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art2. 꿈의 기술? 아직 피지 못한 꽃?

    Part2. 꿈의 기술? 아직 피지 못한 꽃?

    과학동아 2011년 04호

    어느 분야에서 강점이 있습니까?지난 10년 동안 우리나라는 초전도 케이블과 초전도 한류기 분야에서 세계를 선도할 수준으로 성장했습니다. 초전도 케이블의 경우 미국이 138kV/574MVA급인데 비해 우리는 154kV/1GVA급을 개발했지요. 초전도선은 미국이 1km급의 초전도선을 시간당 0.5m로 제작하는 데 비해 ...

  • 이 시대 진정한 미인은 누굴까

    이 시대 진정한 미인은 누굴까

    과학동아 2010년 12호

    을 합성한 ‘꽃미남 얼굴’을 비교했다. 그 결과 얼굴이 굵직굵직해 남자답고 씩씩한 ‘한류 얼굴’과 달리 ‘꽃미남 얼굴’은 얼굴은 길지만 턱이 짧고 광대가 부드러우며 입술이 얇다. 오히려 여자 얼굴처럼 곱상하다. 가톨릭대 의대 성형외과학교실 전영준 교수는 “최근 여성의 사회적 지위가 ...

  • 사실과 허구를 구분하려면?

    사실과 허구를 구분하려면?

    과학동아 2010년 11호

    뜨거워진 바닷물은 난류가 돼 고위도 지역으로 이동하고, 고위도에서 냉각된 바닷물은 한류가 돼 저위도 지역으로 이동해 저위도와 고위도의 열에너지를 교환합니다. 한편 저위도 지역에서 발생한 태풍은 고위도 지역으로 대기 중의 열을 이동시킵니다.북극에서 시베리아 지역에 이르는 시베리아 ...

  • 바닷가재와 문어, 누가 더 많을까

    바닷가재와 문어, 누가 더 많을까

    과학동아 2010년 09호

    단위면적(10km2)당 생물종은 32.3개로 조사 지역 중에서 가장 풍부했다. 이윤호 박사는 “한류와 난류가 모두 존재한다는 점, 암반, 모래, 갯벌, 습지, 다도해 등 다양한 서식지가 있다는 점, 조사를 활발하게 많이 진행한 점이 이유로 보인다”고 말했다. 보고서는 한국 외에도 중국과 ...

  • [입학사정관제] 입학사정관제 1차 전형 통과 비법

    과학동아 2009년 07호

    세미나빙하기의 원리 : 북극 주변은 시계방향으로 해류가 돌고 있고 전 지구적으로 난류, 한류 해양순환이 있다. 지구온난화로 빙하가 많이 녹아 난류의 흐름을 끊게 되면 빙하기가 찾아옴.우리나라는 자원이 없기 때문에 미세조류 연구가 활발해야 한다. 결빙방지물 질은 얼음에 붙어서 얼음결정이 ...

  • 먼지 따라 떠나는 지구과학 여행

    먼지 따라 떠나는 지구과학 여행

    과학동아 2009년 04호

    쿠로시오 해류의 지류인 동한 난류는 우리나라 동해안을 따라 북쪽으로 흐르다가 북한 한류와 만나 경북 죽변 근해에 조경 수역(영양 염류가 풍부해 좋은 어장)을 이룬다. 결국 북반구에서는 해류가 시계 방향으로 순환함을 알 수 있다. 남반구의 해류는 반시계 방향으로 순환한다.사실 해류의 ...

  • 바다영웅 전설, 우리 바다를 지켜라!

    어린이과학동아 2008년 13호

    없느냐에 따라 그 면적이 엄청나게 차이가 나게 되지. 특히 독도 근처의 바다는 북한한류와 대마난류가 만나 황금어장을 이루고, 많은 지하 자원이 묻혀 있을 거라 예상되는 곳이기도 해. 그래서 우리는 우리가 할 수 있는 방법으로 독도를 지키고 있어. 독도 바다의 생태가 어떠한지, 특별한 해류 ...

  • 한국해양연구원 동해연구소 개소

    한국해양연구원 동해연구소 개소

    과학동아 2008년 11호

    밑바닥에 사는 심해생물을 탐사하는데 큰 기대를 걸고 있다. 그동안 동해는 쿠로시오 한류와 북태평양 난류가 만나 명태나 오징어, 멸치 같은 전통적인 식량자원 어종이 풍부한 황금어장으로만 알려졌다.하지만 동해는 유용한 생체물질을 얻을 수 있는 플랑크톤이나 박테리아가 풍부한 ...

  • 3. 추위에 강한 생물자원의 보고

    3. 추위에 강한 생물자원의 보고

    과학동아 2008년 08호

    마찬가지다. 동해안은 한류와 난류가 교차해 천혜의 어장을 형성하는 곳이었지만, 이젠 한류보다는 난류성 어종이 더 많이 산다. 동해 명태잡이 선단이 북쪽 바다로 이동한지는 이미 오래됐다.따뜻한 바닷물을 피해 달아난 생물자원을 따라 북극으로 몰려드는 이들은 어부 말고도 또 있다. 바로 북극 ...

  • 물 먹은 바오밥나무에서 해수욕 즐기는 펭귄까지

    물 먹은 바오밥나무에서 해수욕 즐기는 펭귄까지

    과학동아 2008년 07호

    왔지만 녀석들이 적도를 넘어 북반구까지 이동할 가능성은 없어 보인다. 펭귄은 차가운 한류에 의지해 생활하기 때문에 열기와 난류가 흐르는 적도 부근을 넘을 수는 없기 때문이다. 만약 인간의 힘으로 펭귄들을 북극으로 옮겨 놓는다면? 전문가들은 기후와 먹이가 펭귄에게 적합하기 때문에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