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art 1. 생물들의 시간은 다르게 흐른다?

    Part 1. 생물들의 시간은 다르게 흐른다?

    어린이과학동아 2017년 02호

    덩치가 클수록 오래 산다?과학자들은 생물들의 수명이 종별로 다른 이유에 대해 연구하고 있어요. 그중 흥미로운 연구는 동물의 몸집이 작을수록 수명이 짧다는 거예요. 진화론적으로 봤을 때 몸집이 작으면 힘이 약하고 포식자에게 잡아먹힐 가능성이 높거든요. 그래서 빨리 자라서 새끼를 많이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기자단] 생물다양성 탐사대작전!

    [출동! 어린이과학동아기자단] 생물다양성 탐사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2016년 14호

    저랑 동생은 박각시 나방, 딱정벌레, 불나방, 유리산누에나방, 장수쐬기나방, 하루살이 등을 잡아 관찰했어요.밤 11시가 돼서야 야간 곤충 탐사를 마쳤는데, 엄청 졸렸지만 가장 재미있었어요. 다음에도 야간 곤충 탐사를 꼭 다시 하고 싶어요. (김신혜, 서울 동산초 5)Q 새벽 탐사에서는 뭘 했나요 ...

  • PART 3. 수중시체를 찾아온 살아있는 단서들

    PART 3. 수중시체를 찾아온 살아있는 단서들

    과학동아 2016년 02호

    물에서 보내는 ‘수서곤충’이 전체 곤충의 3%가량 된다. 이들 중 사체를 찾는 종은 하루살이, 잠자리, 강도래, 뱀잠자리, 날도래, 노린재, 딱정벌레, 파리 등 8개 목(目)에 걸쳐 있다. 특히 파리는 민물부터 바닷물까지 가리지 않고 찾아든다. 온천이나 석유 웅덩이, 소금호수에서도 살 수 있을 정도로 ...

  • 출동! 우리 산림생물 바로 알기 탐험대

    출동! 우리 산림생물 바로 알기 탐험대

    어린이과학동아 2015년 22호

    물가로풍덩 2조의 이진서 대원은 수생식물원 근처에 사는 생물들을 조사하면서 “하루살이, 물땡땡이, 꽃벌 등 집 근처에서는 보기 힘든 생물들을 많이 볼 수 있어서 좋다”며 소감을 밝혔어요.탐험대원들의 탐사가 끝난 뒤, 국립수목원 휴게광장 나무엔 커다란 거미줄이 걸렸어요. 각 팀마다 탐사 ...

  • 새벽기차

    새벽기차

    과학동아 2013년 06호

    길어 낮에는 기온이 55도까지 오르고 밤이면 영하 45도까지 떨어진다. 키바의 식물은 대개 하루살이 풀로, 새벽에 싹을 틔워 낮에 열매를 맺고 저녁이면 시든다. 철새들은 아침나절까지 머물다가 낮이 오기 전에 새벽으로 돌아간다. 큰귀코끼리는 밤이 오면 남으로 내려가고 낮이 오면 북으로 ...

  • 독수리 만 했던 잠자리가 작아진 이유

    독수리 만 했던 잠자리가 작아진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2012년 13호

    비교적 쉬워졌기 때문에 곤충들도 몸집을 키울 수 있었어요. 고생대이후 사라졌던 거대 하루살이가 중생대 백악기에 나타났던 증거 화석이 있는데, 잠깐 산소 농도가 짙었던 시기였다고 해요.그럼 산소가 줄면서 몸집이 작아졌니?저를 비롯해 거대 곤충들은 고생대 이후 몸집이 점점 줄어들다가 ...

  • 학기초 공부계획 꼭 성공하려면

    학기초 공부계획 꼭 성공하려면

    과학동아 2012년 09호

    복습 계획마저 이제는 기약 없는 약속이 되어, 결국 ‘시간이 해결해 주겠지’하며 하루살이 공부를 하고 있진 않나요? 사실 이런 고민들은 중·고등학생이라면 누구나 해봤을 겁니다.제대로 된 계획 없이 공부를 하는 것은 설계도면 없이 집을 짓는 것과 비슷하죠. 부실공사가 되기 쉽습니다. ...

  • 400㎞ 떨어진 마다가스카르에 갈 수 있었던 비결

    400㎞ 떨어진 마다가스카르에 갈 수 있었던 비결

    어린이과학동아 2012년 08호

    종으로 이뤄져 있어요. 몸 길이가 16㎜에 불과한 초소형 카멜레온부터 7㎝나 되는 대형 하루살이까지 신기하고도 놀라운 동식물이 가득하답니다. 그래서 과학자들은 ‘생물의 보고’라고 부르죠. 하지만 과학자들은 아프리카에서 400㎞나 떨어진 이곳에 어떻게 보기 힘든 동물이 살게 됐는지 매우 ...

  • 거대 곤충의 시대 - 공룡 피는 무슨 맛이었을까?

    거대 곤충의 시대 - 공룡 피는 무슨 맛이었을까?

    과학동아 2012년 05호

    시기를 비교하면 둘이 일치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고생대 이후 사라졌던 거대 하루살이도 백악기에 다시 나타났지요. 중생대 중기에서 백악기 초기 지층에서 발견된 저 역시 산소 농도가 짙었던 시기에 살았습니다.여기서 또 하나의 연결고리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페름기 말기의 대멸종 ...

  • 배다리 항문다리 가슴다리를 보라

    배다리 항문다리 가슴다리를 보라

    과학동아 2011년 07호

    애벌레 시기를 구분지어 약충(nymph)으로 지칭하기도 한다. 불완전변태 중 수서 곤충인 하루살이목, 잠자리목과 강도래목의 어린 시절은 따로 나이아드(naiad)로 부른다. 혹은 절지동물의 어린 시절을 유생(juvenile)이라는 이름으로 애벌레 만큼이나 일반적인 단어로 사용한 적도 있다. 그러나 어원을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