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과학] 티라노사우루스 화석 ‘스탠’, 무려 368억 원에

    [시사과학] 티라노사우루스 화석 ‘스탠’, 무려 368억 원에

    어린이과학동아 2020년 21호

    이유‘스탠’은 1987년, 아마추어 고고학자 스탠 새크리슨이 미국 사우스다코타주의 헬 크릭 지층에서 찾은 티라노사우루스 화석이에요. 키 3.9m, 길이 12m이며, 생존 당시 무게는 약 8t(톤)으로 추측되는데 수컷 티라노사우루스 화석 중에서는 큰 편에 속해요. 고생물학자들은 스탠의 두개골과 ...

  • 네가닥으로 꼬였다! DNA 4중나선

    네가닥으로 꼬였다! DNA 4중나선

    과학동아 2020년 10호

    MIT) 교수는 X선 결정학을 이용해 고해상도의 DNA 나선 구조를 규명하며, 왓슨과 크릭이 제안한 B-DNA와 반대로 시계방향으로 꼬인 이중나선 구조를 밝혔다. doi: 10.1038/282680a0 리치 교수가 발견한 DNA는 골격 바깥쪽에 위치하는 인산기가 지그재그 형태로 연결돼 있어 Z형 DNA(Z-DNA)라는 이름이 붙었다 ...

  • DNA 해독 기술 어디까지 왔나

    DNA 해독 기술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2020년 09호

    있는 DNA를 늘어 놓으면 길이가 2m에 이른다. DNA는 1953년 영국의 제임스 왓슨과 프랜시스 크릭이 밝힌 것처럼 이중나선 구조를 띠는데, 자세히 보면 아데닌(A), 구아닌(G), 티민(T), 시토신(C) 등 4가지 염기가 쌍을 이뤄 늘어선 형태다. 유전자는 이런 염기쌍들이 여러 개 모여 하나의 유전 정보를 나타낼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8화. 바이러스와 싸우는 군론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8화. 바이러스와 싸우는 군론

    수학동아 2020년 08호

    예측하다!1962년 미국의 생물학자 도널드 캐스퍼와 영국의 화학자 아론 클루그는 왓슨과 크릭의 발견을 발전시켜 바이러스 단백질 껍질들이 작은 정삼각형들로 이뤄진 ‘가짜 정이십면체’ 구조를 따른다는 ‘준평형 원리’를 발표했습니다. 정삼각형 20개로 이뤄진 정이십면체가 아닌 더 작은 ...

  • STEP ③ 유전체 복제

    STEP ③ 유전체 복제

    과학동아 2020년 07호

    인간을 감염시킨 바이러스의 대부분은 이런 식으로 복제하는 단일가닥 RNA 바이러스다. 크릭이 제안한 중심원리와 정반대로 RNA에서 역방향으로 DNA를 만들어내는 바이러스도 있다. 인간면역결핍 바이러스(HIV)가 속한 레트로 바이러스가 대표적이다.  후천성면역결핍증후군(AIDS·에이즈 ...

  • 1969년 바이러스의 복제 과정을 밝히다

    1969년 바이러스의 복제 과정을 밝히다

    과학동아 2020년 07호

    동시에 DNA가 유전물질이라는 사실도 최초로 알아냈다. 이후 제임스 왓슨과 프랜시스 크릭이 DNA의 이중나선 구조를 밝혀내는 데 바이러스 연구가 결정적인 역할을 한 셈이다. 1978년 델브뤼크는 캘리포니아공대의 ‘오럴 히스토리 프로젝트’에 참가해 자신의 생애를 인터뷰로 남겼다. 당시 자료에 ...

  • [이달의 책] 생명의 나무는 계속 자란다 외

    [이달의 책] 생명의 나무는 계속 자란다 외

    과학동아 2020년 03호

    적어도 20세기 후반까지는 말이다.생명의 나무는 1953년 제임스 왓슨과 프랜시스 크릭이 DNA를 발견하면서 조금씩 흔들렸다. DNA와 RNA 등 유전 요소들을 분석하면서 기존의 진화 개념에 큰 변화가 생긴 것이다.대표적으로 1977년 미국 미생물학자인 칼 워즈가 메탄생성균의 RNA를 분석한 결과는 생명의 ...

  • [노벨생리의학상] 산소가 부족할 때 몸속에선 어떤 일이?

    [노벨생리의학상] 산소가 부족할 때 몸속에선 어떤 일이?

    어린이과학동아 2019년 21호

    또다른 수상자들인 미국 하버드대학교 윌리엄 케일린 교수와 영국 프랜시스크릭연구소 피터 랫클리프 교수 덕분에 2001년 밝혀졌어요.  서울대학교 박종완 교수는 “암세포가 증식하는 과정에서 산소가 부족해지며 HIF-α 단백질이 활성된다”며, “이 단백질을 억제시켜 암을 치료하려는 연구가 ...

  •  세포 서바이벌 결정하는 산소농도

    세포 서바이벌 결정하는 산소농도

    과학동아 2019년 11호

    E3 유비퀴틴 연결효소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어서 피터 랫클리프 영국 프랜시스크릭연구소 교수가 VHL 단백질과 HIF-1α가 정상적인 산소농도에서는 결합하며, 이때 HIF-1α의 유비퀴틴화가 VHL에 의해 유도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후 랫클리프 교수는 케일린 교수와 함께 VHL과 HIF-1α가 어떻게 ...

  • [가상인터뷰] 도시 개구리가 숲 개구리보다 인기가 많은 이유는?

    [가상인터뷰] 도시 개구리가 숲 개구리보다 인기가 많은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2019년 01호

    개구리와 숲에 살던 개구리의 서식지를 바꿔봤어. 도시에서 숲으로 간 개구리들은 ‘크릭’ 소리를 줄이고 ‘퉁’ 소리를 냈단다. 하지만 숲에 살던 개구리들은 도시로 왔을 때 복잡한 소리를 많이 내지 못했지. 하프베르크 교수는 “도시 개구리가 숲으로 가면 숲 개구리는 경쟁에 밀려 도태될 수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