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반도만 한 전파망원경 뜬다

    한반도만 한 전파망원경 뜬다

    과학동아 2008년 06호

    내는 데 비해 KVN은 구경 477km 대형 망원경의 성능을 발휘한다. 여기서 477km는 연세대에서 탐라대까지의 거리에 해당한다.물론 작은 고추가 맵듯이 우리만의 강점도 있다. 손 박사는 “KVN은 VLBA나 VERA보다 파장이 더 짧은 2.3mm~1.3cm의 우주전파를 관측할 수 있어 *활동성 은하핵의 내부에서 무슨 일이 ...

  • 우리나라의 전파망원경

    우리나라의 전파망원경

    어린이과학동아 2007년 03호

    6년이니까 벌써 20년이 넘었답니다. 현재 한국천문연구원에서는 연세대학교, 울산대학교, 탐라대학교에 지름 21m짜리 전파망원경 세대를 세우고 있는데 2008년에 완공할 예정입니다. 세 망원경은 한국우주전파관측망을 형성하여 우리나라 전파천문학을 세계 수준으로 끌어올릴 것입니다 ...

  • 30년만에 독일서 재회한 대형전파망원경

    과학동아 2007년 01호

    KVN)은 한국형‘초장거리 간섭계’(VLBI) 네트워크란 뜻이다. 연세대, 울산대, 탐라대에 지름 21m짜리 전파망원경을 1대씩 설치한 뒤 3대를 동시에 운용할 계획이다. KVN이 완성되면 대한민국 크기의 전파망원경이 생기는 셈이다. 한국천문연구원 손봉원 박사는“2007년 3곳의 전파망원경이 건설돼 시험 ...

  • 신나는 여름방학, 과학이랑 놀자

    신나는 여름방학, 과학이랑 놀자

    어린이과학동아 2006년 14호

    천문과학문화원운영시간 오후 2시부터 밤 10시까지, 매주 월요일 휴관장소 제주 서귀포 탐라대학교관람료 어른 2000원 (초·중·고등학생 1000원)문의 천문과학문화원 064-739-9701시리우스 다음으로 밝은 별인 남극노인성을 볼 수 있는 국내 유일의 천문대, 서귀포 천문과학문화원에 가 보세요. 총 7대의 ...

  • 기획1. 전파망원경으로 한반도 지각변동 잡아낸다

    기획1. 전파망원경으로 한반도 지각변동 잡아낸다

    과학동아 2006년 04호

    연세대, 울산대, 탐라대에 설치할 3대의 전파망원경을 이용한다. 이 조합은 연세대와 탐라대 사이의 거리가 480km로 가장 길어 분해능은 지상 최대의 광학망원경보다 약 1000배 뛰어날 전망이다.KVN이 완공되면 일본국립천문대(NAOJ)의 전파망원경(VERA)과 네트워크로 연결돼 공동 운영될 예정이다.KVN 같은 ...

  • 갈림길에선 한국의 천문 연구

    갈림길에선 한국의 천문 연구

    과학동아 2005년 08호

    2007년 완공을 목표로 지름 21m짜리 전파망원경 3대를 서울(연세대)과 울산(울산대), 제주(탐라대)에 설치할 계획이다. 다소 늦은 감은 있지만 KVN사업 예산이 승인돼 공사가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음은 한국 천문학 발전과 국가 이미지를 위해서 천만다행한 일이다.KVN과 VERA만 비교하면 어쩌면 한국이 ...

  • 전설의 섬 이어도에 우뚝 선 과학기지

    전설의 섬 이어도에 우뚝 선 과학기지

    과학동아 2003년 07호

    6 m 아래에 잠겨 있어, 파도가 심할때에만 모습을 드러낸다. 이어도는 고려 때부터 중국과 탐라(제주)사이 바다 어디엔가 있다는 소문만 있을 뿐 아무도 가보지 못한 섬이었다.“이엿사나 이여도사나 이엿사나 이여도사나.” 남편을 영영 바다로 보낸 제주 해녀의 애환을 담은 노동요 ‘이어도’ ...

  • 미항공우주국과 함께 하는 우주망원경 갤렉스

    미항공우주국과 함께 하는 우주망원경 갤렉스

    과학동아 2003년 06호

    이들 세 곳의 망원경으로 각각 관측한 신호를 종합·분석하면 연세대 망원경과 탐라대 망원경을 잇는 5백km 정도의 거대 전파망원경으로 관측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다.전파망원경의 경우 전파가 가시광선보다 파장이 길기 때문에 똑같은 크기의 망원경이라면 가까이 있는 두 천체를 ...

  • 전통민속놀이로 배우는 과학

    전통민속놀이로 배우는 과학

    과학동아 2000년 02호

    위해 김유신 장군이 연을 사용했다는 기록이 있다.이후 고려 말엽(1374년) 최영 장군이 탐라국을 평정할 때 군사를 연에 매달아 병선(兵船)에서 띄워 절벽 위에 상륙시켰으며,불덩이를 매단 연을 적의 성안으로 날려보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또 조선조에는 세종대왕(1455년)때 남이 장군이 강화도에서 ...

  • 전설의 섬 이어도 과학기지로 재탄생

    전설의 섬 이어도 과학기지로 재탄생

    과학동아 1997년 12호

    수중촬영은 이어도의 생물상과 암초의 형태와 특성에 집중해 이뤄졌다. 한편 작업선 탐라호에서는 수중촬영로봇을 이용해 과학기지가 건설될 예정지점인 이어도 정상으로부터 남쪽으로 약 5백m 떨어진 수심 약 40m 지점과 남쪽 약 55m 지점에 대한 수중촬영을 성공리에 마쳤다. 그리고 중앙에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