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계 그래프로 보는 2023 KBO

    통계 그래프로 보는 2023 KBO

    수학동아 2024년 03호

    등을 표만 보고 단번에 알기가 어렵다. 이땐 데이터를 시각화하면 원하는 정보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2023시즌 KBO 구단별 기록을 스타 차트로 만들어봤다. 스타 차트는 한 점을 기준으로 변수의 개수만큼 축을 그리고, 변수 사이를 이어 만든 그래프다.   기록이 쌍둥이인 선수를 찾아라! ...

  • 전술의 신 1. 그래프로 패스를 분석하라!

    전술의 신 1. 그래프로 패스를 분석하라!

    수학동아 2024년 03호

    방법이 있을까? 한 스페인 데이터 과학자가 발표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그래프 이론으로 파악할 수 있다. 그래프 이론이란 수학에서 점과 이들을 연결하는 선들로 구성된 그래프의 성질을 연구하는 분야다. 2010 남아프리카공화국(남아공) 월드컵에서 스페인이 우승하자 데이터 과학자인 하비에르 ...

  • 배틀그라운드 탄도학으로 총 잘 쏘는 법

    배틀그라운드 탄도학으로 총 잘 쏘는 법

    수학동아 2024년 03호

    거리보다 가까우면 조금 아래, 멀면 위를 노려야 한다. 결국 상대방과 나 사이의 거리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배틀그라운드 모바일은 지도에 있는 격자를 이용해 거리를 대략 알 수 있으니 이를 잘 활용하면 좋다 ...

  • 통계로 정해지는 이적료

    통계로 정해지는 이적료

    수학동아 2024년 03호

    2개 이상의 독립변수(xi)를 가진 자료에서 독립변수가 종속변수(y)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해 독립변수에 따른 종속변수의 값을 예측하는 통계 기법이다. 이 연구에서 독립변수는 선수를 영입할 때 구단에서 고려하는 요소이고, 종속변수는 구하고자 하는 선수의 가치다. 구단에서는 선수를 영입할 때 ...

  • 초고에너지 우주선, 그 입자엔 왜 신의 이름이 붙었나

    초고에너지 우주선, 그 입자엔 왜 신의 이름이 붙었나

    과학동아 2024년 03호

    정보를 분석하면 원래 지구로 떨어지던 입자, 즉 우주선의 에너지와 진행경로 등을 파악할 수 있다. 2021년 5월 27일‘말도 안 되는 세기의’ 우주선이 관측되다“2008년 5월부터 2021년 11월까지 지상 검출기로 관측한 결과를 분석하다가 비범할 정도로 높은 에너지를 가진 우주선이 2021년 5월 27일 ...

  • [과학사 극장] 뉴턴은 사과를 보고 만유인력의 법칙을 떠올렸다?

    [과학사 극장] 뉴턴은 사과를 보고 만유인력의 법칙을 떠올렸다?

    과학동아 2024년 03호

    언급했다고 한다. 다시 말해, 사과나무 이야기는 역사적 사실이라기보다는 진위를 파악할 수 없는 ‘자전적 소설’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사과나무 이야기가 이토록 유명해진 이유는 무엇일까? 그러한 이야기가 뉴턴 당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뉴턴을 지지하는 사람들에게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무선 조종 탱크 만들기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무선 조종 탱크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2024년 02호

    영화를 보던 섭섭박사님은 험한 비탈을 거침없이 누비는 탱크에 눈길이 갔어요. 섭섭박사님은 리모컨으로 조종할 수 있는 무선 조종 탱크를 ... 데이비드 킹 박사는 “이 로봇은 환자가 쓰러진 장소에 도착하고 나서 20분 안에 상태를 파악한 뒤 필요한 대처를 할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

  • 형태만큼 다양한 쓸모 , 로봇 트렌드 톺아보기

    형태만큼 다양한 쓸모 , 로봇 트렌드 톺아보기

    과학동아 2024년 02호

    과 자세 인식 기술을 이용해 등산, 경보, 계단 오르내리기 등 착용자의 현재 운동상황을 파악하고 다음 동작을 더 수월하게 할 수 있도록 힘을 더해준다. 최대 1마력의 힘으로 30kg의 무게를 상쇄해 줄 수 있으며, 앞뒤로 움직일 때 10kg에 해당하는 힘을 더해준다. 말 그대로 등산할 때 다리를 대신 ...

  • Part3. 대규모 언어모델 AI 로봇 혁신할까

    Part3. 대규모 언어모델 AI 로봇 혁신할까

    과학동아 2024년 02호

    그와 관련된 행동들을 찾는다. 이중 ‘콜라 캔 찾기’를 가장 먼저 수행해야함을 파악하고 그 다음에 이어질 적절한 행동을 찾아 하나씩 수행한다. 팜-세이캔 모델처럼 알아서 목표를 찾고 수행 순서를 정한다면 어떤 임무에도 적용이 가능해, 범용 AI 로봇 개발로 이어질 수 있다. 완벽하게 인간을 ...

  • 귤을 많이 담으려면 〇〇〇 모양으로? 귤포장에 숨은 수학

    귤을 많이 담으려면 〇〇〇 모양으로? 귤포장에 숨은 수학

    과학동아 2024년 02호

    영국의 월터 롤리 경은 아메리카 대륙을 탐험하면서 함선에 실린 대포알의 수를 파악하는 효율적인 방법을 고민합니다. 그는 함께 탐험 중이던 수학자 토머스 해리엇에게 이 문제를 풀어달라고 부탁했죠. 해리엇은 1591년에 대포알 문제에 관한 문서를 작성했습니다.여기서 더 나아가 대포알 문제를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