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응용│몸·마음 여는 1조 개의 열쇠

    응용│몸·마음 여는 1조 개의 열쇠

    과학동아 2022년 03호

    의식을 담당하는 대뇌 피질로 정보를 보내기 때문이다. 이에 필자는 후각을 ‘기억의 창고를 여는 열쇠’라고 말한다. 치매 환자는 땅콩버터 냄새를 못 맡아 앞서 언급한 ‘옷소매 붉은 끝동’은 필자가 열심히 애청한 드라마라 그냥 지나치고 싶지만, 후각 연구자의 입장에서 납득하기 어려운 ...

  • [기획] 다지류 다리 많은 친구들을 소개합니다!

    [기획] 다지류 다리 많은 친구들을 소개합니다!

    어린이과학동아 2022년 03호

    다리가 달린 벌레가 지나가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가끔은 어둡고 습한 지하실이나 창고 구석에서도 만날 수 있죠. 이들은 지네나 노래기, 그리마일 가능성이 커요. 많은 다리를 가지고 있는 이들 동물은 절지동물문 중 ‘다지류(다지아문)’에 속합니다. 다족류라고도 부르는 다지류는 말 그대로 ...

  • 사라진 골목의 시계장인들

    사라진 골목의 시계장인들

    과학동아 2022년 02호

    제품들을 주문 제작할 수 있다. 또 재고가 부족할 때 급하게 필요한 물건들을 소량 얻는 창고 역할도 수행한다. 박 소장은 “우리보다 좀 더 빨리 나아갔던 선진국들의 최근 경향을 살필 필요가 있다”며 “도심제조업이 사라진 선진국에서는 많은 청년 스타트업이 시제품을 만들기 위해 중국을 ...

  • ‘시계’ 한 마디로 40년을 건너다│전미영 대표

    ‘시계’ 한 마디로 40년을 건너다│전미영 대표

    과학동아 2022년 02호

    구역이다. 한쪽엔 수리되거나, 수리되길 기다리는 시계를 보관하는 창고가 있다. 이 창고는 수장고로 불린다. 전 대표는 “시계를 수리하는 기술은 시계뿐만 아니라 다른 물건을 복원하는 데도 활용될 수 있다”고 했다. 복원은 물건을 빛나는 새것처럼 만드는 과정이 아니다. 의뢰인의 경험, 물건의 ...

  • [역설 나라의 앨리스] 제1장. 역설 속으로!

    [역설 나라의 앨리스] 제1장. 역설 속으로!

    수학동아 2022년 01호

    사고방식이 지닌 한계와 그것을 극복할 방안이 무엇인지에 대한 통찰을 제공해 주는 보물창고이기도 합니다.  실제로 역설은 19세기 이후 수학의 발전에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했습니다. 대표적인 예가 우리가 사용하는 수학 체계로 증명할 수 없는 명제가 반드시 있다는 ‘괴델의 역설’이에요. 이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어린이과학동아 2021년 23호

    백제 유적의 한 커다란 구덩이에서 참외 씨, 밤껍질 등이 발견되었어요. 음식을 저장하는 창고냐고요? 아뇨! 이 구덩이는 바로 백제 사람들이 쓰던 화장실이었어요.사람들이 모여 살 때 가장 중요한 것은 화장실이에요. 이번 영상에서는 삼국시대부터 조선 왕실, 그리고 현대에 이르기까지 사람들이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어린이과학동아 2021년 20호

    전, 온수와 함께 창고를 정리하다 오래된 통조림을 찾았어. 그런데 과학 영상을 찾다 보니, 오래된 통조림을 전문적으로 열어보는 유튜버가 있다지 뭐야? 그래서 이번에는 통조림에 관한 영상을 준비했지! 이외에도 피라미드 쌓기의 원리, 과학 일러스트 그리는 법까지 별난 과학 영상을 잔뜩 ...

  • [특집] 발굴조사현장, 직접 찾아갔습니다!

    [특집] 발굴조사현장, 직접 찾아갔습니다!

    어린이과학동아 2021년 15호

    조선 시대 시장에서 일하던 상인들이 살던 집과 창고가 있던 곳입니다. 이번 유물도 창고로 추측되는 터에서 발견되었지요.  “바로 이곳이 이번 유물이 발견된 장소입니다.”수도문물연구원 오경택 원장이 발굴조사현장의 가장 구석에 파인 조그만 구덩이를 가리키면서 말했어요. 구덩이 ...

  • [과학 뉴스] 1억 8200만 년 전부터 이 모습?! 심해생물 오피오주라

    [과학 뉴스] 1억 8200만 년 전부터 이 모습?! 심해생물 오피오주라

    어린이과학동아 2021년 14호

    않는 깊이 500m의 심해예요. 심해는 평소에 접하기 힘든 특이한 생물을 찾을 수 있는 보물창고 같은 곳이죠. 연구팀은 “심해는 수백만 년 동안 생물이 비교적 원시적 형태로 남아 있어 진화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며, 추가 탐사를 나서겠다고 밝혔답니다 ...

  • [통합과학 교과서]  눈 따끔, 목 칼칼! 신데렐라가 아프다?

    [통합과학 교과서] 눈 따끔, 목 칼칼! 신데렐라가 아프다?

    어린이과학동아 2021년 11호

    여기엔 바다도 역할을 해왔어요. 그동안 과학자들은 바다가 CFC를 방대하게 품는 저장 창고의 역할을 한다고 추정해왔어요. 하늘에 떠다니는 CFC를 바다가 흡수해 보관한다는 거예요. 그런데 지난 3월 23일,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와 콜로라도주립대학교, NASA 고다드 우주비행센터 공동연구팀은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