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사탐의 시작은 우리 동네 탐사부터 매달 30일엔 박쥐 탐사를!

    지사탐의 시작은 우리 동네 탐사부터 매달 30일엔 박쥐 탐사를!

    어린이과학동아 2021년 15호

    도시에서 박쥐가 활동하는 장소를 많이 발견하길 바랍니다. 최근 도시 재개발과 하천 정비 사업 등으로 박쥐가 살아갈 장소는 점점 사라지고 있거든요. 박쥐 서식지를 발견하면 우리나라 박쥐 보전에 기여할 수 있어요. 우리 눈엔 잘 보이지 않지만 생태계의 일원으로 활약하는 박쥐를 한 번 더 ...

  • [파고 캐고 지질학자] 산호초가 다져지면 석회암이 된다고?!

    [파고 캐고 지질학자] 산호초가 다져지면 석회암이 된다고?!

    어린이과학동아 2021년 14호

    지형이 생겨요. 카르스트 지형에서는 냇물이 땅 위가 아니라 석회암이 녹아서 생긴 지하 하천을 통해 흐르기도 해요.우리나라에는 강원도와 충청북도, 경상북도에 카르스트 지형이 있는데, 해외에서는 훨씬 큰 규모로 나타나기도 해요. 중국 남서부의 광서성 지역에는 우리나라의 면적보다 더 큰 ...

  • [지구사랑 탐사 현장 취재] 전기차, 매미, 개구리를 살리는 방법은?

    [지구사랑 탐사 현장 취재] 전기차, 매미, 개구리를 살리는 방법은?

    어린이과학동아 2021년 12호

    개구리는 주로 논이나 계곡 등 민물에 사는 것으로만 생각됐거든요. “단, 바닷물과 하천이 만나는 ‘기수지역’에서 개구리가 살 수 있어요. 지난 2016년에 이런 환경에서 올챙이를 발견해 논문을 발표했답니다.”허경만 연구원은 개구리가 살 수 있는 바다 지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주었어요. ...

  • [현장취재➊] 지구사랑탐사대 시민과학자들의 새해는 바로 오늘! 지구사랑탐사대 발대식

    [현장취재➊] 지구사랑탐사대 시민과학자들의 새해는 바로 오늘! 지구사랑탐사대 발대식

    어린이과학동아 2021년 10호

    함께하게 된 거예요. 밝기에 따른 매미 울음 소리 연구를 비롯해, 주차장 머무름 시간, 하천 정화 모니터링 등 9개 주제의 연구에 참여할 수 있답니다. 이밖에도 지구사랑탐사대 사진전과 국립수목원과 함께하는 귀화식물 지도 만들기 프로젝트도 열릴 예정이니, 많이 참여해 주세요!   9기 지사탐, ...

  • 서울 땅 3m 아래 조선의 금속 유물과 만나다

    서울 땅 3m 아래 조선의 금속 유물과 만나다

    과학동아 2021년 09호

    3m 아래에서 출토됐다. 이번 발굴지를 포함한 청계천변은 지난 600년 동안 제방 건설, 하천 준설, 도로 보수, 임진왜란 등 전란 이후 재건을 거치면서 조선 전기부터 꾸준히 지표면이 상승했다. 4~5m 아래 조선 초기의 건물터가 있고 그 위에 16세기, 17세기, 18세기, 이런 식으로 현대까지 흔적이 차곡차곡 ...

  • 한강, 그 흐름의 기록

    한강, 그 흐름의 기록

    과학동아 2021년 07호

    기하학적인 형태를 빚어냈다.북한강은 한강의 지류 중 가장 길이가 길다. 협곡이 많고 하천 유량이 풍부해 과거부터 댐 건설의 최적지로 꼽혔다. 일제강점기 건설된 화천댐, 한국에서 저수용량이 가장 많고 높이가 123m로 가장 높은 소양강댐이 있으며 이외 춘천댐, 의암댐, 청평댐 등이 지어졌다 ...

  • 미래│인간의 영향으로 달리 흐르다

    미래│인간의 영향으로 달리 흐르다

    과학동아 2021년 07호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기후변화는 전 지구적인 현상이지만, 하천의 회복력에 따라 기후변화에 의한 피해 양상과 규모는 달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

  • 살이│섬강 ,민물고기의 혼인 잔치

    살이│섬강 ,민물고기의 혼인 잔치

    과학동아 2021년 07호

    않은 곳에서 돌상어도 여러 개체를 발견했습니다. 민물고기의 모래가 남아있는 자연 하천이 필요한국에 사는 230여 종의 민물고기 중 고유종은 65종에 달합니다. 이 가운데 30여 종 이상의 민물고기들이 여울과 소(땅바닥이 빠져 물이 깊어진 곳), 모래나 자갈 퇴적지에 서식합니다. 강에 세우는 ...

  • 과거│2만 년 전, 한강은 황해의 초원을 달렸다

    과거│2만 년 전, 한강은 황해의 초원을 달렸다

    과학동아 2021년 07호

    과정을 추측할 수 있는 연구가 잇따라 발표되고 있다”며 “한강을 비롯한 한반도 하천은 경동성 요곡운동이 일어난 시점과 과정을 알아내는 데 중요한 증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대(大)한강이 황해의 초원을 따라 흐르다한강의 모습을 바꾼 마지막 변곡점은 대략 2만 5000년 전~1만 8000년 전으로 ...

  • 현재│산을 가르고 바다와 섞이고

    현재│산을 가르고 바다와 섞이고

    과학동아 2021년 07호

    과거 중국의 한, 위나라에서는 한강을 ‘대수(帶·띠 대)’라 불렀다. 한강의 모습이 한반도의 허리에 띠를 두른 것처럼 보이는 데에서 나온 표현이다. ... 댐이 연속적으로 분포되어 있기 때문에 인위적인 계단식 지형을 보인다”며 “자연적인 하천 지형이 거의 남아 있지 않다”고 말했다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