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F] 속도의 맛

    [SF] 속도의 맛

    과학동아 2023년 12호

    \SF스토리 공모전 총 36편의 수상작 중 과학동아 특별상을 수상한 소설을 지면으로 소개합니다 “기어 1단에서 현재 시속 120km.” 타는 듯이 목이 마르다.“기어 2단. 클러치 타이밍이 완벽했습니다.” 속도라는 건 빠르면 빠를수록 더 목이 마르다. 마치 망망대해를 떠다니는 표류자가 목이 마르다고 ...

  • [Data Math] 뚫을 테면 뚫어 봐! 삼성전자 반도체 보안을 책임진다!

    [Data Math] 뚫을 테면 뚫어 봐! 삼성전자 반도체 보안을 책임진다!

    수학동아 2023년 10호

     휴대기기 속 사진이나 사람들과 나눈 메시지를 보지 못하도록 패턴이나 비밀번호를 걸고 있나요? 휴대전화 비밀번호를 연속해 5번을 틀리면 30초 동안 기다리라는 보안 경고 메시지가 뜨는데요. 누군가가 내 개인 정보를 보지 못하도록 하는 이 장치에 ‘수학적 원리’가 숨어 있습니다.  그리고 ...

  • 최고의 교수진이 최고의 인재 기른다, KAIST 반도체시스템공학과

    최고의 교수진이 최고의 인재 기른다, KAIST 반도체시스템공학과

    과학동아 2023년 08호

     국제학술지 ‘국제고체회로학회(ISSCC)’는 반도체 설계 분야의 ‘올림픽’이라고 불린다. 올림픽에서 세계 최고의 선수를 가리듯, 세계 최고의 연구만을 게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논문이 한 편만 실려도 걸출한 성과를 냈다고 인정받는다. 그런데 KAIST 반도체시스템공학과는 1년에 평균 8.42편의 ...

  • [과학뉴스] 머리카락보다 얇게 유리 인쇄할 3D 프린팅 재료

    [과학뉴스] 머리카락보다 얇게 유리 인쇄할 3D 프린팅 재료

    과학동아 2023년 08호

     유리 3차원(3D) 프린팅은 광학, 반도체 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는 유망기술이다. 그런데 유리는 녹는 온도가 높다는 단점이 있다. 3D 프린터에 가장 많이 활용되는 플라스틱은 대부분 200~300캜에서 녹는 반면, 석영 유리를 녹이기 위해서는 온도를 1100캜까지 올려야 한다.  이 점은 유 ...

  • [DGIST@융복합 파트너] 정밀 의료가 보편화된 세상을 꿈꾸다

    [DGIST@융복합 파트너] 정밀 의료가 보편화된 세상을 꿈꾸다

    과학동아 2023년 07호

    “정밀 의료가 보편화되려면 수많은 정보가 필요합니다. 그 기반을 쌓기 위해 우리는 ‘하나의 작은 것, 세포에 집중한다’는 신념을 기업명에 담았습니다.” 류동환 엘엠엔틱바이오텍 대표(DGIST 20학번)는 회사 이름을 ‘LMNTIC(엘엠엔틱)’으로 정한 이유를 이같이 설명했다. 엘엠엔틱은 ‘원소의 ...

  • 빛, 전기, 세포외소포체… 상처를 치료하는 n 가지 방법들

    빛, 전기, 세포외소포체… 상처를 치료하는 n 가지 방법들

    과학동아 2023년 06호

    ‘따끔’ 손을 씻는데 오른쪽 검지 끝이 아린다. 조금 전 책을 정리할 때 종이에 베인 모양이다. 어젯밤 모기 자국을 긁어 생긴 피딱지가 채 떨어지지도 않았는데, 오늘 아침 여드름을 짜다가 벗겨진 피부가 아직까지 쓰라린데 또 상처라니! 누구나 일상에서 자신도 모르는 새 입게 되는 피부 상처. ...

  • [이달의 책] 사랑 없는 미래에서 상상한 인간의 조건

    [이달의 책] 사랑 없는 미래에서 상상한 인간의 조건

    과학동아 2023년 06호

     인간과 기계 혹은 인공 생명체 간의 사랑, 연애는 SF 장르에서 꽤 흔한 소재다. 하지만 그런 까닭에 작가의 구체적인 설정과 세계관의 색깔이 오히려 잘 드러날 수 있다. 이 작품 ‘오프’는 사람들 사이에 사랑이라는 감정이 직접 오가지 않게 된 미래를 보여준다. 현실보다 효율적으로 욕구를 해 ...

  • 생물학자가 본 바이오컴퓨터의 미래

    생물학자가 본 바이오컴퓨터의 미래

    과학동아 2023년 06호

     다가올 미래, 바이오컴퓨터는 어떤 형태일까. 그것을 만들려면 무엇을 해결해야 하며, 결국 구현해 낸다면 어떤 문제를 풀 수 있을까? 뇌 오가노이드 연구를 지속해 온 선웅 고려대 의대 교수가 궁금증 가득한 바이오컴퓨터의 미래를 생물학자의 시선으로 톺아봤다. 뇌 오가노이드를 크게 만드는 ...

  • [Reth?king] 2000년 유클리드 기하학 체계에서 새로운 기하학은 어떻게 탄생했을까?

    [Reth?king] 2000년 유클리드 기하학 체계에서 새로운 기하학은 어떻게 탄생했을까?

    수학동아 2023년 06호

     고대 그리스 수학자 에우클레이데스(영어로 유클리드)가 저서 에서 소개한 수학체계인 ‘유클리드 기하학’은 2000년 동안 서구 문명을 지배했다. 그러나 19세기 초 굳게 믿었던 유클리드 기하학 체계의 토대 중 하나를 의심하자 ‘비유클리드 기하학’이 등장했다. 인문학과 수학의 시선 ...

  • [5년 후, 과학은] 의생명과학과 공학의 경계, 조직공학

    [5년 후, 과학은] 의생명과학과 공학의 경계, 조직공학

    과학동아 2023년 02호

    ‘공학(Engineering)’이라고 하면 흔히 전자공학, 화학공학 같은 정통 공학 분야를 떠올릴 텐데요. 공학의 영역이 인간의 몸, 그 안의 장기와 조직들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인간을 구성하는 세포를 재료로 원하는 조직을 만들고 고치고 강화하는 ‘조직공학’ 이야기입니다. 이 분야는 2006~2020년 전 세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