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선사시대 딱정벌레의 마지막 식사메뉴는 꽃가루?

    선사시대 딱정벌레의 마지막 식사메뉴는 꽃가루?

    과학동아 2021년 05호

    표본은 건조한 아시아 지역에서 발견됐다”며 “건조한 지역에 적응해 살아가는 대형 초식동물들처럼 땅을 파서 식물의 뿌리를 섭취하고 지하수를 마셨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doi: 10.1038/s41598-021-83568- ...

  • [수학뉴스] 수학으로 밝힌 육면체 모양 웜뱃 똥의 비밀

    [수학뉴스] 수학으로 밝힌 육면체 모양 웜뱃 똥의 비밀

    수학동아 2021년 03호

    서식하는 웜뱃은 통통한 몸에 둥근 얼굴을 가진 초식동물입니다. 웜뱃은 육면체 모양의 똥을 누는 동물로 유명하죠. 패트리샤 양 미국 조지아공과대학교 기계공학과 박사후연구원팀은 축축하고 유연한 장의 움직임을 분석하는 수학 모형을 만들어 웜뱃이 육면체 모양의 똥을 싸는 원리를 ...

  • 위기의 해양동물들

    위기의 해양동물들

    과학동아 2021년 02호

    해파리인 줄 알고 먹었더니 바닷물에 떠다니던 밧줄이었다. 밧줄이 내장 속에서 얽힌 바다거북은 고통스럽게 죽어갔다. 고래는 이제껏 잘 걸리지 않던 질병을 앓는다. 돌고래는 암 투병 중이다. 북극곰은 먹이를 찾아 새 둥지에 있는 알을 훔치는 강도가 됐다. 2021년 지구 곳곳에서 목격되고 있는 ...

  • [과학뉴스] 주식은 풀, 간식은 고기? 뇌로 밝힌 테코돈토사우루스 생활사

    [과학뉴스] 주식은 풀, 간식은 고기? 뇌로 밝힌 테코돈토사우루스 생활사

    과학동아 2021년 01호

    테코돈토사우루스(Thecodontosaurus)는 중생대 트라이아스기 후기 약 2억 500만 년 전에서 2억 100만 년 전까지 유럽대륙에 서식한 이족보행 공룡이다. 몸길이는 약 1.2m, 높이는 30cm로 몸집이 오늘날의 대형견과 유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테코돈토사우루스 입에는 숟가락 모양의 이빨이 있는데, 연구자들 ...

  •  하니가 옛집으로 돌아온 이유는?

    하니가 옛집으로 돌아온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2020년 19호

    걸음은 이전보다 가벼워졌어요.  하니의 첫 번째 룸메이트 제니 얼룩말은 대부분의 초식동물들처럼 사회적인 동물이에요. 홀로 외로울 제니를 위해 2016년 봄, 어린 하니를 새로 데려왔어요. 하니는 암컷으로 광주동물원에서 태어났고, 당시 1년이 채 안 된 새끼 얼룩말이었어요. 낯선 곳에 온 어린 ...

  • [헷갈린 과학] 뉴트리아 vs 카피바라

    [헷갈린 과학] 뉴트리아 vs 카피바라

    어린이과학동아 2020년 13호

       뉴트리아 뉴트리아는 남아메리카, 브라질 남부 등에 서식하는 설치류 동물이에요. 쥐와 외모가 비슷하지만 꼬리를 포함해 몸길이 1m, 몸무게 10kg의 거대한 몸집 탓에 ‘괴물 쥐’라고도 불리죠. 매일 체중의 25%에 해당하는 먹이를 먹는 뉴트리아는 수영에 능숙해 갈대 등 물속 식물을 먹지만 가 ...

  • [쇼킹사이언스] 트럭만 한 공룡이 돌을 삼킨 이유는? 보레알로펠타

    [쇼킹사이언스] 트럭만 한 공룡이 돌을 삼킨 이유는? 보레알로펠타

    어린이과학동아 2020년 13호

    식사의 잔해와 함께 둥글둥글한 돌멩이들이 박힌 모습으로 발견되었어요. 이 돌멩이는 초식동물이 질긴 식물을 쉽게 소화하기 위해 삼키는 ‘위석’이에요. 지금도 타조 같은 새들은 소화를 위해 돌을 삼키곤 하죠.지난 6월, 고생물학자들은 내용물을 분석하기 위해 콜로라이트를 얇은 판으로 ...

  • [과학도서리뷰대회 수상자]책 리뷰의 달인을 찾았습니다

    [과학도서리뷰대회 수상자]책 리뷰의 달인을 찾았습니다

    과학동아 2020년 08호

    박 군은 인간이 종이를 먹어 없앤다는, 다소 과감한 방식을 떠올렸습니다. 먼저 인간이 초식동물처럼 종이의 구성성분인 셀룰로오스를 소화할 능력이 있다고 가정했는데요. 다당류인 셀룰로오스가 분해돼 포도당으로 변한 뒤 1g당 4kcal의 에너지를 낸다고 할 때 ‘더 위험한 과학책’은 무게가 약 90 ...

  • [이달의 책] ‘거의’ 모든 것의 이론을 만든 물리학자의 애틋한 인사

    [이달의 책] ‘거의’ 모든 것의 이론을 만든 물리학자의 애틋한 인사

    과학동아 2020년 04호

    벨로키랍토르)는 사실 공룡보다는 깃털과 날개를 가진 새에 가까웠다. 점잖은 초식동물로 알려진 트리케라톱스는 티라노사우루스의 호적수로 끊임없이 혈투를 치렀다. 저자이자 공룡학자인 스티브 브루사테는 전 세계를 누비며 발견한 증거를 통해 그동안 영화에나 등장하던 상상 속의 공룡 대신 ...

  • 서민의 '기생충' vs. 봉준호의 '기생충'

    서민의 '기생충' vs. 봉준호의 '기생충'

    과학동아 2020년 03호

     개미 몸에 사는 창형흡충(Dicrocoelium dentriticum)은 소의 몸속에 들어가려고 하지만, 소는 초식동물이라 개미를 먹지 않는다. 결국 창형흡충은 개미의 뇌를 조종해 개미로 하여금 소가 먹는 풀에 붙어 있게 만든다. 기생충이 인간에서는 거의 사라졌을지언정, 야생동물 대부분에서는 아직도 굳건히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