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렁이의 비밀① 지렁이 지도

    지렁이의 비밀① 지렁이 지도

    어린이과학동아 2019년 23호

    군집 사이에 구체적으로 어떤 관계가 있는지 밝히는 게 목표예요. 이어서 기후 변화가 지렁이 군집을 바꾸는 게 인간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도 알아보고 싶고요.  Q 어과동 친구들에게 한 말씀 부탁드려요.사람들은 발 밑에 또 하나의 세계가 있단 사실을 쉽게 잊어요. 지상보다 지하에 더 많은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

    어린이과학동아 2019년 23호

    에너지가 빛 형태로 방출되지요. 루시페린은 발광생물마다 종류가 다르며, 반딧불이, 지렁이, 세균 등 발광생물 중 일부만 루시페린의 구조가 밝혀졌답니다. 까만 심해를 파란 빛으로 밝히는 해파리, 초록빛을 내며 나무 사이를 춤추듯 날아다니는 반딧불이 등 빛을 내는 생물들은 자연 곳곳을 ...

  • [융복합파트너@DGIST]이차전지 성능 결정할 ‘꿈의 전해질’을 찾아서

    [융복합파트너@DGIST]이차전지 성능 결정할 ‘꿈의 전해질’을 찾아서

    과학동아 2019년 12호

    있다. 똥을 쌀 때 땅 위로 올라와 항문만 내민 채 싼다는 점이다. 수m 깊이에 서식하는 지렁이도 똥을 쌀 때는 굴을 따라 소위 ‘뒷걸음질’을 쳐 땅 표면까지 올라온 뒤 항문만 지표면 바깥으로 내민 뒤 배설한다. 지렁이의 똥탑이 가득한 흙은 고급 비료로 대접받는다. 옛말에도 지렁이가 많으면 ...

  • 귀한 똥탑 쌓는 지렁이의 재발견

    귀한 똥탑 쌓는 지렁이의 재발견

    과학동아 2019년 12호

    있다. 똥을 쌀 때 땅 위로 올라와 항문만 내민 채 싼다는 점이다. 수m 깊이에 서식하는 지렁이도 똥을 쌀 때는 굴을 따라 소위 ‘뒷걸음질’을 쳐 땅 표면까지 올라온 뒤 항문만 지표면 바깥으로 내민 뒤 배설한다. 지렁이의 똥탑이 가득한 흙은 고급 비료로 대접받는다. 옛말에도 지렁이가 많으면 ...

  • “탄소 저장한다니 신기해요” 소금 땅에서 만난 빨간 식물

    “탄소 저장한다니 신기해요” 소금 땅에서 만난 빨간 식물

    과학동아 2019년 06호

    생물인지, 특징은 무엇인지 설명을 들을 수 있었다. 장희찬 군(서울 신도중 1학년)은 “갯지렁이를 굉장히 징그럽다고 여겼는데, 설명을 듣고 연구를 한다고 생각하니 그런 생각이 전혀 들지 않았다”고 말했다. 채집에 열중하다 보니 넘어지는 학생들도 속출했다. 갯벌 흙을 피부에 바르며 즐기는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빨간 장미가 있다면, 모든 까마귀는 검은색일까?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빨간 장미가 있다면, 모든 까마귀는 검은색일까?

    어린이과학동아 2018년 24호

    대우는 ‘척추동물이 아닌 것은 포유동물이 아니다’인데, 이때 ‘척추동물이 아닌 지렁이는 포유동물이 아니다’가 가설을 입증한답니다. ▶이 질문이 왜 중요할까?  이 이야기는 1940년대 미국의 과학철학자 칼 구스타프 헴펠이 ‘입증’의 정확한 뜻을 이해하려고 만든 ‘까마귀 역설’ ...

  • [핫이슈] 바이오블리츠 코리아 2018

    [핫이슈] 바이오블리츠 코리아 2018

    어린이과학동아 2018년 12호

    속하는 관심대상종인 삵, 그리고 희귀종인 ‘큰귀박쥐’를 비롯해 물윗수염박쥐와 똥지렁이류 등 좀처럼 보기 어려운 종들이 발견돼 참가자들을 놀라게 했답니다. 참가자들은 식물, 외래 식물, 곤충, 버섯, 지의류 등 각 분야의 전문 연구원들과 함께 탐사하며 다양한 생물종을 관찰할 수 있었어요. ...

  • 꿈틀꿈틀! 미분하는 벌레

    꿈틀꿈틀! 미분하는 벌레

    수학동아 2018년 09호

    너, 정체가 뭐야? 남자의 방에 이윽고 불이 켜졌다. 과일을 향해 다가오던 무언가는 지렁이처럼 생긴 작은 벌레였다. 신기하게도 이 벌레는 꿈틀거리며 과일을 잘 찾아오고 있었다. 길을 잘못 든 것 같으면 새로운 길을 고민하는 것처럼 보였다. 에이~. 설마…. 벌레가 생각을 한다고?   벌레는 ...

  • 바다 위 8층 빌딩 이사부호

    바다 위 8층 빌딩 이사부호

    과학동아 2018년 09호

    뜻으로, 발견 기관의 이름을 붙이는 국제적인 관례에 따랐다. 열수공 주변 생물은 지렁이처럼 생긴 환형동물을 비롯해 게, 새우, 조개, 따개비 등 만각류나 패류의 아종이 많다. 우주 과학자들은 외계 생명체가 어떻게 진화했는지 참고하기 위해 열수공 주변 생물을 연구하며, 지질학자들은 ...

  • [Culture] 새 책

    [Culture] 새 책

    과학동아 2018년 04호

    그렇다면 흙냄새가 진짜 있을까. 흙 자체에는 아무런 냄새가 없다. 다만 흙 속에 사는 지렁이나 미생물들이 흙 속 유기물을 분해하면서 흙냄새라고 부르는 유기 화합물을 만들어낸다. 대표적인 화합물이 ‘지오스민’이다. 사람의 후각세포는 극미량의 지오스민도 검출할 수 있을 만큼 이 냄새에는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