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대 은하] 우주 끝에서 온 별 빛의 주인을 찾다

    [최대 은하] 우주 끝에서 온 별 빛의 주인을 찾다

    과학동아 2023년 11호

    2015년 1월 5일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허블 우주망원경으로 완성한 역대 최고 해상도의 안드로메다 사진을 공개했다. 사진 전체가 무려 15억 픽셀! 사진 속 영역의 규 ... 갇혀(?!)있었다. 제임스 웹의 대발견과 함께 머나먼 우주 끝자락도 항성 진화를 연구하는 천문학의 새 무대로 떠올랐다 ...

  • [최신이슈] 지구 밖 ‘보물섬’을 향한 여정...프시케 미션 시작

    [최신이슈] 지구 밖 ‘보물섬’을 향한 여정...프시케 미션 시작

    과학동아 2023년 10호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금성의 n값은 0, 지구는 1, 화성은 2, 목성은 4, 토성은 5다.천문학자들은 n값이 3인 지점에도 행성이 있을 것이라 믿고, 한동안 탐색을 이어 나갔다. 하지만 그곳엔 찾던 행성은 없었고, 수많은 소행성만 거대한 띠를 만들고 있었다. 소행성 벨트에 분포한 110만~190만 개의 ...

  • [과학사 극장] 홍대용은 조선의 코페르니쿠스 였을까?

    [과학사 극장] 홍대용은 조선의 코페르니쿠스 였을까?

    과학동아 2023년 10호

    ‘홍대용’이란 이름을 혹시 처음 들어보는 독자가 있다면, 그가 ‘조선의 코페르니쿠스’라고 소개되곤 하는 실학자였음을 알려드리고자 한 ... 지전설이었다. ❋필자소개김슬기. 서울대 과학학과 박사과정 연구원. 동아시아 전통 천문학사에 관심을 가지고 공부하고 있다. friends1133@naver ...

  • [최애 은하] 지루해 보였던 타원은하의 반전 과거

    [최애 은하] 지루해 보였던 타원은하의 반전 과거

    과학동아 2023년 10호

    거품이 남았을 가능성도 생각할 수는 있다.조상들의 은하수는 더 밝았을까? 그러나 일부 천문학자들은 페르미 버블과 이로시타 버블의 기원을 전혀 다른 곳에서 찾는다. 이들은 지난 10여 년간 이로시타 버블 주변을 관측했다. 그리고 이 버블의 가장자리를 따라 질소, 산소, 그리고 네온 같은 무거운 ...

  • [가상 인터뷰] 제임스 웹, 최초로 외계 행성 온도 측정!

    [가상 인터뷰] 제임스 웹, 최초로 외계 행성 온도 측정!

    어린이과학동아 2023년 09호

    행성들에 대해서도 흥미로운 사실들이 밝혀질 거라고 기대했어.   용어 정리●광년 : 천문학에서 사용하는 거리의 단위. 빛의 속도로 1년이 걸리는 거리이다 ...

  • Part1. 별 탄생의 순간을 엿보다

    Part1. 별 탄생의 순간을 엿보다

    과학동아 2023년 09호

    계획이다. 이를 통해 원시별의 탄생 과정을 밝히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다. 그동안 천문학자들은 성간 구름의 물질이 원시별로 꾸준히 유입되면서 원시별이 차분히 몸집을 불려나간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2003년, 우주로 올라간 스피처 적외선 우주망원경이 원시별을 관측하면서 그 과정이 생각만큼 ...

  • Outro. 왜 우리는 제임스 웹의 이미지에 감동할까

    Outro. 왜 우리는 제임스 웹의 이미지에 감동할까

    과학동아 2023년 09호

    장엄하게 묘사한 미국의 풍경과도 닮아있다고 말했다. “허블 우주망원경을 운영한 천문학자들은 허블이 촬영한 우주가 일상의 고민을 뒤로 하고 신비로운 우주를 상상하고 감상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길 바랐습니다. 제임스 웹의 이미지도 마찬가지로 우리의 한계를 뛰어넘어 다른 눈으로 우주를 ...

  • Intro. 천문학의 새 시대를 연 제임스 웹, 발사에서 관측까지

    Intro. 천문학의 새 시대를 연 제임스 웹, 발사에서 관측까지

    과학동아 2023년 09호

  • Part5. 우주의 끝에서 빅뱅 직후를 목격하다

    Part5. 우주의 끝에서 빅뱅 직후를 목격하다

    과학동아 2023년 09호

    시간이 걸린다. 하지만 이미 이런 상관관계가 성립해 있었다고 하니, 또 다른 수수께끼가 천문학자들에게 던져진 것이다.은하 형성, 표준 모형 예측보다 훨씬 빨랐다? 제임스 웹은 고적색이동 은하도 찾아냈다. 그 시작은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2022년 7월 11일 최초로 공개한 제임스 웹 이미지인 SMACS ...

  • [Reth?nking] 우리는 왜 미분에 관심을 갖게 됐는가?

    [Reth?nking] 우리는 왜 미분에 관심을 갖게 됐는가?

    수학동아 2023년 09호

    물체의 운동을 기술했기 때문이에요. 당시에는 물리학의 적용 분야라고도 할 수 있는 천문학에서 천체의 운동을 기술하기 위한 계산 도구가 필요했어요. 뉴턴은 수학적 도구를 총동원해서 지금까지 흩어졌던 아이디어들을 한데 모아서 미적분학을 집대성했어요. 그 결과가 1687년에 간행된 총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