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ART 3. 거대 도시가 사라지려면

    PART 3. 거대 도시가 사라지려면

    과학동아 2016년 09호

    절단하는 동안 구조물을 잡아줄 크레인을 실어야 하기 때문에 크기가 커야 한다. 트러스 해체가 끝나면 상판과 교각을 해체하는데, 방법은 건물과 비슷하다.철거란 없다, 재활용만 있을 뿐터널은 어떨까. 터널은 철거를 하지 않는다. 장수호 건설기술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지진이 났을 때 가장 ...

  • [생활] 디자인 놀이터에서 즐기는 수학데이트

    [생활] 디자인 놀이터에서 즐기는 수학데이트

    수학동아 2015년 08호

    공법을 이용한 스페이스 프레임 구조예요. 그렇다면 굳이 삼각형 구조를 기초로 한 트러스 공법을 이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바로 삼각형이 가진 힘 때문이에요. 삼각형은 다른 도형과 달리 변의 길이만 정해지면 모양이 조금도 변형되지 않는 튼튼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요. 주변에서 흔히 구할 ...

  • [섭섭박사가 간다!] 힘을 분산시켜 튼튼! 현수교의 비밀

    [섭섭박사가 간다!] 힘을 분산시켜 튼튼! 현수교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2013년 07호

    반원 모양인 아치를 이용해 다리의 균형을 유지하지. 트러스교는 연속된 삼각형 구조인 트러스를 이용해 만든 다리야. 사장교는 다리의 기둥과 상판을 줄로 직접 연결한 구조란다.어? 박사님~, 사장교랑 현수교가 비슷하게 생긴 것 같아요.맞아~. 둘 다 줄을 이용해 만든 다리지. 하지만 현수교는 ...

  • 고등학교 동아리의 한계를 뛰어넘다

    고등학교 동아리의 한계를 뛰어넘다

    과학동아 2012년 01호

    압력을 이용해 크레인을 움직이고, 크레인에 가해지는 무게를 적절히 분산시키기 위해 트러스 구조로 크레인을 만든다. 이렇게 기본적인 기구의 움직임을 통해 원리를 이해하고 공구를 다루는 법을 손에 익힌다. 기본기를 탄탄히 익힌 뒤 요트 만들기, 열기구 만들기를 할 수 있다.20년을 지켜온 ...

  • 트러스-아치 구조의 비밀

    트러스-아치 구조의 비밀

    과학동아 2012년 01호

    큰 하중도 효과적으로 견딜 수 있는 구조물을 만들 수 있다.우리 몸에도 아치가 숨어 있다트러스 구조와 아치 구조는 앞에서 살펴 본 다리, 지하철 역사, 체육관 지붕 뿐만 아니라 경주 불국사 백운교에서도 볼 수 있고 여러 고궁의 돌다리에서도 찾을 수 있다. 음료수가 들어 있는 캔의 바닥은 오목한 ...

  • 우주에서 온 로보너트2의 편지

    우주에서 온 로보너트2의 편지

    과학동아 2011년 10호

    느끼는 힘 센서와 촉각 센서도 들어가거든.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연구진이 나를 덱스트러스 방식으로 만든 이유는 더 다양한 분야에 나를 활용하기 위해서야. 집게손은 빵이면 빵, 접시면 접시처럼 한정된 대상만 집어 올릴 수 있어. 하지만 나는 다양한 크기의 물건을 쥘 수 있지. 그리고 ...

  • 미래도시가 온다!

    미래도시가 온다!

    어린이과학동아 2011년 07호

    우주로 가져가기 쉽고 우주에서도 바로 활용할 수 있는 건축물을 개발했다. 트러스 구조는 여러 개의 직선 재료를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삼각형 형태로 배열해 힘을 효율적으로 분산시킨다는 장점이 있다. 달에 있는 재료로 만드는 달 도시달 표면에 건물을 짓기 위해서는 건설에 필요한 재료를 달 ...

  • 집게냐 손가락이냐 그것이 문제로다

    집게냐 손가락이냐 그것이 문제로다

    과학동아 2011년 02호

    있습니다. ‘사람과 똑같은 로봇손’만 전문으로 연구하는 사람들도 있으니까요. ‘덱스트러스(Dexterous)’ 방식이라고 하는데, 이 글에선 편의상 손가락 형이라고 부르겠습니다.손가락 형 로봇손은 사람의 손동작을 흉내 낼 수 있도록 네 개, 또는 다섯 개의 손가락이 붙어 있고, 손가락마다 3개 ...

  • 야옹이 구출 대작전

    야옹이 구출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2010년 22호

    구조다. 보통 직선 형태의 재료는 누르는 힘을 받으면 휘어지면서 끊어지려한다. 그러나 트러스 구조에서는 윗판과 아랫판, 그사이에 있는 대각선 판까지 여러 개가 누르는 힘을 나눠 받기 때문에 버티는 힘이 더 강해진다.이렇게 해 보세요!나무젓가락을 다리에 끼운 뒤 끈을 걸어 ...

  • 다리엔 왜 줄이 많을까?

    다리엔 왜 줄이 많을까?

    수학동아 2010년 11호

    지었다. 짧고 가벼운 재료를 조립해서 긴 다리를 쉽게 만들 수 있었기 때문이다. 당시의 트러스교는 정사각형에 대각선을 이은 구조로 삼각형의 안정성을 잘 살렸다.19세기 초에는 나무를 쓰다가 후반으로 갈수록 철강을 사용했다.  포물선 줄, 비스듬한 줄높은 산에 가면 봉우리와 봉우리를 잇는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