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평] 언어가 뇌를, 뇌가 행동을 개조한다

    [서평] 언어가 뇌를, 뇌가 행동을 개조한다

    과학동아 2020년 10호

    가능한 연구였다. 이 책에는 2018년 12월 저자가 사망할 때까지의 연구 결과물이 집대성돼 있다. 그를 통해 언어가 뇌를, 뇌가 행동을 어떻게 바꾸고 있는지 탐구해보자 ...

  • 바이러스는 얼마나 다양할까

    바이러스는 얼마나 다양할까

    과학동아 2020년 07호

    따라 나뉜다.국제바이러스분류위원회(ICTV)는 미국 생물학자인 데이비드 볼티모어가 집대성한 ‘볼티모어 분류법’을 모체로 바이러스를 분류하고 있다. 볼티모어 분류법은 유전물질의 특성에 따라 바이러스를 분류한다. 바이러스의 유전체가 DNA인지 RNA인지, 이 유전체가 단일가닥인지 ...

  • 지능×성적 전교 1등은 지능이 높을까

    지능×성적 전교 1등은 지능이 높을까

    과학동아 2019년 10호

    않다.1990년 토머스 넬슨 미국 메릴랜드대 심리학과 교수는 15년간의 연구 결과를 집대성해 ‘메타기억: 이론적인 배경과 새로운 발견들’이라는 논문을 국제학술지 ‘학습및동기심리학’에 발표했다. 여기서 그는 메타인지를 위한 모니터링과 제어 능력에 대한 이론적인 개념을 구체적으로 ...

  • [INTERVIEW] 지구를 가로질러 우주로

    [INTERVIEW] 지구를 가로질러 우주로

    과학동아 2019년 04호

    울고 웃었다. 그리고 마침내 자신들의 오랜 탐험기를 책 ‘어크로스 더 유니버스’에 집대성했다.  어떻게 우주 관측에 빠지게 됐나요?김지현. 제 고향은 강원도 동해입니다. 별이 매우 잘 보이는 곳이었죠. 그래서 어릴 때부터 항상 별에 대해서 궁금했습니다. 그러던 중 고등학교 1학년 때 ...

  • 韓 문명의 뿌리는 과학

    韓 문명의 뿌리는 과학

    과학동아 2018년 12호

    총 266권 264책으로 이뤄진 거대한 백과사전으로, 당시 전 세계에 알려져 있던 모든 의학을 집대성한 책이다. 오래전부터 우리 선조들이 세계의 우수한 기술을 받아들임에 있어 주저하지 않았다는 점을 엿볼 수 있는 책이다.  고인돌도 빠질 수 없다. 현재 세계에서 발견된 고인돌의 약 60%가 한반도에 ...

  • [서울대 공대] 조선해양공학과, 72년의 역사 ‘세계 최고’의 자부심

    [서울대 공대] 조선해양공학과, 72년의 역사 ‘세계 최고’의 자부심

    과학동아 2018년 07호

    설계 표준을 만들었다. 또 거북선을 비롯한 조선시대 군선을 연구해 한국 선박의 역사를 집대성하기도 했다. 김 학과장은 “김재근 교수님은 (조선 기술 측면에서만 보면) 이순신 장군에 비견할 수 있다”며 “대한민국 조선산업의 시조와 같은 인물”이라고 설명했다. 민 회장은 김재근 교수가 ...

  • [Culture] 새 책

    [Culture] 새 책

    과학동아 2018년 06호

    말한다. 저자는 자신의 광물에 대한 사랑을 책 ‘광물, 그 호기심의 문을 열다’에 집대성했다. 광물에 대한 과학적 지식을 전달하는 것은 물론, 광물이 예술, 문화 등 의외의 영역에서 해온 역할들을 소개한다. 광물을 단순히 ‘돌’로 여겼던 독자라면 책을 읽으면서 광물에 없던 애정도 샘솟아날 ...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

    과학동아 2017년 09호

    군의관 페다니우스 디오스코리데스는 600여 종의 약초를 감별하는 법과 치료 효과를 집대성해 ‘약물에 대하여’를 썼고, 서양에서는 1500여 년 동안 이 책을 바탕으로 약을 써왔다. 18세기 이후 과학이 발달하면서 질병의 원인을 찾고자 하는 과학자들의 노력은 약의 발견으로 이어졌다. 그러나 약을 ...

  • [Issue] 과학·공학·의학 발달의 일등공신 ‘히든 피겨스’

    [Issue] 과학·공학·의학 발달의 일등공신 ‘히든 피겨스’

    과학동아 2017년 03호

    소책자를 발간하는 한편, 1946년엔 ‘조선간호협회’를 설립했고 1967년엔 자신의 지식을 집대성해 ‘보건간호학’을 출판했죠. 간호는 그 나라의 역사, 정치, 경제, 문화 등을 고려해야 하므로 외국 책을 그대로 쓰기가 어려운 분야입니다. 그의 보건간호학은 우리나라 현실을 제대로 반영한 간호학 ...

  • Part 2. 세상은 구부러졌다

    Part 2. 세상은 구부러졌다

    수학동아 2016년 11호

    처음으로 한 사람은 이탈리아의 수학자 지오바니 사케리다. 처음에는 유클리드 기하학을 집대성한 ‘원론’으로 기하학을 연구했지만, ‘평행선 공리’라고 불리는 다섯 번째 공리에 의심을 품었다. 이를 부정하고 모순을 증명하려 했다. 그 과정에서 새로운 정리를 많이 얻었지만, 결국 실패했다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