오 잡음, 휴대전화 혼선 잡는 단결정

    과학동아 2009년 09호

    주파수의 특성을 선별하는 부품(SAW)이 이런 단결정으로 이뤄져 있다. 휴대전화로 혼선 없이 통화할 수 있는 것도 결국 단결정 덕분인 셈이다. 이 밖에 작은 가전제품부터 대형 최첨단 장비까지 단결정은 현대문명이 낳은 대부분의 전자기기에 들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산업계에서 쓰이는 ...

  • 제3세대 컴퓨터입력장치 '펜앤마우스 블루'

    제3세대 컴퓨터입력장치 '펜앤마우스 블루'

    과학동아 2009년 07호

    사용할 수 있다. 블루투스 방식은 진동수 대역을 나눠 고유한 신호를 보내기 때문에 혼선될 염려가 없고, 수신기의 위치나 신호를 수신하는 각도에 상관없이 수신률이 높은 장점이 있다. 펜앤마우스 블루는 키보드와 마우스에 이은 제3세대 컴퓨터입력장치인 셈이다.  편집자주 ‘펜앤마우스 ...

  • 바꿔, 바꿔! 놀라운 발명

    바꿔, 바꿔! 놀라운 발명

    어린이과학동아 2008년 10호

    954)1933년 암스트롱은 FM라디오를 발명했다. 당시 주로 쓰이던 라디오는 AM방식으로 잡음과 혼선이 심했다. 암스트롱의 FM라디오는 AM방식보다 소리가 선명했다. 그러나 당시 미국의 라디오 시장을 지배하는 회사였던 RCA는 FM라디오를 받아들이지 않았다.RCA 로부터 거절당한 암스트롱은 직접 FM라디오 ...

  • 대한민국 표준시를 잡아라

    대한민국 표준시를 잡아라

    과학동아 2007년 06호

    휴대전화에서 받은 신호가 다른 기지국으로 넘어갈 때 다른 휴대전화 신호와 섞여 혼선의 위험이 있다.이런 위험을 막으려면 이동통신 기지국의 시간오차는 10만분의 1초보다 작아야 한다. 이밖에 교통체계 관리시스템의 시간오차는 1000분의 1초, 위성항법장치(GPS)의 시간오차는 10억분의 1초를 ...

  • 온 가족이 즐기는 축구로봇 미스터싸커!

    온 가족이 즐기는 축구로봇 미스터싸커!

    과학동아 2006년 05호

    수 있을까? 제조사인 브레이브사는 ‘아이디 정보를 조합하는 독자적인 기술’로 주파수 혼선문제를 해소했다고 한다. 실제 축구처럼 11대 11 경기는 힘들어도 최대 7대 7 경기는 가능하다. 첨단 기술과 깜찍한 외형으로 중무장한 로봇축구로 다가오는 월드컵을 준비해 보자 ...

  • 보이는 대로 믿지마

    보이는 대로 믿지마

    과학동아 2005년 05호

    오르막을 올라가는 것 같이 보여 붙은 이름이다.그 이유는 주위 환경에 의한 시각적 혼선에서 비롯된 ‘착시’ 때문이다. 주변의 나무들이 자란 방향을 보고 오르막이라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경사도 0.9 정도의 내리막인 것이다. 이를 쉽게 확인하는 방법은 도로의 사진을 찍은 후 포토샵 같은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