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집] 추천 AI에 벡터가 필요한 순간

    [특집] 추천 AI에 벡터가 필요한 순간

    수학동아 2021년 01호

    모임인 벡터로 나타내는 것은 각기 다른 형태의 데이터를 컴퓨터가 학습할 수 있도록 통일된 형태로 변환하는 것”이라며 AI에 있어서 벡터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AI를 다루려면 수학의 기초를 튼튼히 다지는 게 중요해요!최재식 KAIST AI대학원 교수는 AI의 내부를 뜯어보는 ‘설명 가능한 AI ...

  • [이달의 과학사] 기차 시간표를 맞추려고 탄생했다? ‘그리니치 표준시’

    [이달의 과학사] 기차 시간표를 맞추려고 탄생했다? ‘그리니치 표준시’

    어린이과학동아 2020년 15호

    심지어 서로 다른 시계를 쓰는 기차끼리 충돌 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어요. 따라서 시간을 통일하는 일이 기차 운행에 정말로 중요해졌죠.그래서 1840년 11월, 철도 회사 ‘그레이트 웨스턴 레일웨이’에서 처음으로 모든 역에 똑같은 시간을 쓰기로 했어요. 정확한 시간을 잴 수 있는 설비가 마련된 ...

  • [2회] 데파더의 데이터 레시피

    [2회] 데파더의 데이터 레시피

    수학동아 2020년 09호

    필요 없는 부분을 버리고, 빠진 정보를 채우고, 다른 단위로 기록된 수치가 있다면 통일하는 등의 작업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데이터를 행렬로 표현한 뒤 이런 과정을 거칩니다. 3. 그래프 그리기데이터에 적합한 형태의 그래프를 그려서 데이터의 특징을 파악합니다. 그래프의 종류는 막대 그래프, ...

  • [SF에 묻는다] 공각기동대 vs. 생명창조자의 율법

    [SF에 묻는다] 공각기동대 vs. 생명창조자의 율법

    과학동아 2020년 06호

    사실을 알아챕니다. 이들은 전제주의 국가라 통제하기 쉬운 크로악시아가 타이탄을 통일할 수 있도록 무기를 제공해 돕고 있었습니다. 잠벤도르프는 능숙한 사기술을 이용해 생명창조자의 전령인 척하며 계시를 내립니다. 전쟁을 막기 위해 서로 죽이지 말 것이며, 이웃을 도울 것이고, 거짓말을 ...

  • 문화재의 변신!

    문화재의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2020년 06호

    진행했어요. 이를 위해 ‘유니코드’를 사용했지요. 유니코드는 세계 각국의 언어를 통일된 방법으로 쓸 수 있게 만든 국제적인 문자코드로, 약 13만 8000여 자를 표현할 수 있어요. 프레메리 교수팀은 직접 개발한 프로그램으로 자주 사용되는 유니코드 6만 5000여 자를 구 모양의 3차원 공간에 ...

  • [수학뉴스]57년 묵은 ‘링겔 추측’ 풀렸다?!

    [수학뉴스]57년 묵은 ‘링겔 추측’ 풀렸다?!

    수학동아 2020년 04호

    모든 선은 같은 색으로, 두 단위 떨어져 있는 점을 연결하는 선은 또 다른 색으로 통일해 색칠해나가면 2n+1개의 점이 있는 완전 그래프의 선을 칠하는 데 필요한 색깔은 항상 n개고, n+1개 꼭짓점을 가진 나무 그래프는 n개의 선을 가지므로 링겔 추측이 성립하는 겁니다. 연구팀은 이를 증명하기 위해 ...

  • [매스크래프트] 대칭의 끝판왕! 인도의 타지마할

    [매스크래프트] 대칭의 끝판왕! 인도의 타지마할

    수학동아 2020년 04호

    두 날개가 좌우대칭을 이루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어요. 이처럼 대칭 구조는 균형감과 통일감을 줘 예술에서 많이 쓰이죠. 그 예로 데칼코마니를 들 수 있는데요. 한쪽에만 물감을 칠한 뒤 종이를 반으로 접고 펴서 만드는 데칼코마니 무늬는 ‘선대칭 도형’의 대표적인 예죠. 이렇게 대칭은 서로 ...

  • 우한에서 서울까지 47일의 기록...우한대 유학생의 우한 탈출기

    우한에서 서울까지 47일의 기록...우한대 유학생의 우한 탈출기

    과학동아 2020년 03호

    코로나바이러스 감염병’이라는 명칭은 당시 상황을 왜곡하지 않기 위해 ‘코로나19’로 통일하지 않고 그대로 썼습니다. ● 2019년 12월 31일오늘 중국 우한시위생건강위원회(武汉市卫生健康委员会)가 ‘원인 불명 폐렴 치료 업무에 관한 긴급 통지’를 발표했다. 소위 ‘우한 폐렴’으로 알려진 ...

  • 발굴 현장에서 지도를 그려라

    발굴 현장에서 지도를 그려라

    수학동아 2020년 02호

    스캐너가 촬영한 위치,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좌표계를 갖기 때문에 GPS 기준의 좌표계로 통일시켜야 비로소 의미 있는 ‘정보’가 되죠. 정보가 된 점들은 측량 이후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후처리 작업을 하는데요, 점을 이어 선을 만들고, 선을 이어 면을 만듭니다. 면이 모여 입체적인 형상을 ...

  • 밴쿠버●미션, 거대한 나무 흔들다리를 건너라

    밴쿠버●미션, 거대한 나무 흔들다리를 건너라

    어린이과학동아 2019년 21호

    어린 나무는 300살, 늙은 나무는 1300살이 넘었다고 해요. 8세기 초, 신라가 삼국을 통일할 때 태어나 지금까지 사는 셈이죠. “여기 보세요! 나무 위에 다리가 있어요!”높은 나무 위를 살펴볼 수 있도록 공원의 나무 사이에는 다리가 걸려있어요. 탐험대 친구들은 나무들을 건너다니며 아래를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