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주얼 과학교과서] 엄치나의 등장

    [비주얼 과학교과서] 엄치나의 등장

    어린이과학동아 2017년 05호

    방향의 반대쪽으로 생겨요. 먼지와 모래같은 매우 무겁고 단단한 물질로 이뤄져 있어서 태양풍의 영향을 덜 받기 때문이랍니다.일반적으로 혜성은 타원 궤도를 그리며 돌아요. 궤도의 크기나 모양에 따라 태양과 지구 근처로 돌아오는 주기가 달라지지요. 타원이 무한히 길어서 포물선이나 쌍곡선 ...

  • Part 5 다섯 번째 작전. 충돌하기 전에 소행성을 막아라

    Part 5 다섯 번째 작전. 충돌하기 전에 소행성을 막아라

    어린이과학동아 2016년 14호

    사실이 밝혀졌어요. 마치 자외선이 우리 피부를 검게 만드는 것처럼, 태양에서 나오는 태양풍과 우주 먼지들이 소행성 겉면의 색을 바꾸고 있었답니다.하야부사의 탐사로 소행성이 만들어진 과정도 확인됐어요. 이토카와는 겉면에 작은 돌멩이가 많이 박혀 있어요. 또 접근해서 중력과 밀도를 ...

  • [Knowledge] 우리나라의 첫 우주범선, 항해준비 완료!

    [Knowledge] 우리나라의 첫 우주범선, 항해준비 완료!

    과학동아 2016년 06호

    1976년 칼 세이건이 처음 제시했다. 그는 미국의 인기 프로그램 ‘더 투나잇 쇼’에서 “태양풍을 이용한 우주선”이라며 “기존의 것보다 더 빠르고 효율적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의 아이디어에서 착안해 미국행성협회는 첫 우주범선 코스모스 1호를 만들어 2005년 6월 발사했지만 발사된 지 83초 ...

  • [과학뉴스] 우주여행 전성시대? ‘솔라 세일’에 맞서는 전자기장 돛단배

    [과학뉴스] 우주여행 전성시대? ‘솔라 세일’에 맞서는 전자기장 돛단배

    과학동아 2016년 05호

    00~750km 정도의 매우 빠른 속도로 날아온다. 일명 우주돛단배라고 불리는 ‘솔라 세일’도 태양풍의 고에너지 입자를 받아 우주선을 추진한다. E-Sail은 전자기장 돛단배인 셈이다.E-Sail은 솔라 세일을 비롯한 기존 추진 시스템과 달리 태양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져도 가속을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

  • Part 2. 우주는 거대한 플라스마 실험실

    Part 2. 우주는 거대한 플라스마 실험실

    과학동아 2016년 04호

    폭발하는 시기에 지구에 전파 교란이 발생하는 것도 태양풍 플라스마의 영향이다. 태양풍 플라스마는 어떻게 직접 지구로 들어오지 않고도 강력한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는 걸까.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이 문제를 풀기 위해 4개의 위성군으로 구성된 지구자기권 다중스케일(Magnetospheric Multi-Scale, MMS) ...

  • 우주날씨의 비밀을 밝혀라~! 오로라

    우주날씨의 비밀을 밝혀라~! 오로라

    어린이과학동아 2015년 23호

    향해 날아들어오죠. 이때 지구 자기장 때문에 위도 60~80° 지역으로 들어온답니다. 이렇게 태양풍에 날려온 입자들이 들어오는 곳을 ‘오로라대’라고 해요. 이 지역으로 들어온 입자들이 지구 대기와 부딪치면서 오로라가 생기는 거예요.오로라는 태양의 흑점이 크고 많을 때 더 자주 나타나요. ...

  • 10년의 대탐험 뉴호라이즌호, 명왕성을 만나다!

    10년의 대탐험 뉴호라이즌호, 명왕성을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2015년 16호

    연료 수소와 질소로 이루어진 액체 연료.탑재 장비 고해상도 카메라, 적외선 촬영 기계, 태양풍 감지 기계 등이 실려 있음.특이 사항 1930년 명왕성을 처음 발견한 천문학자 클라이드 톰보의 유골 일부가 실려 있음.2006년 1월 뉴호라이즌호 발사미국 플로리다주에 있는 케네디우주센터에서 아틀라스 ...

  • PART1. 태양계 행성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

    PART1. 태양계 행성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

    과학동아 2015년 09호

    시작하더니 커진 중력으로 핵융합 반응을 일으키기 시작했다. 이후 태양은 강력한 태양풍을 일으켜 행성들의 먹이인 작은 천체들을 싹 날려 버렸다. 결국 목성은 더 이상 커지지 못한 채 태양의 영향력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둔 가스형 행성이 될 수밖에 없었다. 목성은 크기나 무게, 중력 등 모든 ...

  • 피구왕 통키의 불꽃슛?

    피구왕 통키의 불꽃슛?

    과학동아 2015년 08호

    하고 있었다. 연구팀은 “관측시간의 20% 정도는 켈빈-헬름홀츠파가 관측됐다”며 “태양풍과 지구의 상호작용이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복잡한 형태를 띠고 있었다”고 밝혔다 ...

  • 빛으로 하는 우주 항해, ‘라이트세일(LightSail)’

    빛으로 하는 우주 항해, ‘라이트세일(LightSail)’

    과학동아 2015년 06호

    유명 천문학자 칼 세이건이 공동창립한 미국의 비영리단체 ‘행성협회(The Planetary Society)’가 태양풍을 추력으로 움직이는 우주선을 개발하고 있다. 5월 20일 시험비행에 나설 예정이다.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