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art 3. 우주 망원경으로 외계행성을 찾는다!

    Part 3. 우주 망원경으로 외계행성을 찾는다!

    어린이과학동아 2018년 07호

    빛의 밝기 변화를 알아채지 못했거든요. 앞으로 TESS는 케플러가 확인하지 못했던 중심별들을 집중적으로 관측할 계획이랍니다. TESS의 목표는 골디락스 존에 위치하며, 단단한 지각을 가진 외계행성을 최대한 많이 발견하는 거예요. TESS 프로젝트를 이끌고 있는 NASA의 스테펜 라인하트 연구원은 ...

  • Part 1. 베테랑 사냥꾼 등장!

    Part 1. 베테랑 사냥꾼 등장!

    어린이과학동아 2018년 07호

    행성들 중 트라피스트-1e와 f, g는 유력한 제2의 지구 후보로 꼽히고 있어요. 질량과 크기, 중심별에서 받는 빛의 양이 지구와 비슷하거든요. 이러한 조건들은 물이 존재할 가능성을 더 높여준답니다. 물은 행성에서 생명체가 탄생하는 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지요. 이 행성들이 어떤 성분으로 이루어져 ...

  • Part 2. 행성사냥꾼들의 비법 대공개!

    Part 2. 행성사냥꾼들의 비법 대공개!

    어린이과학동아 2018년 07호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제2의 지구를 찾아라! 행성 사냥꾼Part 1. 베테랑 사냥꾼 등장!Part 2. 행성사냥꾼들의 비법 대공개!Part 3. 우주 망원경으로 외계행성을 찾는다!Part 4. 별별 행성사냥꾼!Part 5. 우리나라의 행성사냥꾼!

  • [과학뉴스] 태양이 죽으면 어떻게 될까

    [과학뉴스] 태양이 죽으면 어떻게 될까

    과학동아 2018년 06호

    방출되면서 행성상 성운을 이룬다. 마지막으로 대기가 거의 없어지고 핵융합이 종료되면 중심별만 남아 천천히 식어가는 백색왜성이 된다.  과학자들은 태양도 수명을 다하면 다른 별처럼 적색거성을 거쳐 행성상 성운을 만들 것인지에 대해 연구해왔다. 앨버트 지즐스트라 영국 맨체스터대 ...

  • [과학뉴스] 시민 과학자 1만 명, 5행성 시스템 발견

    [과학뉴스] 시민 과학자 1만 명, 5행성 시스템 발견

    과학동아 2018년 02호

    이뤄낸 쾌거로 평가받고 있다. 이 외계행성계의 행성들 은 크기가 지구의 2~2.9배이고, 중심별을 동심원 궤도로 돌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또 행성의 공전 주기는 약 13일로 지구(365일)에 비해 훨씬 짧다. 연구팀은 케플러 우주망원경의 데이터를 분석해 이 같은 내용을 알아냈다. 또 시민 ...

  • [과학뉴스] 국내 연구진, 지구질량 외계행성 발견!

    [과학뉴스] 국내 연구진, 지구질량 외계행성 발견!

    과학동아 2017년 06호

    거리는 1.16AU(약 1억7000만 km)로 지구 태양 간 거리(1AU, 1억5000만 km)와 비슷하다. 반면 중심별은 태양 질량의 7.8%밖에 안 되는 매우 작고 차가운 별로, 외계행성의 표면 온도가 명왕성보다 낮아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은 희박한 것으로 나타났다.연구에 참여한 천문연 앤드루 굴드 박사는 “이 연구를 ...

  • [과학뉴스] 지구랑 꼭 닮은 외계 행성 7개 찾았다!

    [과학뉴스] 지구랑 꼭 닮은 외계 행성 7개 찾았다!

    어린이과학동아 2017년 06호

    찾아낸 거죠. 이런 관측법을 ‘통과측광법’이라고 해요.트라피스트-1 행성들은 중심별을 공전하는 것 외에도 태양계 행성들과 닮은 점이 많아요. 반지름이 지구의 0.76~1.13배이고, 질량은 지구의 0.41~1.38배로 지구와 상당히 비슷해요. 또 7개 행성 중 6개는 암석으로 이루어져 있고, 기온이 0~100℃ ...

  • PART3. 외계행성 탐사 전성시대

    PART3. 외계행성 탐사 전성시대

    과학동아 2015년 09호

    빛나지 않기 때문에 항상 중심별인 항성을 먼저 찾아야 한다. 그런 뒤 외계행성이 중심별인 항성 앞을 지나갈 때 항성의 밝기가 잠시 어두워지는 현상을 포착한다. 케플러 망원경은 이렇게 외계행성의 흔적을 포착하는 데 최적화된 장비다. 지금까지 발견된 외계행성 2000개 중 절반 이상을 케플러 ...

  • 우주 탐사, 제2의 지구를 찾아서

    우주 탐사, 제2의 지구를 찾아서

    수학동아 2015년 08호

    외계행성이 실제로는 그보다 더 많을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케플러 우주망원경은 중심별 가까이에 있는 큰 행성만 관측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구형 행성도 훨씬 더 많을 것이란 얘기다. 지구형 행성은 수십 억 개호주국립대(ANU)와 코펜하겐 닐스보어연구소의 공동 연구팀은 외계행성에 관한 NASA의 ...

  • [hot science] 중심별에 바싹 붙은 뜨거운 목성

    [hot science] 중심별에 바싹 붙은 뜨거운 목성

    과학동아 2014년 09호

    균형을 이루는 지점인 ‘로시 한계’ 근처부터는 외계행성이 발견되지 않는다. 물론 중심별이 적색거성으로 진화하면서 부풀어 올라도 가까이 있는 행성을 삼켜버릴 수 있다. 우리 목성은 태양으로부터 충분히 멀리 있으므로 어떤 상황에서도 태양에 삼켜지지는 않을 것이다. 하지만 태양이 ...

  • 더보기 +