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ews & Issue] 밤에 과자 피해야 할 또 하나의 이유

    [News & Issue] 밤에 과자 피해야 할 또 하나의 이유

    과학동아 2016년 02호

    설탕이 많은 음식을 먹었을 때와 그렇지 않을 때의 수면 형태를 5일간 조사했다. 그 결과, 포화지방과 설탕을 많이 먹은 경우는 깊은 수면인 서파수면(slow wave sleep)이 지속되는 시간이 매우 짧았고, 건강한 식단을 먹었을 때보다 잠이 드는 데 시간이 2배가량 더 걸렸다. 피에르 교수는 “나쁜 식습관이 ...

  • FDA 트랜스지방에 사형 선고

    FDA 트랜스지방에 사형 선고

    과학동아 2015년 07호

    제외한다고 6월 16일 밝혔다.인공 트랜스지방은 식물성 불포화지방에 수소를 넣어 포화지방으로 형태를 바꾼 것으로 음식의 식감을 촉촉하게 하고 단맛과 고소한 맛을 낸다. 때문에 마요네즈, 케이크, 과자, 빵 등의 음식에 널리 사용된다. 하지만 인공 트랜스지방은 동맥경화나 심장질환과 같은 ...

  • 트랜스지방이 안 좋은 이유 밝혀졌다

    트랜스지방이 안 좋은 이유 밝혀졌다

    어린이과학동아 2014년 14호

    들어볼게.안녕? 음식 속에 들어 있는 너는 누구니?나는 트랜스지방이에요. 액체인 불포화지방에 수소를 넣어 고체로 만들 때 생기는 지방이지요. 식용유 같은 기름을 인위적으로 가공할 때 생기는 것으로 많이 알려져 있어요. 그래서 튀김이나 마요네즈, 마가린, 팝콘, 빵이나 과자 등에서도 우리를 ...

  • [과학뉴스] ‘글루텐 프리’만으로는 부족하다

    [과학뉴스] ‘글루텐 프리’만으로는 부족하다

    과학동아 2014년 10호

    글루텐을 대신해 섭취한 설탕이나 쌀, 감자 같은 음식에 섬유질과 단백질은 부족하고 포화지방은 지나치게 많기 때문이다. 그 결과 혈당 수치는 높았고 단백질이나 비타민 섭취는 부족해졌다.반면 ‘아스코르빈산, 구연산 보충하기’ ‘엽산과 철분 섭취하기’ ‘가열하지 않은 식물성 기름 먹기’ ...

  • PART 3. 인간의 역사를 바꾼 꽃의 유혹

    PART 3. 인간의 역사를 바꾼 꽃의 유혹

    과학동아 2014년 04호

    때문이다.가장 추운 지역에서 살아가는 귀리, 보리, 밀, 도토리, 밤나무 등은 불포화지방조차 사용하지 않고 에너지 대부분을 탄수화물로 저장한다. 그 덕에 이 작은 식량저장고는 현재 세계 식량의 60%를 담당하고 있다.최초로 인간을 길들인 꽃식물은 벼다. 정확하지 않지만 1만 년 전쯤부터 중국, ...

  • 새댁기자의 쿡쿡 맛있는 과학 - 6화

    새댁기자의 쿡쿡 맛있는 과학 - 6화

    과학동아 2013년 10호

    영리하게 진화한 만큼 등푸른생선에는 두뇌작용을 활발하게 하고 건강에도 좋은 불포화지방산 오메가3가 풍부하지요.등푸른생선은 맛도 좋아요. 특히 ‘가을 고등어는 며느리도 주지 않는다’는 옛말이 있을 만큼 가을에 잡는 고등어가 맛있지요. 서늘한 가을밤, 뱃속을 따뜻하게 채우기 위해 ...

  • 바다 속 어디까지 가봤니?

    바다 속 어디까지 가봤니?

    과학동아 2013년 08호

    수심 0m. 다이빙은 절대 혼자 하지 않는다스쿠버 다이빙 강사인 김갑수(39) 씨는 필리핀에 있는 보홀 섬으로 수시로 떠난다. 아름다운 산호초와 바다 생물을 만나기 위해서다. 다이빙 전용선에 각종 장비를 싣고 시동을 걸면 배 뒤꽁무니에서 물살이 하얗게 부서진다. 잠시 뒤, 다이빙 포인트에 멈춰 ...

  • [8월] 도전! 과학동아 청소년 기자

    [8월] 도전! 과학동아 청소년 기자

    과학동아 2013년 08호

    가공한 초콜릿은 오히려 건강을 해칠 수도 있다. 당에 중독되고 비싼 카카오 버터 대신 포화지방 또는 트랜스 지방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이채린(부산 동래여고 2)옛날부터 단것을 워낙 좋아했던 터라 초콜릿에 대해 한 번쯤은 다뤄보고 싶었다. 기사를 쓰고 나니 무엇인가 이뤄냈다는 뿌듯함과 ...

  • Part 2. 바이러스가 당신을 당장 죽이지 않는 이유

    Part 2. 바이러스가 당신을 당장 죽이지 않는 이유

    과학동아 2013년 08호

    사람 입장에서 바이러스의 방문은 언제나 달갑지 않다. 조금만 무리했다 싶으면 찾아오는 가벼운 몸살감기에서부터 눈병, 장염, 그리고 목숨을 위협하는 악명 높은 바이러스까지….그런데 반대로 바이러스 입장에서 보면 인간을 감염시키는 일이 그렇게 호락호락하지 않다. 인간의 몸은 바이러스 ...

  • [3월] 도전! 과학동아 청소년기자

    과학동아 2013년 03호

    넣어 그 원료부터 인체에 해롭다. 또한, 가공과정에서 과량의 나트륨과 MSG가 첨가되고 포화지방산 비중이 높은 팜유에 튀겨진다. 라면 맛의 핵심인 스프는 어떨까? 그 맛에서부터 느낄 수 있듯이 스프는 말 그대로 ‘조미료 덩어리’다. 햄버거도 라면과 마찬가지다. 수입밀가루를 사용하고, 달고 짠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